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9:42:38

드림캐처

1. 전통 공예품
1.1. 창작물에서
2. 단체
2.1. 대한민국의 걸그룹2.2. 게임 유통사
3. 작품
3.1. 스티븐 킹의 소설
3.1.1. 영화화
3.2. 오동진의 웹툰3.3. 정서휘의 소설3.4. 걸그룹 여자친구의 노래

1. 전통 공예품

파일:9892-lapac-snu.jpg

Dreamcatcher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 주술품으로, 창문 등 잠자리 근처에 걸어놓으면 악몽을 잡아준다는 물건이다. 일종의 부적과 비슷한 물건이라 할 수 있다. '드림캐처'는 미국인들이 영어로 붙인 이름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중 하나인 오지브웨족은 아사비케이시(asabikeshiinh)라 한다.[1]

파일:il_570xN.375286450_jgzw.jpg

기본적인 디자인은 동그란 틀에 실로 거미줄 모양을 만들고 가운데에 보석 등의 원석을 단 후 밑에는 여러가지 깃털을 매단다. 이때 저가형의 경우 단가 문제로 보석은 비즈 등으로 생략되기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한 노파가 침상 옆에 거미줄을 치는 거미를 바라보는데, 그때 손자가 거미를 발견하여 죽이려는 것을 못하게 말리자 거미의 여신이 감사의 표시로 준 선물이 바로 드림캐처라고 한다.

깃털은 좋은 꿈을 내려주고, 원형 안에 엮인 실은 악몽을 잡아주는 그물 역할을 하는 거미줄이며, 드림캐처에 달린 구슬은 붙잡힌 악몽이 아침 햇살을 받아 변한 이슬을 상징한다고 한다.

한글 표기는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드림캐처'이다. 한국어에서는 ㅈ, ㅉ, ㅊ 가 이미 구개음화된 음이라 뒤에 ㅣ 계 이중모음이 오든 단모음이 오든 발음이 똑같기 때문이다. 즉, '처'건 '쳐'건 발음이 같다. 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 참고. 한편, 아래의 소설이나 영화 등은 모두 공식 표기가 '드림캐쳐'이다.

1.1. 창작물에서

  • 게임 쿠키런: 킹덤에서는 롤케이크 공작소의 최종 생산물로 '백조깃털 드림캐처'를 만들 수 있다.[3]
  • 게임 Hollow Knight에서 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아이템인 몽환의 대못의 모티브이다. 게임상에서 꿈과 관련있는 요소는 드림캐처 형태의 이펙트가 나타난다.

2. 단체

2.1. 대한민국의 걸그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림캐쳐(아이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게임 유통사

1996년에 설립한 게임 유통사로 페인킬러, 슈퍼파워2 등의 유통을 맡았으며 2011년에 폐업했다.

3. 작품

3.1. 스티븐 킹의 소설

정신박약아를 구해 특별한 능력을 얻은 4명의 친구들이 휴가를 와서 생긴 기이한 일을 다룬다.

3.1.1. 영화화




2003년에 개봉했다. 당시로써는 CG의 질이 높다고 평가되며, 꽤나 잔혹한 연출이 특징이다. 모건 프리먼, 대미언 루이스, 톰 시즈모어가 출연하는 등 캐스팅에도 나름 신경 썼으나 영화 자체의 완성도는 그렇게 높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인공인 4명의 친구 중 한 명인 헨리 데블린 역할을 맡은 토머스 제인은 이후 같은 스티븐 킹 소설 원작의 영화 미스트의 남자 주인공을 맡았다.

SBS 영화특급에서 2008년 4월 12일, 10월 12일에 더빙 방영했는데 잔혹성 때문인지 5분 가량이 편집되었다.

3.2. 오동진의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림캐쳐(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정서휘의 소설

인간의 악몽을 없애는 드림캐처와 인간에게 악몽을 심는 드림체이서의 대결을 다룬 판타지 청소년 소설.

3.4. 걸그룹 여자친구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回:LABYRINT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뜻은 거미로, 아사비케이시에서 아삽(asab)은 그물, 아사비케이(asabike)는 그물을 엮는 자, 시(shiinh)는 작은 생물을 뜻한다. 출처1 출처2[2] 미래의 문의 다크 시그너스 제외.[3]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다른 생산물처럼 소원나무나 곰젤리 열차 납품용이다. 이 백조깃털은 쿠키런 세계관 내의 반신인 설탕백조의 깃털로, 플레이버 텍스트 또한 드림캐처의 원래 의미를 충실하게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