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555555> 본선 | ||||
제1지선 | |||||
제2지선 | |||||
폐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단풍선 端豊線 | Tanphung Line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제1지선 철도 |
기점 | 단천청년역 |
종점 | 홍군역 |
역 수 | 12개 |
개업 | 1939년 8월 26일 (단천-홍군)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 | |
사용차량 | 불명 |
차량기지 | 불명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80.3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단천청년-허천)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불명 |
표정속도 | 불명 |
통행방향 | 왼쪽 |
1. 개요
단천청년역을 기점으로 하는 북한의 철도 노선.2. 노선 정보
1939년 8월 26일 풍산군청 소재지까지 철도를 개통할 목적으로 단풍철도주식회사의 사철로 단천-홍군 구간이 개통되었다.노선명은 단천(端川)군과 풍산(豊山)군을 이어주었기 때문에 한 글자씩 따와서 단풍선으로 명명되었으며[1] 태평양 전쟁이 종전되는 순간까지 풍산군까지의 연장 구간은 개통되지 못했다.
해방 이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에 의해 국유화되었고, 6.25 전쟁의 여파로 파괴되었으나 전후 복구되었으나 북한 치하에서도 단풍선의 풍산역 연장은 이뤄지지 않았다.
3. 역 목록
기점거리 | 역간거리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0 | 0.0 | 단천청년 | 端川靑年 | 평라선 | 함경남도 단천시 |
7.0 | 7.0 | 동 대 | 東 坮 | ||
| | | | ||
21.1 | 14.1 | 하운승 | 下雲承 | 함경남도 허천군 | |
32.6 | 11.5 | 상 농 | 上 農 | ||
39.3 | 6.7 | 중 촌 | 中 村 | ||
43.5 | 4.2 | 농 촌 | 農 村 | ||
49.7 | 6.2 | 추 동 | 楸 洞 | ||
54.7 | 5.0 | 허 천 | 虛 川 | 만덕선 | |
60.9 | 6.2 | 수 의 | 守 義 | ||
67.1 | 6.2 | 장 파 | 長 坡 | ||
71.3 | 4.2 | 포치리 | 浦淄里 | ||
78.9 | 7.6 | 하홍군 | 下洪君 | ||
80.3 | 1.4 | 홍 군 | 洪 君 |
[1] 본래 단풍선은 풍산군청 소재지까지 계획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