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치러온 역대 FIFA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에 관련한 정보를 모아둔 문서2. 역대 월드컵 지역예선 참가 및 성적
대한민국의 역대 월드컵 지역예선 참가와 성적에 대한 내용이다.대회 | 결과 | 티켓 수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독립 이전(일본 제국령 조선) | ||||||||
| |||||||||
| |||||||||
| 불참(6.25 전쟁) | ||||||||
| 본선 진출 | 1장 | 2 | 1 | 1 | 0 | 7 | 3 | |
| 불참(지역 예선 참가 신청서 분실) | ||||||||
| 대륙간 PO 탈락 | 1장 | 4 | 2 | 0 | 2 | 6 | 9 | |
| 기권 | ||||||||
| 1라운드 탈락 | 1장 | 4 | 1 | 2 | 1 | 6 | 5 | |
| 최종예선 탈락 | 8 | 3 | 4 | 1 | 10 | 4 | ||
| 12 | 5 | 6 | 1 | 16 | 9 | |||
| 1라운드 탈락 | 2장 | 3 | 2 | 0 | 1 | 7 | 4 | |
| 본선 진출 | 2장 | 8 | 7 | 0 | 1 | 17 | 3 | |
| 11 | 9 | 2 | 0 | 30 | 1 | |||
| 13 | 9 | 3 | 1 | 32 | 5 | |||
| 3.5장 | 12 | 9 | 2 | 1 | 28 | 8 | ||
| 2.5장 | 개최국 자격 예선 면제 | |||||||
| 4.5장 | 12 | 7 | 3 | 2 | 18 | 7 | ||
| 14 | 7 | 7 | 0 | 22 | 7 | |||
| 14 | 8 | 3 | 3 | 27 | 11 | |||
| 18 | 12 | 3 | 3 | 38 | 10 | |||
| 16 | 12 | 3 | 1 | 35 | 4 | |||
| 8.5장 | 16 | 11 | 5 | 0 | 40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참가 15회 / 진출 10회[1] | 157 | 99 | 40 | 18 | 319 | 91 |
3. 각 대회 지역예선 별 전적 요약
대회 | 단계 | 경기 상대 및 결과 | |||||||||||
1954 | 예선 13조[2] | | | ||||||||||
5:1 (A) | 2:2 (A)[3] | ||||||||||||
1962 | AFC 예선[4] | | | ||||||||||
2:1 (H) | 2:0 (A) | ||||||||||||
대륙간 PO | | | |||||||||||
1:5 (A)[5] | 1:3 (H) | ||||||||||||
1970 | 1차예선[6] | | | | | ||||||||
2:2 (H) | 1:2 (H) | 2:0 (H) | 1:1 (H) | ||||||||||
1974 | 1차예선 A조[7] | | | | | | |||||||
4:0 (H) | 0:0 (H) | 0:0 (H) | 3:1 (H) | 1:0 aet (H) | |||||||||
최종예선[8] | | | | ||||||||||
0:0 (A) | 2:2 (H) | 0:1 (N)[9] | |||||||||||
1978 | 1차예선 2조[10] | | | | | ||||||||
0:0 (A) | 3:1 (H) | 0:0 (A) | 1:0 (H) | ||||||||||
최종예선[11] | | | | | | | | | |||||
1:0 (A) | 0:0 (H) | 1:2 (A) | 1:0 (H) | 0:0 (H) | 2:2 (A) | 2:2 (A) | 5:2 (H) | ||||||
1982 | 1차예선 3조[12] | | | | |||||||||
2:1 (N) | 5:1 (N) | 0:2 (A) | |||||||||||
1986 | 동아시아 3조[13] | | | | | | | ||||||
2:0 (A) | 0:1 (A) | 4:0 (H) | 2:0 (H) | 2:0 (H) | 4:1 (A) | ||||||||
최종예선[14] | | | |||||||||||
2:1 (A) | 1:0 (H) | ||||||||||||
1990 | 1차예선 4조[15] | | | | | | | ||||||
3:0 (H) | 9:0 (H) | 3:0 (H) | 4:0 (N) | 3:0 (N) | 3:0 (A) | ||||||||
최종예선[16] | | | | | | ||||||||
0:0 (N) | 1:0 (N) | 1:0 (N) | 2:0 (N) | 1:1 (N) | |||||||||
1994 | 1차예선 D조[17] | | | | | | | | | ||||
0:0 (N) | 1:0 (A) | 3:0 (N) | 3:0 (N) | 4:1 (H) | 2:0 (H) | 7:0 (H) | 3:0 (H) | ||||||
최종예선[18] | | | | | | ||||||||
3:0 (N) | 2:2 (N) | 1:1 (N) | 0:1 (N) | 3:0 (N) | |||||||||
1998 | 1차예선 6조[19] | | | | | ||||||||
2:0 (A) | 3:1 (A) | 4:0 (H) | 0:0 (H) | ||||||||||
최종예선 B조[20] | | | | | | | | | |||||
3:0 (H) | 2:1 (H) | 2:1 (A) | 3:0 (H) | 1:1 (A) | 5:1 (A) | 0:2 (H) | 3:1 (A) | ||||||
2006 | 2차예선 7조[21] | | | | | | | ||||||
2:0 (H) | 0:0 (A) | 2:0 (H) | 2:1 (A) | 1:1 (A) | 2:0 (H) | ||||||||
최종예선 1조[22] | | | | | | | |||||||
2:0 (H) | 0:2 (A) | 2:1 (H) | 1:1 (A) | 4:0 (A) | 0:1 (H) | ||||||||
2010 | 3차예선 3조[23] | | | | | | | ||||||
4:0 (H) | 0:0 (A)[24] | 2:2 (H) | 1:0 (A) | 3:1 (A) | 0:0 (H) | ||||||||
최종예선 B조[25] | | | | | | | | | |||||
1:1 (A)[26] | 4:1 (H) | 2:0 (A) | 1:1 (A) | 1:0 (H) | 2:0 (A) | 0:0 (H) | 1:1 (H) | ||||||
2014 | 3차예선 2조[27] | | | | | | | ||||||
6:0 (H) | 1:1 (A) | 2:1 (H) | 2:0 (A) | 1:2 (A) | 2:0 (H) | ||||||||
최종예선 A조[28] | | | | | | | | | |||||
4:1 (A) | 3:0 (H) | 2:2 (A) | 0:1 (A) | 2:1 (H) | 1:1 (A) | 1:1 (H) | 0:1 (H) | ||||||
2018 | 2차예선 G조[29] | | | | | | | | | ||||
2:0 (A) | 8:0 (H) | 3:0 (A) | 1:0 (A) | 4:0 (H) | 5:0 (A) | 1:0 (H) | 3:0 몰수 | ||||||
최종예선 A조[30] | | | | | | | | | | | |||
3:2 (H) | 0:0 (A) | 3:2 (H) | 0:1 (A) | 2:1 (H) | 0:1 (A) | 1:0 (H) | 2:3 (A) | 0:0 (H) | 0:0 (A) | ||||
2022 | 2차예선 H조[31] | | | | | | | | | ||||
2:0 (A) | 8:0 (H) | | 0:0 (A) | 5:0 (H) | 취소 | 5:0 (H) | 2:1 (H) | ||||||
최종예선 A조[32] | | | | | | | | | | | |||
0:0 (H) | 1:0 (H) | 2:1 (H) | 1:1 (A) | 1:0 (H) | 3:0 (A) | 1:0 (A) | 2:0 (A) | 2:0 (H) | 0:1 (A) | ||||
2026 | 2차예선 C조[33] | | | | | | | ||||||
5:0 (H) | 3:0 (A) | 1:1 (H) | 3:0 (A) | 7:0 (A) | 1:0 (H) | ||||||||
최종예선 B조[34] | | | | | | | | | | | |||
0:0 (H) | 3:1 (A) | 2:0 (A) | 3:2 (H) | -:- (A) | -:- (A) | -:- (H) | -:- (H) | -:- (A) | -:- (H) |
4. 시기별 경기 상세 내용 정리
4.1. 1954 스위스 ~ 1978 아르헨티나 (16개국 진출 체제)
16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로 지역예선에서 일본을 이기고 16개국 본선에 진출했다. 1978월드컵까지는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단 16자리였다.(16강 조별리그)당시 피파는 1938년 프랑스 월드컵의 인도네시아(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 무혈입성 참패 탈락과 더불어 아시아 축구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고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와 경쟁없이 아시아끼리만 지역 예선을 치르게 하였다.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중화민국(대만)도 기권해버리면서 라이벌 일본과의 1차전·2차전 1승 1무로 일본만 이기고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였고,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와 별다른 경쟁없이 16개국 본선에 진출했다.[35]
그리고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서 대한민국도 16강 조별리그에서 헝가리에 0:9, 터키에 0:7 참패 탈락하자 그제서야 피파는 아시아가 16개국 본선에 진출 할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고 1958년 스웨덴 월드컵 지역 예선부터 아시아가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와 경쟁을 치러야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었고, 대한민국도 이후 대회부터 16개국 본선에 진출 실패하였다.
4.2. 1982 스페인 ~ 1994 미국 (24개국 진출 체제)
1982월드컵부터 24개국 본선 진출로 월드컵 들어 갈 자리가 24자리로 많아지고, 아시아+오세아니아의 24개국 본선행 티켓도 2장으로 늘어났다. 마지막 아시아 + 오세아니아 합동예선이었다.1986월드컵부터 2라운드 자리가 16자리로 많아져서 16강이 2라운드로 돌아온다. 그리고 OFC의 단독 예선이 시작되면서 AFC 가맹국만 이 때부터 단독으로 예선을 치르게 되며, 24개국 본선행 티켓이 아시아 2장으로 획대되었다 이 86월드컵부터 대한민국이 본선에 복귀 진출하게 된다.
4.3. 1998 프랑스 ~ 2022 카타르 (32개국 진출 체제)
이 월드컵부터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32자리로 늘어났다. 이에 아시아 예선에 배정된 32개국 본선행 티켓도 약 4장으로 확대된다.4.4. 2026 미국-캐나다-멕시코 ~ (48개국 진출 체제)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48자리로 확장되는 첫 대회다. 아시아 또한 기존 4.5장에서 2배 가까이 늘어난 8.5장의 티켓을 배정받았다. 이에 맞게 예선의 방식도 변화했는데, 최종예선에 해당하는 3차예선이 2개 조에서 3개 조 규모로 늘어났다. 진출권이 늘어난 만큼 최종예선에서 각 조 2위까지 본선에 직행하는 것은 변함이 없고, 플레이오프 기회가 조 4위에게까지 열리고 추가예선이 신설되어 남은 2장의 직행 티켓을 주는 등 세부적인 변화가 생겼다.5. 기록 정리
5.1. 선수 관련 기록
5.1.1. 최다 출전 선수
5.1.2. 최다 득점 선수
5.1.3. 최다 무실점 골키퍼
5.2. 전적 관련 기록
5.2.1. 지역별 전적
5.2.2. 국가별 전적
5.2.3. 홈 & 어웨이별 전적
6. 여담 및 특이사항
[1]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참여하지 않고 본선에 직행한 2002 FIFA 월드컵은 제외했다.[2] 이 당시에는 현재처럼 지역 연맹별로 철저히 예선을 구분하지 않고 지정학적 위치로만 대강의 예선 조를 편성했다.[3] 원래대로였으면 홈 경기로 치렀어야 했으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일본인 선수단의 입국을 절대 허가하지 않겠다는 으름장을 놓는 바람에 2경기 모두 일본에서 치렀다.[4] 3개국 참가 풀리그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가 기권하며 다시 한 번 일본과의 2연전으로 예선을 치렀다.[5] 월드컵 예선 참가 첫 패배[6] 호주, 일본과 함께 더블 풀리그로 2라운드 진출 한 팀을 가렸다. 당시에는 예선도 개최국을 선정해 한 국가에서 모여 치러 대한민국이 모든 1라운드 예선을 개최했다.[7]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태국과 함께 A2조에 속해 싱글 풀리그로 조 2위까지 2라운드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A1조와 A2조의 1,2위가 크로스 토너먼트를 벌여 최후의 한 팀만이 최종예선에 나선다. 이번에도 대한민국이 예선 유치에 성공해 A조 전체의 모든 경기를 동대문운동장에서 개최했다.[8] A조와 B조의 최종 승자가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어 1장의 티켓을 가린다. 만일 동률일 경우 제3국에서 3차전을 가진다.[9] 홍콩 개최[10] 참가국이 대폭 늘어나 5개 조로 나뉘어 더블 풀리그를 벌이고 각 조의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11] 각 조 1위 5개국이 홈 앤드 어웨이로 팀 당 8경기를 가지며 최종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12] 쿠웨이트, 태국, 말레이시아와 한 조에 묶였고, 개최지 쿠웨이트에서 싱글 풀리그로 진행됐다.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했다.[13] 네팔, 말레이시아와 한 조에서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3A조와 3B조 1위가 이후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최종예선 진출팀을 가렸다.[14] 4조 승자인 일본과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었다.[15] 각 조 1위 6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차 라운드 로빈은 대한민국, 2차 라운드 로빈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다.[16] 각 조 1위 6개국이 중립지 싱가포르에서 모여 싱글 풀리그를 진행해 1,2위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7] 각 조 1위 6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차 라운드 로빈은 레바논, 2차 라운드 로빈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다.[18] 각 조 1위 6개국이 중립지 카타르에서 모여 싱글 풀리그를 진행해 1,2위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9] 각 조 1위 10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완전한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진행되었다.[20] 조 1위 10개국이 5개국씩 2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 1위는 본선 직행, 각 조 2위는 플레이오프를 치른다.[21] FIFA 랭킹에 따라 하위권은 1차 예선을 치르고, 2차예선부터 아시아 강팀들이 참가했다. 대한민국도 2차예선부터 참가했으며 각 조 1위 8개국만이 최종예선으로 향했다.[22] 조 1위 8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23] FIFA 랭킹 아시아 최상위 5개국은 3차예선으로 직행하며 나머지 팀들은 1,2차 예선을 진행한다. 3차예선은 20개국이 4개국씩 5개조로 나뉘어 각 조 1,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24] 중국 중립경기로 진행[25] 3차예선 통과 국 10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26] 중국 중립경기로 진행[27] FIFA 랭킹 아시아 최상위 5개국은 3차예선으로 직행하며 나머지 팀들은 1,2차 예선을 진행한다. 3차예선은 20개국이 4개국씩 5개조로 나뉘어 각 조 1,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28] 3차예선 통과 국 10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29] 1,2차 예선이 1차예선으로 간소화되고 2차예선 또한 40개국이 참여하는 규모로 확장되었다. 40개국은 5개국씨 8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치르고 각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각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4개국이 추가로 최종예선에 진출한다.[30] 3차예선 통과 국 12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31] 대한민국은 2차예선부터 시작한다. 2차예선은 40개국이 5개국씨 8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2020년부터 COVID-19의 범유행으로 인해 예선이 잠시 중단되었고, 결국 각 조의 잔여 경기를 한 국가에서 몰아 개최하는 방식으로 재개되었다. 따라서 2차 라운드 로빈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모두 개최되었다. 각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각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4개국이 추가로 최종예선에 진출한다.[32] 3차예선 통과 국 12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33] 대한민국은 2차예선부터 시작한다. 진출권이 확장됨에 따라 2차예선 36개국은 4개국씩 9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 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34] 3차예선 통과 국 18개국이 3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 4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35] 첫 진출, 16개국 본선 진출, 아시아 독립국 첫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