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5:27:32

드미트리 안드레이킨

세계 체스 선수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순위 이름 레이팅
1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2839
2위 파일:미국 국기.svg 히카루 나카무라 2807
3위 파일:미국 국기.svg 파비아노 카루아나 2789
4위 파일:인도 국기.svg 프라그나난다 2785
5위 파일:인도 국기.svg 아르준 에리가이시 2771
6위 파일:인도 국기.svg 구케시 디 2767
7위 파일:미국 국기.svg 웨슬리 소 2756
8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리레자 피로우자 2754
9위 파일:중국 국기.svg 웨이이 2753
10위 파일:독일 국기.svg 빈센트 카이머 2751
11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노디르벡 압두사토로프 2748
12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니시 기리 2746
13위 파일:미국 국기.svg 레본 아로니안 2744
14위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743
15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안 네폼니아치 2742
16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셰흐리야르 멤메디아로프 2741
17위 파일:미국 국기.svg 레니에 도밍게즈 2738
파일:프랑스 국기.svg 막심 바시에-라그라브 2738
19위 파일:중국 국기.svg 딩리런 2734
20위 파일:미국 국기.svg 한스 니먼 2733
21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페도세예프 2731
22위 파일:폴란드 국기.svg 얀크시슈토프 두다 2729
파일:베트남 국기.svg 레꽝리엠 2729
24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야보키르 신다로프 2722
25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베셀린 토팔로프 2717
26위 파일:중국 국기.svg 위양이 2714
27위 파일:인도 국기.svg 비딧 구주라티 2712
28위 파일:인도 국기.svg 아라빈드 치탐바람 2711
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처드 라포트 2711
30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안드레이킨 2710
31위 파일:인도 국기.svg 펜탈라 하리크리슈나 2704
32위 파일:미국 국기.svg 아원더 량 2698
파일:중국 국기.svg 왕하오 2698
34위 파일:인도 국기.svg 니할 사린 2693
35위 파일:미국 국기.svg 새뮤얼 세비안 269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조던 반 포레스트 2692
파일:이란 국기.svg 파르함 마그수들루 2692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테무르 라자보프 2692
39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두보프 2691
40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에시펜코 2687
41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알렉세이 사라나 2686
42위 파일:중국 국기.svg 부샹즈 2684
43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벨 엘야노프 2682
파일:러시아 국기.svg 표트르 스비들러 2682
45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노디르벡 야쿠보예프 2681
46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루스탐 카심자노프 2675
47위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 롭슨 267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키릴 알렉센코 2674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보그단-다니엘 디크 2674
50위 파일:이란 국기.svg 아민 타바타바에이 2673
2025년 9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A]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A]: 비활성화된 선수를 포함하면 가리 카스파로프가 2812점으로 2위다.
}}}}}}}}} ||
<colbgcolor=#fff><colcolor=#000>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 안드레이킨
Dmitry Vladimirovich Andreikin
Дмит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Андрейкин
파일:안드레이킨체닷이미지.jpg
본명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 안드레이킨
출생 1990년 2월 5일 ([age(1990-02-05)]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타이틀 GM (2007)
Elo 레이팅 27102025년 09월 기준
2743최고 레이팅
최고 랭킹 18위
구독자 2만명[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FIDE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활동
2.1. 초기 경력2.2. 2012년2.3. 2014년 도전자 결정전2.4. 2015~2016년2.5. 2016~2024년2.6. 2025년
3. 기풍4. 여담

1. 개요

러시아의 체스 선수.

2. 선수 활동

2.1. 초기 경력

2007년 GM이 되었으며, 2010년엔 월드 주니어 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여 주니어 챔피언이 되었다.

2.2. 2012년

2012년 블리츠 레이팅 2877을 찍었고, 블리츠 세계 2위가 되었다.

2.3. 2014년 도전자 결정전

2013년 FIDE 월드컵에서 블라디미르 크램닉을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이 대회로 2014 도전자 결정전에 참가하게 되었다.

2014년엔 2013 FIDE 월드컵 준우승 시드로 도전자 결정전에 참가하였고, 공동 3위를 하였다.

2.4. 2015~2016년

2015년 그의 최고 랭킹인 18위에 도달하였다.

2016년 6월 그의 최고 레이팅인 2743에 도달하였다.

2016년 유럽 블리츠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2.5. 2016~2024년

2019년 월드 블리츠 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자인 망누스 칼센을 이긴 유일한 사람이 되었다.

2022년엔 체스닷컴 월드 래피드 체스 챔피언십에서 히카루, 파비아노 카루아나, 웨슬리 소등 쟁쟁한 선수를 제치고 준우승을 하였다. [2]

2012년부터 2024년까지 줄곧 2700대를 유지했으나 2024년말 부진으로 레이팅이 2695까지 하락하였다.

2.6. 2025년

8월에 열린 튀르키예 슈퍼 리그에서 셰흐리야르 멤메디아로프등을 이기며 무패행진을 이어갔고, 레이팅을 다시 2710까지 복구했다.

3. 기풍

백으론 퀸즈 갬빗을 주로 두는 편이지만, e4 d4 c4 Nf3를 골고루 두는 편이다.

흑으론 시실리안을 주로 둔다.

빠르고 공격적인 체스를 두며, 블리츠 세계 2위를 찍어봤을 만큼 속기도 잘둔다.

4. 여담

  • 망누스 칼센과 거의 비등한 상대 전적을 보유하고 있다. 스탠다드 기준 1승 2무 1패이며[3], 래피드와 블리츠까지 포함하면 4승 5무 5패로 조금 열세이다. 온라인 전적도 거의 반반이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연맹을 FIDE으로 바꿨다.
  • fairchess라는 닉네임으로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구독자는 2만명 정도이다.
  • 세계 최정상급에서 경쟁하였고, 도전자 결정전에서 3위를 거둔적 있으며, 블리츠에선 세계 2위까지 오른적 있는선수이지만, 들이 세계 1~2등의 초 엘리트 수준이어서 그들과 대등하거나 약간 밑으로 평가된다.

[1] 2025년 8월 30일 기준[2] 우승은 러시아의 이안 네폼니아치[3] 물론 게임 수가 많이 없다는 점과 1승을 유소년때 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