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0 14:50:46

정정용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천 상무 FC/정정용호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2025 시즌 스쿼드
1 김동헌 · 2 이현식 · 3 김민덕
C
· 4 서민우 · 5 김강산 · 6 김경준 · 7 김승섭 · 8 이승원 · 9 유강현
10 모재현 · 11 이동준 · 13 오인표 · 14 이동경 · 15 김찬 · 16 김준호 · 17 김대원 · 18 원기종 · 19 박상혁
20 박찬용 · 21 김태훈 · 22 최예훈 · 23 이주현 · 24 홍욱현 · 25 박승욱
VC
· 26 조현택 · 27 추상훈 · 28 맹성웅
29 최기윤 · 30 김봉수 · 32 정명제 · 33 박대원 · 62 이상민 · 66 박수일 · 71 조진우 · 77 유선 · 88 이진용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정정용{{{#!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정용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1 로고(흰색).svgK리그1
구단별 감독 (2025)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정경호
(정경호호)
파일:강원정경호감독.pn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이정효
(이정효호)
파일:이정효감독25.png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정정용
(정정용호)
파일:정정용2025.png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박창현
(박창현호)
파일:2025_staff_pch.pn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황선홍
(황선홍호)
파일:player_19970094.png
파일:FC서울 엠블럼(적색배경).svg
서울
김기동
(김기동호)
파일:김기동2025.png
파일:수원 FC 로고.svg
수원
김은중
(김은중호)
파일:김은중2025.png
파일:FC 안양 로고.svg
안양
유병훈
(유병훈호)
파일:유병훈2025.png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울산
김판곤
(김판곤호)
파일:김판곤2025.png
<colbgcolor=#034f36>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거스 포옛
(포옛호)
파일:player_20250054.png
파일:제주 SK FC 엠블럼.svg
제주
김학범
(김학범호)
파일:김학범2025.png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박태하
(박태하호)
파일:박태하감독.png
● WK리그 구단별 감독 K리그2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리그1파일:중국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일본 국기.svg J1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정정용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18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10대(대행)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40대
클럽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6대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6대
}}} ||
정정용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2023 이달의 감독상 수상자
9월
박진섭
(부산 아이파크)
10~12월
정정용

(김천 상무 FC)
시즌 폐막
}}} ||
}}} ||
<colbgcolor=#b52427><colcolor=#ffffff> 김천 상무 FC 감독
Gimcheon Sangmu FC
파일:정정용2025.png
이름 정정용
鄭正溶 | Chung Jung-yong
[1]
출생 1969년 4월 1일 ([age(1969-04-01)]세)
경상북도 달성군
(現 대구광역시 달서구)[2]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체중 76kg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교수
소속 <colbgcolor=#b52427><colcolor=#ffffff> 선수 이랜드 푸마 (1993~1997)
감독 대한민국 U-14 대표팀 (2008/ 코치)
대한민국 U-14 대표팀 (2008)
대한민국 U-14 대표팀 (2009/ 코치)
대한민국 U-17 대표팀 (2011/ 코치)
대한민국 U-23 대표팀 (2012/ 코치)
대한민국 U-17 대표팀 (2012~2013)
대구 FC (2014/ 수석코치)
현풍고등학교 (2015)
대한민국 U-20 대표팀 (2016 / 감독대행)
대한민국 U-23 대표팀 (2017 / 감독대행)
대한민국 U-20 대표팀 (2017~2019)
서울 이랜드 FC (2020~2022)
김천 상무 FC (2023~ )[3]
기타 한국프로축구연맹 (2023~ / TSG 위원)
국가대표 없음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52427><colcolor=#ffffff> 서명 파일:정정용서명.png
본관 연일 정씨 (延日 鄭氏)[4]
학력 대구신암국민학교[5] (졸업)
청구중학교 (졸업)
청구고등학교 (졸업)
경북산업대학[6] (건축학 88 / 학사)[7]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 / 학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석사[8])
한양대학교 대학원 (운동생리학 / 박사 수료)
}}}}}}}}}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
3.1. 대한축구협회 전임 지도자3.2. 대구 FC 코치3.3.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3.4. 2020 AFC U-19 챔피언십3.5. 서울 이랜드 FC3.6. 서울 이랜드 FC 퇴임 이후3.7. 김천 상무 FC
4. 지도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축구 선수 출신 감독. 이랜드그룹 산하 축구단 프랜차이즈 선수로 첫 프로 감독 경력을 2019년서울 이랜드 FC에서 시작했다.

프로 선수 경력이 없는 무명 출신인데도 20세 이하 대표팀을 FIFA U-20 월드컵 결승에 올려놓은 명지도자로 거듭난 입지전적인 인물로 대구 FC에서 한 차례 코치를 맡은 것을 제외하고 거의 유소년 전담 지도자로 명성을 떨쳤으나 2020년 서울 이랜드 FC 감독을 맡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프로 구단 감독으로서는 기대에 못미치는 성과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그 후 김천 상무 FC를 맡아서 승격에 성공하고 다음해에 리그 3위에 도달하는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 남자 축구 역사상 최초로 U-20 월드컵 준우승을 거두며 한국 남자 축구 감독 최초의 FIFA 공인 대회 결승전 진출 감독이 되었다.[9]

2. 선수 경력

파일:dthumb-phinf.pstatic...jpg

현역 시절 센터백 포지션을 맡았던 그는 상기한 것처럼 프로에 입문하지 못해 유명한 선수로 성장하지는 못했다.

1969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現 대구광역시)에서 아버지 정원일(鄭元一)[10]과 어머니 경주 김씨 김춘기(金春起)[11] 사이에서 3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신암국민학교[12] 4학년 재학 시절에 축구에 입문한 뒤, 대구 지역의 축구 명문학교인 청구중학교, 청구고등학교[13]를 거쳐 1988년에 경일대학교[14]에 입학한다. 대학 졸업 직전인 1992년 12월에 창단된 실업팀 이랜드 푸마의 창단 멤버로 입단하여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다섯 시즌 동안 활약하였으나 머리 쪽 부상으로 인해 29세의 젊은 나이에 축구화를 벗을 수밖에 없었다. 부상이 꽤 심각해서 의사가 헤더를 더이상 할 수 없다고 진단했고 센터백이 헤더를 못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문제였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그가 은퇴한 직후인 1998년 2월에 이랜드 푸마 역시 해체되었다. 당시 IMF 외환위기로 인해서 여러 스포츠 팀들이 해체되는 운명을 맞았는데, 이랜드 푸마 역시 그 여파를 비껴나가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선수 시절부터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았는데 이랜드에서 선수로 뛸 당시 구단의 허락을 받아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육학 석사 과정에 재학했고, 이런 학구열은 그가 무명 선수 생활을 딛고 유능한 지도자로 거듭나는 데에 큰 밑거름이 되었다.

3. 지도자 경력

3.1. 대한축구협회 전임 지도자

은퇴 후 1997년 12월, 선수 시절 말기에 이미 재학 중이던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육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2005년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스포츠생리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는 등 본격적으로 지도자의 길을 준비했고, 유소년 축구 강국인 포르투갈로 축구 유학을 떠나는 등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쌓는 데에 주력했다. 이후 U-14 대표팀부터 차근차근 경력을 쌓아 올라갔다.

3.2. 대구 FC 코치

파일:903_1069_3924.jpg

2014년 자신의 고향 팀 대구 FC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면서 최덕주 감독을 보좌하였다.

2015년에는 대구의 산하 유스팀인 현풍고등학교의 감독으로 보직을 변경하며 유소년 지도자로 복귀하였다.

3.3.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파일:190609559806.jpg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59년 이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초대

박규정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대

황석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대

이기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대

김지성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5대

박재승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6대

박대종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7대

박병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8대

박경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9대

우상권 / 손명섭
강준영 / 이병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0대

안종수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1대

한창화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2대

함흥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3대

박병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4대

유광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5대

장운수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6대

이우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7대

오완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8대

유현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9대

유판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0대

김찬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1대

박종환
(박종환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2대

김삼락
(김삼락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3대

정병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4대

오근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5대

김삼락
(김삼락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6대

안세욱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7대

남대식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8대

박상인
(박상인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9대

원흥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0대

박이천
(박이천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1대

박창선
(박창선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2대

조영증
(조영증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3대

박성화
(박성화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4대

조동현
(조동현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5대

홍명보
(홍명보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6대

이광종
(이광종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7대

김상호
(김상호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8대

안익수
(안익수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9대

신태용
(신태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0대

정정용
(정정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1대

김정수
(김정수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2대

김은중
(김은중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임시

이창현
(김은중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3대

이창원
(이창원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0년 이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초대

김삼락
(김삼락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대

아나톨리 비쇼베츠
(비쇼베츠호)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대

허정무
(허정무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대

박항서
(박항서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5대

김호곤
(김호곤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6대

핌 베어벡
(베어벡호)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7대

박성화
(박성화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8대

홍명보
(홍명보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9대

이광종
(이광종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대행

최문식
(이광종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0대

신태용
(신태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대행

정정용
(정정용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1대

김봉길
(김봉길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2대

김학범
(김학범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3대

황선홍
(황선홍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4대

미정
(○○○호)
[[미정|
파일:국기.svg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정용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정용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정용호#|]][[정정용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 2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도 잠깐 맡기도 했다.

1 이광연 · 2 황태현
C
· 3 이재익 · 4 이지솔 · 5 김현우 · 6 김정민 · 7 전세진
8 이규혁 · 9 오세훈 · 10 이강인 · 11 엄원상 · 12 박지민 · 13 고재현 · 14 박태준
15 정호진 · 16 김주성 · 17 이상준 · 18 조영욱
VC
· 19 최준 · 20 김세윤 · 21 최민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정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오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인창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성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환

정정용 감독은 대한민국을 2019년 U-20 세계청소년 축구 대회 결승전에 진출시킨 빛나는 업적을 이루었다.

3.4. 2020 AFC U-19 챔피언십

지도력을 인정 받아 8월 2021년까지 U-20 대표팀 전임 감독으로 재계약하면서 2019년 11월 미얀마에서 개최되는 2020 아시아축구연맹 19살 이하 챔피언십 예선과 2021 U-20 월드컵을 준비하게 되었다. 여러 클럽과 중국 U-20 감독 오퍼도 있었는데 중국은 일단 한국과 붙어야 하는 상대라 고려도 하지 않았고, 클럽팀으로 떠나자니 챔피언쉽 예선이 2달 밖에 남지 않아 무책임하게 떠나기 싫었다고 이야기했다.

10월 11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GSB 방콕컵에서 우즈벡을 5:1로 대파하면서 결승에 진출했고,# 10월 13일 결승전에서 베트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열린 2020 AFC U-19 챔피언십 예선에서 싱가포르, 미얀마, 중국을 상대로 3전 전승, 18득점, 1실점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내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특히 뜬금없이 판다컵 복수를 운운하며 나온 중국은 PK 2개를 선언받지 않는 혜택을 얻고도 1-4로 대패하며 축구팬들에게 웃음을 주었으며, 조 2위 간 순위에서 캄보디아에게 밀리면서 6위까지 내려가면서 탈락 위기에 놓였다. 각 조 2위들이 2승 1무한 팀만 무려 5팀이나 되는데다가 AFC 챔피언쉽 개최국이 떨어지는 바람에 2위 진출권 하나가 그쪽으로 넘어가, 중국은 탈락이 확정되었다. 사실 중국은 말로는 판다컵의 복수를 하겠다며 큰소리를 떵떵 쳤지만, 실제 전략은 미얀마와 싱가포르는 이기고, 조 최종보스 한국과의 경기는 대량실점을 최대한 막으며 2위들 간의 겅쟁을 노린다는 전략이었을 것이다. 물론 미얀마와 싱가폴을 이기고 한국과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은 순간까지는 예상대로였는데, 후반 막판 수비진의 집중력 저하로 3골을 연달아 먹히며 대패하고 골득실에서 밀린 것이 화근이었다. 결국 중국을 한국이 직접 떨어뜨린 꼴이었다

3.5. 서울 이랜드 F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이랜드 FC/정정용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 이랜드 FC/정정용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 이랜드 FC/정정용호#|]][[서울 이랜드 FC/정정용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서울 이랜드 FC 퇴임 이후

서울 이랜드 FC의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2023년 1월 1일 모교인 경일대학교 SMART스포츠대학 전문스포츠학부 축구학과 부교수부임했다.

또한 교수직 이외에도 프로축구연맹 기술위원(TSG)직도 맡게 되며, 평일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주말에는 경기장을 찾아 기술위원으로 경기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15]

거주지가 대구인데, 경상권에는 기술 위원이 없어서 경상권 팀 위주로 맡아서 분석하게 된다고 한다.#

3.7. 김천 상무 F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천 상무 FC/정정용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 상무 FC/정정용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천 상무 FC/정정용호#|]][[김천 상무 FC/정정용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지도 스타일

주제 무리뉴가 자주 사용 하는 선 수비 후 역습으로 이 전술을 항상 사용한다.

좋은 성적을 냈을 때는 수비 벽을 두텁게 쌓은 후, 역습 한두 방이나 세트피스로 재미를 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장점이 단적으로 드러난 경기가 2019년 20세 이하 월드컵이었다.

역으로 상대방이 수비적으로 나오거나 정정용 감독이 주도적인 축구를 해야할 때에는 재미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16]

비상시에 다양한 전술, 전략을 가져올 수 있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최근들어서는 정정용에게서 그런 모습을 보기 어렵다고 혹평을 받았다.

공격시 중앙 미드필더 한 명이 전진하여 득점을 노리는 편으로서, 역습 시에는 기술 좋은 윙어들을 앞세워서 3선에서 주도해나가며 공격을 해 나가는데 너무 윙어의 개인 능력에만 너무 의존한다고 평가 받는다. 또한 공격에서 세부 전술이 부족하고 아무리 영입을 하고 다른 선수가 나오더라도 같은 경기력이 나오고 있음을 보아 그냥 전술 자체에 문제가 많아보인다.

서울 이랜드에 첫 부임한 2020 시즌에는 부족한 퀄리티의 선수단으로 괜찮은 성적을 냈지만 오히려 선수 보강이 잘 된 2021, 2022 시즌에 부진한 걸 봐서는 성인 선수들의 장악 능력도 부족한 것 아닌가하는 의문점이 나왔지만 2023시즌 김천 상무 FC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K리그2 우승을 이끌고 2024시즌 K리그1에서 순항을 이끌면서 이런 의문을 종식시키고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 대한민국체육상 지도자상(2019)
  • AFC 올해의 지도자(2019) [17]
  • KFA 올해의 지도자(2019)

6. 기타

  • 2019 U-20 월드컵 직후 추석을 맞아 이낙연 총리와 화상 전화를 하기도 했다.
  • 이승우와는 찰떡 케미를 자랑한다. 이승우도 제일 존경하는 감독을 뽑을 때 1순위로 정정용 감독을 말한다.
  • 선수들에게는 감독님이라는 호칭 대신 선생님이라는 친근한 호칭으로 불린다.
  • 부인은 대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고 있다. 무명 지도자 시절에는 국제 대회 출전으로 인해 첫 아이의 출산조차 곁에서 제대로 지키지 못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기사
  • 둘째 형은 정두용(鄭斗溶) 대구광역시 분권선도팀장이다.기사
  • 초등학생 아들이 U-20 월드컵 16강전을 앞두고 "한 골 넣으면 만 원, 두 골 넣으면 20,000원 줄 테니 꼭 이기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애한테 용돈 받게 생겼다."고 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2019년 6월 22일 대구 FCFC 서울의 K리그 1 17라운드 경기에서 시축을 했다. 정정용 감독은 대구 출신으로 대구 FC 수석 코치와 U-18 감독을 역임했기 때문에 대구 팬들에게는 각별한 존재로, 대구 유니폼을 입고 이 날 경기를 끝까지 직관했다. 이후에도 경기장에 종종 나타났고 K리그 2019시즌 최종라운드에도 직관했다.
  • 오랜 시간을 한국 유소년 축구 감독으로 있어온 감독으로써 현 세대에서 유망한 축구 선수들을 모두 지도해본 경험이 있다. 전임지도자로 U-14, U-16레벨의 소집 훈련도 자주 진행했기 때문에 사실상 1995년생부터 2001년생까지 연령별 대표급 유망주들 중에는 정정용 감독의 손을 거치지 않은 선수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승우, 백승호, 이강인, 김정민 등 해외파 유망주들 외에도 한국 유망주들에 관해서 장기적인 육성과 단기적인 코치에 관한 지식이 해박하다고. 실제로 2019년 U-20은 그의 유소년 축구 경험의 산물로써 엄원상, 이광연 등 대회 전에는 그렇게 유명하지 않았던 선수들이나 정정용 감독이 소집하여 이강인 못지 않은 활약으로 극찬을 받았다.
  • 팬들에게 서명을 해 줄 때 십자가를 표시할 만큼 독실한 개신교 신자이다. 위의 프로필에 적혀 있는 사인란에도 버젓이 보인다.[18]
  • 군경팀 김천 상무의 감독으로 부임 중이지만 군대는 처음 와봤다고 한 인터뷰에서 밝혔으며, 당직 근무는 물론이고, 점호도 처음 해봤다고 한다. 심지어 2024 시즌을 앞두고 가진 K리그 1 미디어데이에서는 어설픈 경례로 무거웠던 현장 분위기를 환기 시키기도 했다. 아무래도 부상 등의 이유로 군면제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

[1] 영일정씨세보 7권 위양공파 851면(영일정씨 문정공파 인터넷족보) 참조. 생일과 둘째 형의 이름이 정두용(鄭斗溶)인 것이 일치한다.[2] 당시 달서구는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 성서면 두 곳으로 나뉘어 있었다.[3] 시즌 도중 부임.[4] 문정공파-위양공파 27세 용(溶) 항렬.[5] 現 대구신암초등학교[6]경일대학교[7] #[8] 석사 학위 논문: 축구 경기의 득점 및 어시스트 위치·방향분석에 관한 연구(1997. 12).[9] 사실 2017년 U-20도 감독할 수 있었으나 본인이 고사했다. 2017년 U-20세대도 어쨌든 16강에 갈 저력이 있는 팀이었다는 점과 유소년 감독으로 써나간 정정용 감독의 성공 스토리를 보면 안타깝다고 볼 수도 있지만 본인은 그 당시에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회고한다.[10] 족보명 정태열(鄭泰烈).[11] 김소의 딸이다.[12] 공교롭게도 20세 이하 대표팀 멤버 중에서 고재현김세윤이 그의 초등학교 후배이다.[13] 박주영이 그의 중고등학교 직속 후배이다. 동기가 최원일 해군 예비역 대령이다.[14] 당시 교명은 경북산업대학.[15] K리그는 경기마다 TSG(기술위원)가 배정된다. 기술위원은 해당 경기 보고서를 제출하고 선수들의 평점을 매긴다. M.O.M 역시 기술위원이 정한다. 기술위원들은 유럽 축구 빅클럽 경기를 분석해 보고서로 제출하고 이를 각 구단 감독들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라운드별 베스트11도 TSG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선정된다.[16] 단적으로, 서울이랜드FC에서의 성적을 보면, 상대방이 퇴장당했을 때의 성적이 좋지 않다.[17] 박종환(1995), 차범근(1997), 차경복(2003), 허정무(2009), 김호곤(2012), 최용수(2013), 최강희(2016)에 이어, 한국인으로서는 8번째 수상.[18] 정정용 이외에도 기독교를 믿는 스포츠 선수들 중 팬들에게 싸인을 해줄때 십자가 표시를 하는 사람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