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조넌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1> | 레조넌스 雷索纳斯 Resonance Solstice | }}} | ||
<colcolor=#fff> | |||||
<colbgcolor=#111> 개발 | <colbgcolor=#fff,#1f2023>SOLSTICE STUDIO[1][2] | ||||
유통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GAME DUCHY [[대만| ]][[틀:국기| ]][[틀:국기| ]] HaoPlay Limited, Peiyu Digital Entertainment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Ujoy Games | ||||
플랫폼 | Android | iOS | Microsoft Windows | ||||
장르 | 카드 전략 철도 어드벤처 RPG | ||||
출시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2024년 2월 29일 [[대만| ]][[틀:국기| ]][[틀:국기| ]] 2024년 9월 19일 [[일본| ]][[틀:국기| ]][[틀:국기| ]] 2024년 10월 17일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2025년 2월 14일 | ||||
엔진 | 유니티 | ||||
지원 언어 | 자막 중국어 간체 | 일본어 | 한국어 음성 중국어 | 일본어 |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레조넌스 솔스티스: 프롤로그 |
출발하라, 무한한 여행에!
중국 개발사 SOLSTICE STUDIO(솔스티스 스튜디오)에서 개발, 유통하는 실시간 카드 전략 전투 + 열차 시뮬레이션 운영 플레이를 결합한 철도 어드벤처 RPG 모바일 게임.중국명 레조넌스 솔스티스로 출시하였으나, 일본에서 레조넌스: 무한호열차로 이름이 일부 변경된 후 한국에서는 게임 이름이 레조넌스로 변경되었다. 영어 부제는 여전히 Resonance Solstice로 유지된다.
2. 시놉시스
[레조넌스: 뒤섞인 세계] 1962년, 지구의 운명이 바뀌었다. "셀레네 베타"라 불리는 신비의 천체가 지구 궤도에 진입하면서 세상은 혼돈에 빠졌다. 충돌로 인해 지구는 형태오염에 시달리게 되고, 인류는 생존을 위한 처절한 싸움을 시작한다. 이제 인류는 둘로 나뉘었다. 한쪽은 질서 회복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다른 쪽은 혼돈 속에서 신인류를 꿈꾼다. 당신의 선택은? 질서인가, 혼돈인가? 생존인가, 초월인가? |
게임 소개 |
==# 미디어 #==
레조넌스 솔스티스 콘셉트 PV |
「전송 테스트」 PV |
만우절 기념 영상 |
「전송 테스트」 애니메이션 PV |
애니메이션 PV | 레조넌스: 프롤로그 |
3. 출시 전 정보
- 2021년 11월 22일, 레조넌스 솔스티스의 공식 계정이 생성되었다.
- 2021년 12월 10일, 첫 번째 CBT 「사이클로트론 공명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
- Nuverse가 유통을 담당할 예정이었지만, 바이트댄스의 비디오 게임 사업 철수와 경영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개발사인 게임더치 직접 운영으로 변경되었다.
- 2023년 3월 23일, 레조넌스 솔스티스의 판호가 발급되었다. #
- 2023년 12월 28일, 과금 가능 파일 삭제 CBT 「전송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
- 2024년 2월 27일, 사전 다운로드가 시작되었다.
- 2024년 7월 27일, 일본서버 SNS가 개설되었다.
중국 서비스 카운트다운 일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D-7 | |
D-6 | |
D-5 | |
D-4 | |
D-3 | |
D-2 | |
D-1 | }}}}}}}}} |
4. 캐릭터
5. 설정
6. 지역
7. 세력
8. 시스템
8.1. 모집
8.2. 교역
8.3. 열차 운영
9. 미디어 믹스
9.1. 열차장의 하루
열차장의 하루 제1화 |
열차장의 하루 제2화 |
10.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5f6269,#5f6269><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Google Play 로고.svg]()
||
기준일:
2025-2-19
2025-2-19
총 평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ujoygp.res| ★★★★★ 4.8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3400; font-size:.9em"]]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71e3,#0071e3><table bgcolor=#ffffff,#1c1d1f>
||
기준일:
2025-2-19
2025-2-19
총 평점: [[https://apps.apple.com/kr/app/고유 title/6639591183| ★★★★★ 4.8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1100; font-size:.9em"]] |
- 신선한 장르
서브컬쳐 철도 시뮬레이션 RPG 라는 새로운 장르의 작품이다보니 교역과 전투를 병행하는 게임성을 보여주기에 신선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나 교역이 섞이면서 여타 서브컬쳐 RPG에서는 흔히 무시되던 기본재화 "골드"가 인게임 최중요 재화로 설계되었고, 골드 수급을 위한 전투나 탐험 등이 강조되면서 성장 동력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적인 부분으로 꼽힌다. 이는 대항해시대 시리즈 같은 장르의 코어 로직에 해당하는데,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에서 이를 녹여낸 경우로는 첫 케이스다.
전투측면에서는 블루 아카이브와 같은 서브컬쳐 RPG에서 흔히 보이는 덱 전투 방식에 Fate/Grand Order에서 채택한 카드 커맨드 방식을 섞은 방식이라 평이 엇갈리는 면이 있다.
전체적으로 열차 운영과 커스터마이징 등에 크게 공을 들였다보니 장르 내에서는 선방하고 있는 게임이다. 일본에서는 철도 동호인의 세가 강하다보니 열차 스킨만으로도 장사가 될거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코레일이라는 이름으로 한국 열차(KTX 산천) 스킨을 출석보상으로 무료 배포하며 로컬라이징하기도 했다.
- 무난한 BM
월정액은 7500원이라 일반적인 월정액보다는 20% 정도 비싼 편이지만 월정액과 패스 BM 만으로도 대부분의 신규 캐릭터 명함을 얻을 수 있다보니 무난한 BM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가챠에서는 80회 반천장, 160회 천장을 채용하고 있고 가챠 이월도 적용된다.
게임 출시 1년이 가까이가 되는 시점에 출시하였음에도 0티어에 해당하는 나유타/스텔라 등의 캐릭터 의존도가 굉장히 높기에 필수캐를 뽑고 시작해야 하는 게임이라는 우려를 사기도 했는데, 출석 3일차에 SSR 선택권을 배포하여 이러한 우려를 잠식시키는 모습을 보였기에 BM 운영이 준수하다고 평할 수 있다.
- 풀더빙
호화로운 성우진을 채용하여 풀더빙을 진행하였다보니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특히나 인게임 열차 안내 방송에 실제 열차 안내 방송 녹음자들을 섭외하는 수준으로 정성을 들여 호평을 받았다.
11. 콜라보레이션
12. 여담
- 로그인 화면 배경음악을 사와노 히로유키가 작곡하였다. 가수는 Mizuki.
- 2024년 11월, 일본에서 R랭크 캐릭터인 레이첼의 담당 성우인 모모세 메구미(본명 하기와라 모모에)가 사전지부정제출에 의한 사기혐의로 긴급 구속되어 성우가 변경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사전지부정제출은 쉽게 말하면 대포폰 제작에 협력[7]했다는 것인데, 그간 건강상 이유나 은퇴 등의 개인적 이유가 아니면 잘 해 봤자 불륜 정도의 범죄가 고작이었던 성우교체 사유에 사기죄로 인한 구속으로 교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13. 외부 링크
[1] 杭州雷索纳斯信息科技有限公司 직역하자면 대충 항저우 레조나스 정보기술유한회사.[2] 기동전대:아이언사가를 개발한 GAME DUCHY 소유의 독립 개발 스튜디오, Banging Studio(上海泪雨网络科技有限公司)의 개발팀[3] 서울교통공사 관할의 서울 지하철 1호선 ~ 8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4호선의 차내 안내방송과 열차 진입 안내방송,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차내 광고 방송을 담당.[4] KTX 차내 안내방송 담당.[5] 개발사의 전작[6] 해당 작품과 비슷하게 열차와 전투를 다룬 작품[7] 타인 명의의 유심 카드를 자기가 만든 것처럼 받은 후 범죄조직 등에 넘겼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