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할시(valstspilsēta) | |||||
리가★ Rīga | ||||||
다우가우필스 Daugavpils | 옐가바 Jelgava | 유르말라 Jūrmala | ||||
리에파야 Liepāja | 레제크네 Rēzekne | 벤츠필스 Ventspils | ||||
지방 자치체(novads) | ||||||
아이스크라우클레군 Aizkraukles novads | 알룩스네군 Alūksnes novads | 아우구슈다우가바군 Augšdaugavas novad | 아다지군 Ādažu novads | 발비군 Balvu novads | 바우스카군 Bauskas novads | |
체시스군 Cēsu novads | 디엔빗쿠르제메군 Dienvidkurzemes novads | 도벨레군 Dobeles novads | 굴베네군 Gulbenes novads | 옐가바군 Jelgavas novads | 예캅필스군 Jēkabpils novads | |
크라슬라바군 Krāslavas novads | 쿨디가군 Kuldīgas novads | 체카바군 Ķekavas novads | 림바지군 Limbažu novads | 리바니군 Līvānu novads | 루자군 Ludzas novads | |
마도나군 Madonas novads | 마루페군 Mārupes novads | 오그레군 Ogres novads | 올라이네군 Olaines novads | 프레일리군 Preiļu novads | 레제크네군 Rēzeknes novads | |
로파지군 Ropažu novads | 살라스필스군 Salaspils novads | 살두스군 Saldus novads | 사울크라스티군 Saulkrastu novads | 시굴다군 Siguldas novads | 스밀테네군 Smiltenes novads | |
탈시군 Talsu novads | 투쿰스군 Tukuma novads | 발카군 Valkas novads | 발미에라군 Valmieras novads | 벤츠필스군 Ventspils novads | 바라클랴니군 Varakļānu novads | |
| }}}}}}}}} |
라트비아의 직할시 다우가우필스 Daugavpils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 | |||||
<rowcolor=#fff> 깃발 | 문장 | }}} | |||||
<colbgcolor=#9e3039><colcolor=#FFFFFF> 국가 |
| ||||||
지방 | 라트갈레 | ||||||
면적 | 72.37km2 | ||||||
인구 | 78,850명[A] | ||||||
인구밀도 | 1,100명/km2[A] | ||||||
기후 | Dfb | ||||||
시간대 | UTC+02:00 |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e3039><colcolor=#fff> 라트비아어 | Daugavpils [ˈdauɡaupils] |
리투아니아어 | Daugpilis (다욱필리스) | |
독일어 | Dünaburg (뒤나부르크) | |
폴란드어 | Dyneburg (디네부르크) Dźwinów (지비누프) Dźwińsk (지빈스크) | |
러시아어 | Даугавпилс (다우가프필스)[3] Борисоглебск (보리소글렙스크)[4] Двинск (드빈스크)[5] Динабург (디나부르크)[6] Невгин (네브긴) | |
이디시어 | דענענבורג (데넨부르그) דינאַבורג (디나부르그) דווינסק (드빈스크) | |
라트갈레어 | Daugpiļs (다욱필스) | |
핀란드어 | Väinänlinna (배이낸린나) | |
에스토니아어 | Väinalinn (배이날린) Düünaburg (뒤나부르그) | |
벨라루스어 | Даўгаўпілс (다우하우필스) Дзвінск (즈빈스크) Дынабурґ (디나부르크)[7] |
1. 개요
다우가우필스는 라트비아의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라트비아 남동부에 위치해 있고 라트갈레의 중심지이다. 라트비아에선 리가다음으로 큰 도시이자 제2의 도시로 라트비아인, 러시아인, 라트갈레인, 폴란드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라트비아에선 리가와 함께 러시아어가 많이 쓰이는 도시이다. 러시아인들의 비중이 높고 러시아어 사용이 많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교류가 많은 편이다.2. 역사
다우가우필스라는 이름에는 ‘다우가바 강변의 도시’라는 의미가 있을 만큼, 이 도시는 다우가바강(서드비나강)과 역사를 함께 하고 있다. 1275년 에른스트 폰 라체부르크가 이끄는 리보니아 기사단이 뒤나부르그 성을 건설하면서 시작했다. 당시 리보니아 기사단은 튜튼 기사단과 함께 기독교를 전파하겠다는 명목으로 이 일대에 살던 슬라브인들을 지배하였다. 이는 현지 슬라브인들의 반발을 불러왔고 결국 13세기경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뒤나부르그 성을 점령하였고 이후 1569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그 이후 다우가우필스는 러시아, 스웨덴, 폴란드의 각축장이 되었다. 왜냐하면 민스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리가, 바르샤바 사이에 위치해있가 때문이다. 결국 1772년 폴란드 제1차 분할 이후 다우가우필스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다우가우필스는 프로이센의 주요 도시였던 쾨니히스베르크와 매우 가까워서 러시아는 이 일대에 요새를 건설하였으며 이름도 러시아식인 드빈스크로 바꾸었다. 1917년 러시아에 혁명이 일어나자 폴란드와 발트 3국은 독립하였다. 하지만 소련은 다시 이들을 지배하려고 했고 1919년부터 1920년까지 다우가우필스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폴란드-라트비아 연합군이 이김으로서 라트비아는 독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1939년 독소불가침조약이 맺어지면서 발트 3국과 폴란드 절반은 소련 차지가 되었다. 소련 말기에 다우가바 강에 수력 발전소를 건설하자는 제안이 있었는데, 라트비아인들은 결사적으로 수력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였고 이는 노래혁명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3. 인구
역사적으로 다우가우필스는 다문화도시로 러시아인이 48.6%, 라트비아인이 20.1%, 폴란드인이 13.3%. 벨라루스인이 7,6%, 우크라이나인이 2.0%, 리투아니아인이 0.9%, 집시가 0.4%, 기타가 7.1%다. 원래 193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유대인이 26.9%였으나 나치가 다우가우필스를 점령한 뒤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거나 노예가 되어서 목재를 벌목해야만 했다. 결국 16,000명이나 있던 다우가우필스의 유대인은 100명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4. 랜드마크
- 다우가우필스 요새 (Daugavpils fortress) : 19세기 초 나폴레옹이 러시아 제국을 침공하려고 하자 차르 알렉산데르 1세의 칙령에 따라 건설되었다. 하지만 요새 건설은 지지부진해서 1878년에 완공되었다. 오랫동안 러시아 제국 서부 국경의 방어 기지였다. 독소전쟁 시기 레닌그라드 겨울 궁전에 있던 호박실을 약탈한 독일군이 급하게 퇴각을 하면서 요새 어딘가에 그 보석들을 숨겨놓았다는 전설이 있다.
- 다우가우필스 극장 (Daugavpils teātris) : 1857년 만들어진 라트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
- 성 베드로 교회 (Daugavpils Svētā Pētera baznīca) : 1845-1848년에 지어졌으며 1924-1934년에 재건된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가톨릭 성당이다.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당 (Александро-Невский собор) : 1864년에 지어졌지만 공산 정권시기 파괴되었다가 1999-2003년에 다시 지어진 정교회 교회.
- 교회 언덕 (Baznīci kalnas) : 4개의 기독교 교단의 성당이 나란히 위치한 언덕.
- 성 보리스 글레브 정교회성당 (Svēto Borisa un Gļeba pareizticīgo katedrāle) : 1905년 지어진 라트비아에서 가장 큰 정교회 성당
- 마르틴 루터 성당 (Mārtiņa Lutera evaņģēliski luteriskā baznīca) : 1893년 신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벽돌 성당으로 루터파 소속이다.
- 성모 마리아 교회 (Daugavpils Jaunavas Marijas baznīca) : 1905년 완공된 가톨릭 성당.
- 성 니콜라스 고의식파 교회 (Sv. Nikolaja vecticībnieku baznīca) : 1907년에 지어진 고의식파의 교회.
5. 여담
[A] 2023년 기준[A] [3] 라트비아어 음차명.[4] 1667년 이전까지 사용.[5] 1920년 이전까지 사용.[6] 발트 독일어 음차명. 1893년 이전까지 사용.[7] 발트 독일어 음차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