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1:17:40

동굴사자

동굴사자(유라시아동굴사자)
洞窟獅子 | Cave lion, Steppe li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nthera_leo_spelaea_in_Vienna.jpg
학명 Panthera spelaea
Goldfuss, 1810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표범속Panthera
동굴사자P. spelaea
아종
  • †동굴사자(P. s. spelaea)
  • †베링육교동굴사자(P. s. vereshchagini)
  • 모스바흐사자?(P. s. fossilis?)[1]
파일:external/gorod.tomsk.ru/PP_11.jpg
복원도

1. 개요2. 생태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표범속 동물의 일종.

2. 생태

한때는 사자호랑이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치아 구조, 뇌주머니 등의 차이점이 별개의 종으로 분류할 수 있을 만큼 크며 실제로도 다른 사자들과는 190만년 전 플라이스토세 즈음에 더 일찍 분기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Panthera spelaea라는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자매종인 아메리카사자도 비슷한 상황이다.

아시아에서 유럽, 알래스카와 그곳에 인접한 캐나다 유콘 준주에 걸쳐 서식했으며, 한반도에도 동굴사자의 뼈로 추측되는 단편적인 화석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주로 초원, 스텝, 탁 트인 삼림에 서식했다. 이름과 다르게 동굴에서 살지 않았다.

플라이스토세 중반부 한정으로 몸길이 2.5~2.9m, 어깨 높이 1.4~1.5m, 체중 400~500kg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최소 기원전 2만년 이전부터 시작된 플라이스토세 극후반부 시기의 마지막 빙하기 당시에는 몸길이는 2m 내외, 어깨높이는 1.2~1.3m, 체중은 70~90kg 정도로 크게 소형화되어서, 현대의 재규어와 비슷한 크기였다.[2]

쇼베 동굴에 묘사된 수컷 동굴사자의 묘사로 보아, 갈기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얼굴은 현대의 사자에 비해 비교적 길고 좁았으며, 성채의 털 색은 회색, 새끼의 털 색은 황갈색으로 추정된다.

동굴사자가 현대 사자처럼 무리를 지어 존재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2015년 동위원소 분석에 따르면, 유럽의 동굴사자는 현대 사자들에 비해 개인주의적 행동을 했고, 앞서 말했듯 현대의 사자와 달리 갈기가 없기 때문에 단독 생활을 하거나 소규모의 무리를 지었다는 주장되었다. 허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동굴사자의 성적이형성이 현대의 사자와 단독생활을 하는 여타 대형 고양이과 동물들보다 휠씬 두드러졌기에 단체생활을 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는 중이다.

주요 먹이는 순록메갈로케로스, 붉은사슴같은 사슴과 오록스, 스텝들소, 등의 중대형 초식동물이었다. 동굴곰도 사냥감의 범주에 들어갔으며, 털코뿔소털매머드의 새끼도 잡아먹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도 습격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인류는 그 강함에 경외감을 갖고 숭배 대상으로 여겼던지, 구석기 동굴 유적을 발굴하다 보면 뼈나 상아에 사자 머리의 반인반수를 새긴 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동굴표범, 동굴하이에나, 불곰, 늑대, 아르크토두스, 호모테리움과 경쟁했던 것으로 보이며, 특히 동굴하이에나하곤 오늘날의 사자와 점박이하이에나의 관계와 비슷했으리라 추정된다.

멸종 이유는 정확히는 불명이지만, 서식지 규모 감소, 먹이 풍부도의 변화, 인간의 사냥, 늑대와의 경쟁이 원인으로 꼽힌다.
파일:external/cdn0.vox-cdn.com/813A7082.0.jpg
2015년 11월 시베리아에서 새끼 동굴사자의 미라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황우석 박사가 동굴사자 복원을 시도 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2017년 9월에 추가로 1마리가 더 발견되었다. #
파일:동굴사자 '스파르타'.jpg 파일:동굴사자 '보리스'.jpg
2018년 시베리아 영구동토에서 새끼 동굴사자 두 마리의 사체가 발견되었다. 보존 상태가 매우 뛰어나 과학자들은 DNA로 복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3. 대중매체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053h.jpg

영상물에서는 BBC다큐멘터리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처음에 어미 매머드와 함께 있는 새끼 매머드를 노리는 모습으로 나왔고 나중에는 다른 두 마리가 크로마뇽인을 잡아먹다가 지나가는 수컷 매머드의 포효에 잠시 물러나는 모습으로 나왔다.[3]

한반도의 매머드에서의 행적은 동굴사자(한반도의 매머드) 문서 참조.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고생물 다큐멘터리 지구 위의 생명에서 한 마리가 내빼고 있는 아성체 매머드를 몇 초만에 넘어뜨려 제압하는데, 본편에 나오듯이 해당 장면의 배경 시기는 약 2만년 전으로 마지막 빙하기에 해당되며, 이 당시의 동굴사자는 현생 사자보다도 작은데다가 현생 사자도 아성체 코끼리를 잡기 위해 여럿이서 오랜 시간 동안 공격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불가능한 묘사라고 볼 수 있다.

파 크라이 프라이멀에서 야생동물의 일종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파 크라이 프라이멀/등장생물 항목 참조.

소설 대지의 아이들 시리즈의 주인공 에일라의 토템이 동굴사자이며 에일라는 어린 새끼 동굴사자를 길들이는데 성공한다. 성체가 된 뒤 에일라를 떠나지만 이후에 만났을 때 에일라를 알아보고 등에 태워주기도 한다.

웹툰 만화 호랑이형님의 추이가 동굴사자를 모티브로 한 종족이 아니냐는 설이 있다.
파일:판테라 S 최종 렌더링_프킹.png
프리히스토릭 킹덤에서는 앞서 해보기 버전 1.7.19부터 사육 가능한 동물로 등장한다.


[1] 사자 또는 동굴사자의 아종인지 아니면 별개의 종인지 불분명한 상태다.[2] Marciszak, Adrian; Gornig, Wiktoria (September 2024). "From giant to dwarf: A trend of decreasing size in Panthera spelaea (Goldfuss, 1810) and its likely implications". Earth History and Biodiversity. 1: 100007. doi:10.1016/j.hisbio.2024.100007.[3] 여담으로 검치호인 디노펠리스의 모델링을 재탕한 탓에 자세히 보면 실제 동굴사자에게는 없던 검치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