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05:14:28

닷선 100A

닷선 100a에서 넘어옴
파일:닷선 로고(1976-1986).png
파일:닷선_체리_100A.png
Datsun 100A
1. 개요2. 상세
2.1. 100A (1971~1977)
3. 제원4. 기타5. 미디어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datsun_100a_commercial_1.jpg
닷선 100A 영국 시장 지면 광고
새 차에 대해 얼마나 오랫동안 이런 기분을 느끼시나요?
광고 캐치프레이즈

"닷선 100A"닛산자동차닷선에서 개발한 닛산 체리 E10계의 수출형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일본 내수형과 동일한 "체리"와 "닷선 1000"이라는 이름도 사용되긴 하였으나 1000의 경우 닛산 블루버드나, 닛산 서니와 연계되어 지어진 이름이었으며, 얼마 안가 100A라는 이름으로 고착화 되었다.

2. 상세

2.1. 100A (1971~1977)

파일:Datsun_100A_official_catalog_image.jpg
파일:datsun_100A_4door_image.jpg
설룬 2도어 설룬 4도어
파일:datsun_120A_1st_image.jpg
파일:datsun_100a_estate_van.jpg
120A 쿠페 에스테이트
1970년 말, 당시 닛산자동차에서는 수출형 디비전인 닷선을 선두로 내세워 세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포부를 내비치고 있었다. 이 당시 닛산 측에서 선두로 나설 모델들을 면밀히 점검하였는데, 중형급인 블루버드와, 준중형급인 서니를 이은 슈퍼미니급의 차량의 부재를 깨닫고 닛산 체리를 닷선 디비전으로 출시하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 체리와는 달리 약 1년 정도 출시 기간이 늦었다.

100A가 최초로 수출된 국가는 영국이었는데, 이 당시 영국의 자동차 업계의 전망은 매우 암울하였다. 브리티시 레일랜드로 대부분의 자동차 메이커들이 한 계열사로 뭉치게 되면서 지독한 노사분쟁, 각 계열사 간의 불협화음과 때로는 계급과 직위를 이용한 갑질 등으로 자동차의 품질은 떨어지고, 시장조사도 제대로 되질 않아 잠재 고객들은 영국제 자동차에 대해 신뢰를 잃고, 외국제 자동차에 대한 관심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당시 이 상황을 제대로 캐치한 닛산에서는 1971년 100A를 영국에 수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결과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고루하고 딱딱한 폰톤식 영국 스타일링에 지쳐있던 소비자들은 경쾌한 주행성능과 콜라병 디자인을 위시로 한 아메리칸 머슬 스타일의 소형차에 크게 환호하였으며, 유럽인들의 성향에 맞는 "작지만, 내부용적이 안락하고, 경제성이 출중하면서도, 재밌는 자동차"라는 점에 크게 낙점된 100A는 인기를 끌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영국 모터매거진에서는 독자들에게 자동차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했는데, 1973년 2월에 100A를 선택지에 포함했다. 모터매거진의 여론조사에는 마지막 문항에 "응답자 귀하가 가진 것과 동일한 모델을 또 구매할 의향이 있습니까?"가 있었는데, 응답자 중 100A의 오너들 중 무려 76%가 "예"라고 대답했다. 이는 놀랍게도 역대 어떤 자동차 오너들의 응답률도 능가하지 못했던 것으로, 당시 영국에서 브랜드 충성도가 매우 높은 폭스바겐 비틀 오너들의 66%를 무려 10%나 상회하는 수치였다.

1972년 3월에는 체리의 밴 버전을 조금 다듬은 3도어 해치백인 "에스테이트" 사양이 출시되었다. 해당 차량은 에스테이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왜건을 표방해 BMC ADO16 라인이나 오스틴 알레그로, 포드 앵글리아 등 197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있었던 2도어 스테이션 왜건의 구성을 따라갔으나 실제로는 C필러까지 밖에 없는 해치백에 가까운 차량이었다.

1973년에는 패스트백 스타일의 쿠페인 120A가 출시되었으며, 해당 차량은 기존 1000cc의 엔진에서 더욱 배기량이 업그레이드 된 1200cc 엔진을 사용하고 있기에 100A가 아닌 120A라는 고유의 트림명이 부여되었다.

닷선 100A는 4륜 모두 독립식 서스펜션을 지니고 있었으며, 쉬운 정비성과 더불어 높은 내구성과 4기통 A10 엔진의 좋은 성능은 자동차로서 시험에 든다고 알려져 있는 혹한의 땅 핀란드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뜬금없게 웬 핀란드에서 일본제 자동차가 인기를 끌었냐고 할 수 있는데, 이는 1960년대 닷선 블루버드 1200를 최초로 수출한 국가들 중 핀란드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핀란드에 수출된 블루버드는 핀란드인들로부터 폭스바겐 비틀과 비슷한 가격에, 더 많은 사람들이 안락하게 탈 수 있고, 혹한에서도 멈추지 않는 좋은 차라는 인식을 얻었으며, 이에 핀란드인들의 닛산 및 닷선 브랜드 충성도 또한 매우 높았다.

닷선 100A는 과거 블루버드가 그랬던 것처럼, 저렴한 가격에 높은 가성비를 모토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해내었으며, 이 덕분에 1976년 핀란드에서 판매된 자동차 수량 중 2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핀란드와 영국 이외에도 네덜란드와 같은 서유럽 국가에서 인기를 끌었으며, 1977년 생산이 종료되었고, 이윽고 단종되었다.

3. 제원

4. 기타

5. 미디어

파일:Satsuma.png}}} ||
My Summer Car에 등장한 닷선 100A
망가진 자동차를 조립해 완성하는게 목적인 게임 My Summer Car에서 사쓰마 AMP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또한 2024년 이 게임의 팬들이 닷선 100a의 영어 위키백과 문서에 생산지를 패레얘르비, 핀란드로 적어놓고, 링크를 누르면 마썸카 문서로 리다이렉트되도록 트롤링을 한 적이 있다. 이후 수정.

6. 둘러보기

파일:닷선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ADFE5> 분류 차량명
경차 redi-GO
소형 해치백 100A 에스테이트 · GO · mi-Do
소형 세단 100A 설룬 · 100A 설룬 4도어 · on-Do
소형 MPV GO+
소형 SUV 크로스
소형 픽업트럭 트럭
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티 로고.svg · 파일:Infiniti_IPL_Logo.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