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3:45:37

디아볼로스(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Diablos_FFVIII_Art.png

[clearfix]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소환수. 첫 등장은 파이널 판타지 VIII.

2. 행적

박쥐날개를 가지고 악마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소환하면 박쥐들이 모여 만드는 검은 구체에서 나와 그 구체를 적에게 던져 공격한다.

스퀄 일행이 팀버 작전으로 발람 가든을 떠날 때 시드 학원장이 "마법의 램프" 란 아이템을 건네주는데 이걸 문지르면 디아볼로스가 나와 전투가 벌어지며 승리하면 가디언 포스로 등록된다. 체력이 상당하며 중력계 고유 마법인 그라비쟈를 사용하여 파티의 HP를 1/4로 낮추고 평타로 끝장내는 전술을 사용하는데, 파해법을 알지 못하면 상당히 까다로운 패턴이지만 하나만 알면 매우 쉬워진다. 그것은 디아볼로스 자기 자신도 중력계 마법에 걸린다는 것. 그라비데를 드로우해서 몇번만 써주면 간단하다. 그리고 드로우 후 캐스트가 아니라 스톡 후 사용하면 케알가로 카운터를 쳐주는 기행을 선보인다.

가디언 포스가 되고 난 후엔 소환 시 '다크 메신저'라는 기술을 쓰는데, 전체 적 HP에 자신 레벨만큼의 비율을 가진 중력 대미지를 준다. 즉 디아볼로스의 레벨이 100이라면 체력대비 100%의 대미지를 주는 것. 물론 그래봤자 9999를 넘을 수는 없다.

3. 외전에서

3.1. 파이널 판타지 VI

GBA판에서 등장한다. 카이저 드래곤을 쓰러뜨리면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번엔 고유기의 중력 대미지 비율이 15/16으로 꽤 큰 편이지만, 일단 6편에선 소환수를 한 전투 당 1번만 소환할 수 있는데다, 이걸 얻었을 즘엔 그냥 다른 기술들로도 모든것을 파괴(...)해버릴 수 있기에 소환 자체의 효용성은 적다. 단, HP 성장률이 +100%이기에, 만렙 시 9999 HP를 찍기 위해 3개 레벨업을 68~71 구간에서 소비해야 하는 바하무트와 달리 39~83 중 아무 두개 레벨업에만 소모해도 HP 만땅을 찍을 수 있다는 매우 소소한 장점은 있다(물론 디아볼로스도 68~71에서 렙업시키는 게 효율이 제일 좋지만 말이다).

3.2. 파이널 판타지 XIV

신생 에오르제아 2.2 혼돈의 소용돌이에 추가된 던전 옛 암다포르 시가지창천의 이슈가르드 24인 레이드 마하의 그림자 시리즈의 주역 악당으로 나오며, 해당 레이드 연대기의 마지막 던전 둔 스카의 최종 보스로 등극한다.

3.3. 파이널 판타지 브레이브 엑스비어스

어둠 속성의 환수로 등장하며, 강림 던전 보스중 가장 종류가 많은 인간과 악마 킬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초반에 메인딜 러에게 가장 자주 장착되는 환수.

3.4.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강력한 미라쥬로 이른바 일곱 기둥의 하나로 언급된다. 여기서 일곱 기둥이란 이프리트, 시바, 라무, 리바이어던, 오딘, 바하무트와 이것이다. 이프리트, 시바, 라무와 L형 미라쥬인 것과 다르게, 디아볼로스는 리바이어던, 오딘, 바하무트와 같이 XL형 미라쥬로 메가 미라쥬이다. 즉 전투에서 소환하듯 사용할 수 있다.

바다 신전에서 아쵸 공주를 돕고 '바다의 열쇠'를 얻으면 봉인에서 풀려난다.

종막에서 세라피에게 가십 개더를 한 후, 소녀의 방 영혼 퀘스트 '과거의 죄'에서 디아볼로스를 격파하면 얻을 수 있다. 이 퀘스트 완료는 진 엔딩 조건 중 하나다.

키스티스는 셸크에게 특정 시간마다 발람 가든에 나타나는 악마를 조사해 달라고 말해, 셸크는 그 시간에 발람 가든 덱에서 기다린다. 그러자 디아볼로스가 나타나 자신을 악마라고 부르고 있다며 흥미롭다고 말한다. 셸크는 디아볼로스에게 100년간 악마의 수하로 불렀다고 말한다. 그러자 디아볼로스는 악마가 자신이 아닌 렌과 란임을 깨닫고 시시해 한다. 디아볼로스는 혼란한 그리모와르를 더 혼란하게 만드는 게 목적이라며 셸크와 상대한다. 어느 정도 체력을 소진시키면 아가르탈의 도시로 도망가며 셸크는 추격한다.

셸크가 아가르탈의 도시에 오면 디아볼로스는 셸크에게 악몽을 꾸게 해 그녀의 트라우마를 자극한다. 이러면서 2번째 전투가 시작되는데, 디아볼로스는 이 때 임프 둘과 함께 전투한다. 렌은 디아볼로스에게 남의 마음을 엿보고 약점을 잡다니 음험하다고 말하고, 란은 상대가 비몽사몽이라는 점을 악용해 사실을 왜곡한다며 저질이라고 말한다. 디아볼로스는 또 렌과 란이냐며 그보다 자신이 어째서인지 이 기억을 잊고 있었다고 말한다. 렌은 이때 그리모와르의 기억을 잊게 된 것이 나인우드 힐에 살게 된 것이 원인임을, 그리고 몽환의 힘과 기억의 규칙에 대해 깨닫게 된다. 전투에서 이기면 디아볼로스는 또 졌다면서 렌과 란에게 다시 복종하게 된다.

디아볼로스는 주로 수면과 독 상태 이상 공격을 자주 취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내성 미라 스톤이나 미라쥬를 갖고 와야 한다.

MAXIMA DLC에 추가된 숨겨진 던전의 최종 보스, 갈란드를 상대하려면 필수로 육성되어 있어야 한다. 다른 보스들의 경우 데스 서치 미라쥬가 갖고 있는 그라비데 정도만 있어도 충분하지만, 갈란드는 무더기로 나오기 때문에 디아볼로스 전용 어빌리티인 그라비쟈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4. 기타

북미 한정으로 몬스터 헌터 4G[1]와 콜라보를 진행하여 이 소환수의 외형을 바탕으로 한 방어구와 무기 세트가 추가되기도 했으며, 이 세트의 외형을 바탕으로 액션 피규어화도 진행했다. 자세한 것은 몬스터 헌터 4G 항목 참고.


[1] 북미판은 몬스터 헌터 4 얼티밋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