{{{#!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578d> | E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2578d> 기수 및 년도 | 성우 | |
제특기 (1961, 1968) | 남 | ||
여 | 김수자, 목춘수, 홍여진 | ||
제1기 (1976) | 남 | 기영도 | |
여 | 김민선, 안소연, 유재옥, 이나미, 이은영, 장영주 | ||
제2기 (1979) | 남 | 기연호 | |
여 | 김민정, 이성미 | ||
제3기 (1981) | 남 | 김무규, 조경모 | |
여 | |||
제4기 (1982. 3.) | 남 | ||
여 | |||
제5기 (1982. 8.) | 남 | ||
여 | |||
제6기 (1983) | 남 | 김창기 | |
여 | |||
제7기 (1985) | 남 | 홍성룡 | |
여 | |||
제8기 (1986) | 남 | ||
여 | 박은주 | ||
제9기 (1987) | 남 | 이채진 | |
여 | 정현숙 | ||
제10기 (1988) | 남 | 최윤태 | |
여 | 이서윤 | ||
제11기 (1989) | 남 | 박경찬, | |
여 | 김미정, 김윤미, 최향윤 | ||
제12기 (1991) | 남 | 이원상 | |
여 | 강경아, 박인선, | ||
제13기 (1993) | 남 | 김호정, 남경표 | |
여 | 김미현, 차경희 | ||
제14기 (1995) | 남 | 신경택, 최지환 | |
여 | |||
제15기 (1996) | 남 | ||
여 | 이소영, 홍소영 | ||
제16기 (1997) | 남 | ||
여 | 정윤정 | ||
제17기 (1998) | 남 | 엄상현, 전태열 | |
여 | 국승연, 이은정 | ||
제18기 (2000) | 남 | ||
여 | 장은숙 | ||
제19기 (2001) | 남 | 박웅선, | |
여 | 이영아, 이주희, 홍희숙 | ||
제20기 (2004) | 남 | 김창열, 정영웅 | |
여 | 김은아, | ||
제21기 (2007) | 남 | 오병조, 이기호 | |
여 | 전해리, 정미라 | ||
제22기 (2010) | 남 | ||
여 | 한미리, 한혜원 | ||
제23기 (2013) | 남 | 이민규 | |
여 | 김수영, 유보라, 천지선 | ||
제24기 (2015) | 남 | 오민혁, 채아신 | |
여 | 권영지, 권지애 | ||
제25기 (2017) | 남 | 한만중 | |
여 | 김보민, 이한솔 | ||
제26기 (2019) | 남 | 이상준 | |
여 | 김아롱, 이보용 | ||
제27기 (2021) | 남 | 김단 | |
여 | 김예령, 류지아 | ||
제28기 (2023) | 남 | 송준 | |
여 | 강해나, 장희라 | ||
제29기 (2025) | 남 | ||
여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대원방송 / 투니버스 / CBS / KBS / MBC / PBC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EBS 성우극회 6기 성우 | |
김창기 Kim Chang-gi | |
| |
출생 | 1957년 1월 18일 ([age(1957-01-18)]세) |
국적 |
|
소속 | EBS 성우극회 6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전속: 1983년 ~ 1986년 프리랜서: 1986년 ~ 현재 |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1983년 EBS 성우극회 6기로 입사했으며 1986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2. 연기
특유의 날카로운 미성이 매력적인 원로 성우다. 주로 80년대 각종 비디오판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들을 맡은 걸로 유명한데, 그 중에서도 최고로 평가받는 배역은 초수기신 단쿠가의 후지와라 시노부, 육신합체 갓마즈의 묘진 타케루 등이 있다. 이나미 성우가 주역 여성을 맡았다면 김창기 성우는 동양비디오에서 출시한 만화에서 주인공 또는 합체로봇 파일럿 중 메인 파일럿의 성우 역할을 거의 다 맡았다. 예외는 백수왕 고라이온 하나 뿐. 한마디로 슈퍼로봇대전이 한국어 더빙으로 출시된다면 공밀레가 아니라 성밀레가 되어야 할 수준이다.더불어 90년대에는 EBS 방송에서 학습 나레이션 더빙을 맡기도 하며 방송에서도 얼굴을 보인 적도 있다. 이 시기에는 미청년 연기보다는 익살스럽고 재치있는 배역을 많이 맡았다. 다만 재능방송에 가끔 출연한 이후 현재는 활동이 대부분 줄어든 편. 또한 90년대 태생들에겐 입체동화 이솝이야기의 내레이션이 바로 이 성우다.
3. 출연작
3.1. 애니메이션
- 광속전신 알베가스 - 엔죠지 다이사쿠(강민철, 후에 이름 바뀌어 조민철)
- 기갑창세기 모스피다(비디오) - 레이 외
- 네모네모 스펀지송(EBS) - 징휘징어
- 둘리의 배낭여행(EBS) - 마이콜
- 래비치와 요술장화 - 삐딱이, 작가
- 마녀들이 사는 법 - 발록
- 백수왕 고라이온 - 쿠로가네 이사무(민창안)
- 세계명작만화 - 트레버
- 신조인간 캐산(비디오) - 캐산
- 슈퍼와이 - 농부, 주인 아저씨 외 각종 단역
- 신밧드의 모험(EBS) - 알리바바
- 엘리의 야생탐험(EBS) - 나이젤 손베리
- 우주대제 갓시그마 - 단 토시야(강명철)
- 육신합체 갓마즈 - 묘진 타케루(강철민)
- 은하선풍 브라이거 - 키도 죠타로(독고영)
- 용용나라로 떠나요 - 알록이
- 왁자지껄 오리마을
- 조지가 줄었어요 - 조지 아빠
- 전국마신 고쇼군 - 호조 신고(유동환)
- 초수기신 단쿠가(카루타) - 후지와라 시노부(표동철)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비디오) - 이치죠 히카루(이광식)
- 코끼리 친구 벤자민
- 캣독 - 윈슬로
- 토리 GO! GO! - 도선생
- 펠리컨 로드 클럽 컬처(달려라 훈이) - 훈이
- 닌자전사 토비카게(비디오) - 죠 마야(죠 데릭)
- Zirko Hrastic - 오키토크[1]
- 멋지다 코니 - 해설 / 넉대인간
3.2. 외화
3.3. 특촬물
- 번개기사 5형제 - 전대룡 / 번개기사 X
3.4. 나레이션
- 물은 생명입니다(KNN) - 나레이션
- 입체동화 이솝이야기 - 나레이션[2]
3.5. 노래
4. 관련 문서
[1] 노란얼굴에 코주부코를가진 인물[2] 우리가 알고있는 원뿔 여우와 사각형 까마귀나온 이솝이야기의 설명하는 해설아저씨가 이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