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23:54:17

동인남

1. 개요2. 상세3. 대표적인 동인남4. 관련 항목

1. 개요



'2차 창작', '동인 창작 활동'을 하는 남성의 총칭. '동인남'이라는 말은 사용빈도가 동인녀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1] '동인남'이 드물었던 2000년대에 주로 쓰였던 용어로 남성향에서도 동인 활동이 활발해진 2020년대 이후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2. 상세

'동인녀'가 'BL 좋아하는 여자'라는 의미로 혼용되는 것 처럼 '동인남'도 'BL 좋아하는 남자'라고 혼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동인남의 정의는 단순히 2차 창작을 하는 남성이라는 뜻이다. BL을 좋아하는 남성을 지칭하는 단어는 부남자이며, '부남자'가 '동인남'에 포함되는 하위 개념이지 동인남 = 부남자인건 아니다. 여성 캐릭터들 덕질을 하고 GL을 파는 남성들도 전부 '동인남'이다.

하지만 사실 오덕계에서는 여성 캐릭터(혹은 GL) 덕질을 하는 경우는 오타쿠라 부르고 남성 캐릭터(혹은 BL) 덕질을 하는 경우는 동인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이는 동인녀가 일방적으로 'BL을 좋아하는 여자'를 뜻하는 부녀자와 혼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경향이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동인녀의 활동 비율에 비해서 동인남의 활동 비율은 적은 편이었다. 2010년대 초반까지 코믹월드가 여성향 위주로 구축된 것도 있고, 2010년대 초반까지 남성향 동인에서는 스스로 그리는 회지가 그다지 저작권을 존중받지 못하는 것도 있으며[2] 커뮤니티 구축 자체가 활발하지 않았던 터라 2010년대 초반까지는 창작활동을 하는 남성층은 드물게 볼 수 있을 뿐이었다.

미묘하게 여성층에 비해 전체 회지 대비 19금 회지의 비율이 높다고도 한다.

2000년대 중반 페이트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등의 남성향 작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코믹에도 남성향 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해 이후에도 꾸준히 동인지를 판매하는 남성향측이 증가해 왔다. 현 코믹 성비는 6:4 정도. 하지만 코믹만 보고 남성향여성향의 비율을 추측하는 건 좀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이후 2020년대에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이 활성화되고 그 커뮤니티도 활성화되면서 게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2차 창작, 동인 활동이 2010년대 이전보다 훨씬 활성화되었고, 이 온라인 동인 활동의 활성화가 오프라인까지 영향을 미쳐 블루 아카이브 같은 남성향 게임의 온리전이 열리며 코믹 월드 같은 동인 행사에도 남성향 비중이 대폭 상승하는 등 2000년대 이전보다 남성향 동인 활동의 비중이 대폭 상승했다.

3. 대표적인 동인남

동인 2차 창작을 하는 남자만 작성할 것. 오덕한 것을 감상만 하는 남자는 동인남이 아니다.

4. 관련 항목



[1] 은근히 부심 부리는 동인남들도 꽤 존재한다고...[2] 까놓고 말해 불펌과 공유가 넘쳤다.[3] 동인남이긴 하지만 본인이 나서서 2차 창작을 하지는 않는데, 창작하는 여사친들의 원고를 어시하면서 도와주다보니 본의아니게 창작을 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