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010101> | 대한체육회 회원 단체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정회원 | ||||
대한가라테연맹 | 대한검도회 | 대한게이트볼협회 | 대한골프협회 | 대한국학기공협회 | |
대한궁도협회 | 대한그라운드골프협회 | 대한근대5종연맹 | 대한민국농구협회 | 대한당구연맹 | |
대한댄스스포츠연맹 | 대한럭비협회 | 대한레슬링협회 | 대한롤러스포츠연맹 | 대한루지경기연맹 | |
대한바둑협회 | 대한바이애슬론연맹 | 대한배구협회 | 대한배드민턴협회 | 대한보디빌딩협회 | |
대한복싱협회 | 대한볼링협회 |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 | 대한빙상경기연맹 | 대한사격연맹 | |
대한산악연맹 | 대한세팍타크로협회 | 대한소프트테니스협회 | 대한수상스키.웨이크보드협회 | 대한수영연맹 | |
대한수중.핀수영협회 | 대한스쿼시연맹 | 대한스키·스노보드협회 | 대한승마협회 | 대한씨름협회 | |
대한아이스하키협회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대한양궁협회 | 대한에어로빅힙합협회 | 대한역도연맹 | |
대한요트협회 | 대한우슈협회 | 대한유도회 | 대한육상연맹 | 대한자전거연맹 | |
대한조정협회 | 대한민국족구협회 | 대한주짓수회 | 대한민국줄넘기협회 | 대한철인3종협회 | |
대한체조협회 | 대한축구협회 | 대한카누연맹 | 대한컬링연맹 | 대한탁구협회 | |
대한태권도협회 | 대한택견회 | 대한테니스협회 | 대한파크골프협회 | 대한패러글라이딩협회 | |
대한펜싱협회 | 대한하키협회 | 대한민국합기도총협회 | 대한핸드볼협회 | ||
준회원 | |||||
한국비치발리볼연맹 | 한국브리지협회 | 대한요가회 | 대한카바디협회 | 대한킥복싱협회 | |
한국e스포츠협회 | 대한크라쉬연맹 | ||||
인정 단체 | |||||
대한무에타이협회 | 대한서핑협회 | 대한오리엔티어링연맹 | 대한줄다리기협회 | 대한체스연맹 | |
대한치어리딩협회 | 대한테크볼협회 | 대한특공무술중앙회 | 대한파워보트연맹 | 대한플라잉디스크연맹 | |
대한플로어볼협회 | 대한피구연맹 | 대한한궁협회 | }}}}}}}}} |
<colcolor=#ffffff> | |
<colbgcolor=#D0B068> 명칭 | 사단법인 대한민국농구협회 Korea Basketball Asssociation |
설립 | 1925년 9월 18일 ([age(1925-09-18)]주년)[1] |
회장 | 권혁운[2](제34대) |
본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방이동, 테니스경기장) |
FIBA 가입일 | 1946년 1월 1일 ([age(1946-01-01)]주년) |
FIBA 아시아 가입일 | 1960년 3월 ([age(1960-03-01)]주년) |
설립 | | | | | |
[clearfix]
1. 개요
본회는 농구종목을 국민에게 널리 보급하여 국민체력을 향상하게 하며, 건전한 여가선용과 명량한 기풍을 진작하는 한편 운동선수 및 그 단체를
지원 육성하고 우수한 선수를 양성하여 국위선양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농구협회 정관 제2조 1항
대한민국에 농구를 보급하고 활성화 하기 위하여 조직된 기구이다. 한국농구연맹이 프로 리그만을 전담한다면, 국가대표팀과 아마추어 및 생활체육 농구, 그리고 인프라 등은 대한민국농구협회에서 담당한다.지원 육성하고 우수한 선수를 양성하여 국위선양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농구협회 정관 제2조 1항
그러나 조직상으로 볼 때 대한민국농구협회는 국제농구연맹(FIBA)이 인정한 한국 내 유일한 단체이며 한국농구연맹과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은 협력 단체의 성격을 지닌다. 2022년 기준 서울의 경우 남초부 4개 학교가 있으며 여초부도 2개교밖에 없을 정도로 저변이 약해졌다. 이로 인해 수도권 명문 고교 구단은 지방의 초중 농구선수들을 끌어모아 지역 농구계가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뉴스가 나오기도 했다.
2. 상세
산하 연맹으로 한국실업농구연맹(회장 주희봉), 한국대학농구연맹(회장 김동욱), 한국중고농구연맹(회장 박소흠), 한국초등농구연맹(회장 오재명)이 있으며, 원로 농구인들을 중심으로 한 한국농구인동우회(회장 정연철)와 한국어머니농구회(회장 홍영순)가 활동 중이다.2016년 1월 19일, 대한농구협회와 전국농구연합회가 통합 협의를 가졌다. 통합된 단체의 명칭은 대한민국농구협회(Korea Basketball Association)로 변경되며 1월 23일에 첫 통합 총회를 가졌다. 8월까지는 분리운영을 하며, 9월부터 통합회장을 선임한다고 밝혔다. 초대 통합회장에 방열 대한농구협회 회장이 그대로 선출되었다.
3. 논란
방열 회장은 취임 이후로 일부 농구팬들의 반감을 받았는데, 명색이 국가대표를 책임지는 협회라는 곳이 국가대표 지원에는 예산문제로 인색했기 때문이다. 아래와 같은 일화들이 농구팬들의 뒷목을 잡게 만든다.- 남자농구대표팀 선수단 버스가 마을버스보다 작아서 허훈이 이를 저격하는 게시글을 남겼다.
- 여자농구대표팀 에이스인 박지수가 연습 때 옷을 또 입고 훈련해야 했다며 성토를 했다.
- 여자농구대표팀 식사도 제대로 지원해주지 않아 이를 불쌍히 여긴 도시락 업체가 개인적으로 대표팀을 지원했다.
- 그나마 2020 도쿄 올림픽 여자농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혹사 논란이 있던 이문규 감독을 재빨리 경질하고 전주원 감독을 새로운 사령탑으로 앉혀, 비록 3패했지만 대표팀의 경기력이 예선 때보다 올라와 긍정적인 의견이 나올 뻔 했으나, 여자농구대표팀의 경기력을 강호들과 맞설 정도로 끌어올린 전주원 감독의 재계약을 팬들 모두 예상하거나 바랐음에도 새로운 전임감독을 뽑는다는 발표를 하며 농구팬들의 뒷통수를 후려갈겼다.
- 물론 전주원 감독은 현역 프로팀 코치이기 때문에 대표팀에 집중할 수 없는 처지이고 본인도 이를 말하며 고사하기도 했지만, 농구팬들이 화나는 건 최소한 전주원 감독과 접촉이라도 해봤어야 했는데 왜 다시 감독을 뽑아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조차 없이 새 전임감독 선임 발표를 해 버린 것이다.[3] 게다가 전주원 감독의 소속팀인 우리은행과 잘만 협의하면 전주원 감독이 여자농구대표팀을 이끄는 데 큰 문제가 아님에도 그것조차 하지 않았다. 물론 전주원 감독은 더 이상 국가대표팀 감독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보니 결국에는 다음 대회일정까지 얼마 남지 않아 정상적으로 대표팀 공모에 나선 것이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협회가 잘못한 부분은 아니다.
- 코로나19를 이유로 2023 FIBA 월드컵 예선을 일치감치 포기해 실격당했다. 이 대회는 올림픽 다음으로, 가장 대표적인 대회인 올림픽이 참가국이 워낙 적은지라 한국으로서는 사실상 출전이 어렵기에 그나마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 세계 대회이다. 그럼에도 충분히 대응가능했던 코로나19를 문제로 아예 대회를 포기하는 바람에 큰 욕을 먹었다. 게다가 당시 코로나19가 더 심했던 국가들은 잘만 예선에 참가해 본선에 진출했다.
덕분에 FIBA로부터도 찍혔다.[4]
4. 역대 회장
역대 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역대 | 이름 | 재임 기간 | ||
초대 | 이묘묵 | 1945년 12월 19일 ~ 1952년 2월 7일 | |||
2대 | |||||
3대 | |||||
4대 | 임봉순 | 1952년 7월 ~ 1956년 2월 | |||
5대 | |||||
6대 | 갈홍기 | 1956년 2월 ~ 1957년 4월 | |||
7대 | 임봉순 | 1957년 4월 ~ 1961년 7월 14일 | |||
8대 | |||||
9대 | |||||
10대 | 박영준 | 1961년 7월 15일 ~ 1963년 1월 | |||
11대 | 박진석 | 1963년 1월 ~ 1964년 4월 | |||
12대 | 김창규 | 1964년 4월 ~ 1964년 11월 | |||
13대 | 이병희 | 1964년 11월 ~ 1980년 9월 | |||
14대 | |||||
15대 | |||||
16대 | |||||
17대 | |||||
18대 | |||||
19대 | |||||
20대 | 이동찬 | 1980년 9월 ~ 1983년 1월 24일 | |||
21대 | 서성환 | 1983년 1월 25일 ~ 1985년 9월 | |||
22대 | 김상하 | 1985년 9월 3일 ~ 1997년 2월 | |||
23대 | |||||
24대 | |||||
25대 | |||||
26대 | 최헌열 | 1997년 2월 ~ 1999년 2월 | |||
27대 | 이종완 | 1999년 2월 ~ 2001년 7월 | |||
28대 | |||||
29대 | 홍성범 | 2001년 11월 23일 ~ 2004년 3월 23일 | |||
30대 | 이종걸 | 2004년 5월 6일 ~ 2013년 2월 | |||
31대 | |||||
32대 | 방열 | 2013년 2월 ~ 2021년 1월 | |||
33대 | |||||
34대 | 권혁운 | 2021년 1월 ~ | |||
}}}}}}}}} |
<rowcolor=#ffffff> 역대 | 이름 | 재임 기간 |
초대 | 이묘묵 | 1945년 12월 19일 ~ 1952년 2월 7일 |
2대 | ||
3대 | ||
4대 | 임봉순 | 1952년 7월 ~ 1956년 2월 |
5대 | ||
6대 | 갈홍기 | 1956년 2월 ~ 1957년 4월 |
7대 | 임봉순 | 1957년 4월 ~ 1961년 7월 14일 |
8대 | ||
9대 | ||
10대 | 박영준 | 1961년 7월 15일 ~ 1963년 1월 |
11대 | 박진석 | 1963년 1월 ~ 1964년 4월 |
12대 | 김창규 | 1964년 4월 ~ 1964년 11월 |
13대 | 이병희 | 1964년 11월 ~ 1980년 9월 |
14대 | ||
15대 | ||
16대 | ||
17대 | ||
18대 | ||
19대 | ||
20대 | 이동찬[5] | 1980년 9월 ~ 1983년 1월 24일 |
21대 | 서성환[6] | 1983년 1월 25일 ~ 1985년 9월 |
22대 | 김상하[7] | 1985년 9월 3일 ~ 1997년 2월 |
23대 | ||
24대 | ||
25대 | ||
26대 | 최현열[8] | 1997년 2월 ~ 1999년 2월 |
27대 | 이종완 | 1999년 2월 ~ 2001년 7월 |
28대 | ||
29대 | 홍성범 | 2001년 11월 23일 ~ 2004년 3월 23일 |
30대 | 이종걸 | 2004년 5월 6일 ~ 2013년 2월 |
31대 | ||
32대 | 방열 | 2013년 2월 ~ 2021년 1월 |
33대 | ||
34대 | 권혁운 | 2021년 1월 ~ 현재 |
5. 국가대표팀
남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
,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하십시오.6. 관련문서
[1] 조선바스켓볼협회[2] 아이에스동서 창업주. 2021년 1월 14일 단독 후보로 당선. 제29대 농구협회 회장이던 홍성범 前 세원텔레콤 회장 이후 17년 만의 기업인 출신 농구협회 회장. 주희정, 김주성, 김태술 등을 배출한 부산 동아고등학교 출신. 형은 한진칼 경영권 분쟁을 벌인 반도건설 권홍사 회장.[3] 축구 국가대표팀의 사례를 보면, 2017년에 정정용 감독이 U-20 대표팀 감독대행으로 U-20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력을 끌어올리면서 팬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결국 신태용 감독이 임명되었다. 이때 대한축구협회는 1차로 먼저 정정용 감독에게 감독직을 권하는 등 최소한 접촉은 하였으며 이에 정정용 감독이 정중하게 고사했기에 신태용 감독을 임명한것이고 대한축구협회는 왜 신태용 감독을 임명했고 정정용 감독이 고사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팬들에게 밝힌 바 있다. 이번 대한농구협회의 경우에도 전주원 감독이 고사했다고 하지만 최소한 감독측과 접촉도 하지 않고 팬들에게 이유를 밝히지도 않은 것이 문제.[4] 당시 상황을 살펴보자면 우선 대표팀 소집 기일보다 늦게 선수들이 소집에 응했다. 코로나 확산 속에서 리그를 강행했기 때문이었다. 경기력향상위원회(김동광)에서 KBL의 손을 들어 줬던 것이다. 그 후 늦게나마 대표팀 소집에 들어간 선수들은 출국 하루 전 금천구에 위치한 병원에서 단체로 코로나 검사를 실시했다. 그런데 하루 뒤인 출국 당일 오전 일부 선수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것. 대표팀의 모든 업무는 그자리에서 스톱됐고, 농구협회는 박종윤 부회장을 비롯해 회장단에서 선수단 파견을 심각하게 의논했다. 최종적으로 경기력향상위원회와 조상현 당시 대표팀 감독은 불참을 결정했다. 불참의 결정적 이유는 일부 선수들이 자신들의 건강을 담보로 필리핀에 가는 것을 걱정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고, 두 번째로 만일 현지에서 확진 판정을 받으면 한달에 가까운 시간을 현지에 머물러야 했기 때문이다. 여기다 만일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협회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어서였다. 농구협회 내부에서도 시간이 지난 뒤에 당시 대표팀이 가는 것이 오히려 좋은 결과를 만들수 있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한 가지 재미난 것은 불참을 결정하고 하루 뒤에 조상현, 김동우 코치가 코로나에 확진됐고, 그 후 대표팀을 전담하던 농구협회 직원도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5] 전 코오롱그룹 명예회장.[6] 전 태평양 명예회장.[7] 삼양그룹 명예회장. 경복고등학교 시절 센터로 활약했다.[8] 당시 엔케이그룹 회장. 계열사인 엔케이텔레콤의 부도 여파로 사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