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23:26:34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제14대 감독 체제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0년 이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초대

김삼락
(김삼락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대

아나톨리 비쇼베츠
(비쇼베츠호)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대

허정무
(허정무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대

박항서
(박항서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5대

김호곤
(김호곤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6대

핌 베어벡
(베어벡호)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7대

박성화
(박성화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8대

홍명보
(홍명보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9대

이광종
(이광종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대행

최문식
(이광종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0대

신태용
(신태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대행

정정용
(정정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1대

김봉길
(김봉길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2대

김학범
(김학범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3대

황선홍
(황선홍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4대

미정
(○○○호)
[[미정|
파일:국기.svg
]]
}}}}}}}}}}}}
<colbgcolor=#e6002d>
[[미정|
파일:미정.svg
]]
제14대 감독
미정
<colcolor=#ffffff>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 제14대
코치
계약 기간
계약 체결 이전
연봉 -
전술 스타일 -
성적 -전 -승 -무 -패 (승률 -%)

1. 개요2. 감독 선임 과정3. 코칭 스태프4.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대표팀
4.1. 2026 AFC U-23 아시안컵 예선4.2. 2026 AFC U-23 아시안컵 본선4.3. 아시안 게임 본선 및 최종 엔트리
5.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표팀
5.1. 2028 AFC U-23 아시안컵 예선5.2. 2028 AFC U-23 아시안컵 본선

1. 개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제14대 감독의 대표팀을 정리한 문서.

2. 감독 선임 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제14대 감독 체제/선임 과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제14대 감독 체제/선임 과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제14대 감독 체제/선임 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코칭 스태프

4.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대표팀

이 연령대는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 김은중호 소속으로 월드컵 4강 진출을 이뤄낸 2003~2004년생 세대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배준호, 김지수, 이현주, 김용학, 강성진, 강상윤, 이준규, 배서준, 조진호, 황인택, 최우진 등이 있다. 여기에 더해 2006년생 슈퍼루키 양민혁, 김민수, 김명준, 윤도영, 강민우, 2007년생의 박승수도 지금 폼만 유지한다면 승선이 무난하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당시 준우승을 이뤄낸 멤버들이 U-23이 된 황선홍호가 금메달을 당연하듯이 딴 것을 생각하면 이 멤버들에 대한 기대치도 금메달은 당연한 거다.
===# 최종 명단 후보군 #===
아시안 게임이 1년 넘게 남은 만큼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명단은 참고용으로만 읽길 권한다.

병역을 해결한 선수는 ★, 병역을 이행 중인 선수는 ☆를 병기한다.

이 연령대 최대어는 김준홍과 문현호이나, 둘 모두 병역을 해결했거나 복무 중인 만큼 변수가 존재한다. 다만 이 둘을 빼고 봐도 골키퍼에 U-22를 쓰는 팀이 상당히 많은 만큼 굳이 와일드카드를 쓸 필요는 없어 보인다.

중앙 미드필더뿐만 아니라 풀백도 볼 수 있는 멀티 자원 유럽파 조진호를 필두로 최우진, 박창우 정도까지를 제외하면 출전 경험이 많지는 않으며, 오히려 21세 이하인 이건희, 최승구, 김서진 등이 좀 더 출전 기회를 많이 받는 추세다. 어떤 선수가 뽑히더라도 이번 아시안 게임 최고의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해당 포지션은 톱과 함께 와일드 카드를 사용할 가능성이 꽤 있는 포지션이다.

이미 해외에 진출한 김지수는 이견의 여지 없이 뛸 것으로 보이며, 그 외 후보군 선수들 또한 K리그1이나 K리그2에서 주전으로 뛸 정도로 기량이 검증된 선수들로 평가받는다. 이 포지션은 월반 가능성 또한 높게 제기되는데 K리그에서 지속적으로 뛰고 있는 강원 FC의 신민하와 울산 HD의 강민우는 올림픽에도 출전이 가능하나, 2003~2004년생과 비교해도 충분히 견줄 정도로 성숙한 활약을 보여주고 있기에 차후 활약 여부에 따라 발탁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미드필더 중 가장 고민되는 포지션이나, 현 시점에서는 황도윤과 강상윤의 발탁이 유력하다는 평가다. 여기에 원활한 A대표팀 합류를 위해 옌스가 아시안 게임에 차출될 가능성이 있다.


매 대회마다 그랬지만 이 포지션은 대한민국의 최대 강점이라고 볼 정도로 탄탄하다. 각각 2023년 U-20 세대와 U-17 세대의 에이스였던 배준호, 양민혁의 발탁은 유력하며, 여기에 이현주, 윤도영, 김민수 등의 합류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한편 와일드카드 발탁이 유력한 포지션이기도 한데 아쉽게도 유력 후보인 양현준과 엄지성의 포지션이 겹치기 때문에 둘 중 한 명은 와일드카드 선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유럽파 이영준이 가장 강한 카드지만, 이미 병역을 해결한 상태라 차출 명분이 매우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조상혁과 정재상이 우위에 섰다는 평이 많으며, 여기에 샬케 1군에 들어가는 빈도가 늘어난 홍석주 정도가 고려될 만한 카드다. 연령대 외 선수 중에서는 김포에서 주전으로 뛰는 김결이나 두 해외파인 김태원, 김명준이 거론된다.

무게감이 떨어진다고 판단했을 시 이호재나 정상빈의 와일드 카드 기용 가능성도 있다.

4.1. 2026 AFC U-23 아시안컵 예선

4.2. 2026 AFC U-23 아시안컵 본선

4.3. 아시안 게임 본선 및 최종 엔트리

5.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표팀

이 연령대는 2023 FIFA U-17 월드컵 인도네시아에서 변성환호 소속으로 출전했던 2006년생 및 그보다 1년 선배격인 2005년생 세대다. 이 연령대 대표적인 선수로는 양민혁, 윤도영, 김명준, 강민우, 이예찬, 박승수, 김태원, 김민수, 신민하, 정성빈 등이 있다.

김지수는 2004년생이지만 12월 생이기 때문에 생일이 지나지 않아 이론상으로는 와일드카드 없이 출전이 가능하다.

5.1. 2028 AFC U-23 아시안컵 예선

5.2. 2028 AFC U-23 아시안컵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