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 가톨릭 교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keepall><nopad> | <nopad> 정교회 | ||||
<colbgcolor=#fed466> 비잔틴 예법 | 그리스 비잔틴 가톨릭 | 러시아 그리스 가톨릭 |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 루테니아 그리스 가톨릭 | 리투아니아 그리스 가톨릭 | 마케도니아 그리스 가톨릭 |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불가리아 그리스 가톨릭 | 슬로바키아 그리스 가톨릭 | 알바니아 그리스 가톨릭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조지아 비잔틴 예법 가톨릭 |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그리스 가톨릭 | 폴란드 그리스 가톨릭 | 헝가리 그리스 가톨릭 | |||||
<nopad> (모교회 없음) | ||||||
| ||||||
<keepall><nopad> | 콥트 정교회 | |||||
알렉산드리아 예법 | | |||||
<keepall><nopad> | <nopad>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
아르메니아 예법 | | |||||
<keepall><nopad> | (모교회 없음) | 시리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
안티오키아 예법 | | | | |||
<keepall><nopad> | 아시리아 동방교회 | 칼데아 시리아 정교회 | ||||
칼데아 예법 | | | ||||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eab00, #ffcc20 20%, #ffcc20 80%, #deab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cc20,#ffcc20> 우크라이나 | 루마니아 | 인도 | |
<rowcolor=#ffcc20,#ffcc20> 비잔틴 예법 | 동시리아 예법 | 서시리아 예법 | ||
<rowcolor=#ffcc20,#ffcc20>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 |
키이우-할리치 |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 에르나쿨람-앙가말리 | 티루바난타푸람 | |
스뱌토슬라우 셰우추크 | 루치안 무레샨 | 라파엘 타틸 | 바셀리오스 클레미스 | }}}}}}}}}}}} |
루마니아어 | Biserica Română Unită cu Roma, Greco-Catolică |
라틴어 | Ecclesia Graeco-Catholica Romaniae |
영어 | Romanian Greek Catholic Church |
1. 개요
1687년 합스부르크가 트란실바니아를 정복한 후 1698년 연합법에 따라 설립된 동방 가톨릭 교회의 일파이다. 퍼거라슈-알바이울리아 상급대주교좌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 상급대주교는 루치안 무레샨 상급대주교다.2016년판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2012년 말 기준으로 신자 수 50만 4,280명, 주교 8명, 본당 1,225곳, 교구 사제 약 835명, 자국 예식 신학생 235명을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2011년 루마니아 정부의 인구조사에서는 루마니아 내 신자 수가 15만 593명 뿐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12만 4,563명이 루마니아계로 확인됐다.
이후 2022년 기준으로 교회 측은 신자 수가 약 48만 8,000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이는 공산 정권 시기 정교회로 개종하거나 무신론을 받아들였던 이들의 후손 중 일부가 다시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로 돌아오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역사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정식 명칭: Biserica Română Unită cu Roma, Greco-Catolică)는 17세기 말 트란실바니아 지역에서 형성되었다. 당시 트란실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1687년부터 합스부르크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으며, 이 지역의 루마니아인 다수는 루마니아 정교회를 신앙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헝가리인, 트란실바니아 색슨족, 세케이족 등 세 민족이 주도하는 '세 민족 연합'(Unio Trium Nationum)에 포함되지 못했고, 가톨릭·루터교·칼뱅파·유니테리언 네 종교만이 공인된 종교로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루마니아 정교회 신자들은 종교적·사회적 차별을 받았고, 일부 성직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교황청과의 일치를 모색하였다.1697년부터 1701년 사이에 블라지(Blaj)의 주교를 지낸 아타나시에 안겔(Atanasie Anghel)은 여러 명의 대사제들과 함께 로마 교황청과의 일치를 추진하였고, 이는 1700년 9월 4일 주교 시노드를 통해 공식화되었다. 이어 1701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교황 칙서 Indulgentiarum Dominus를 통해 이 합의를 인준하여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설립을 선포하였다. 일치의 조건은 피렌체 공의회에서 제시된 네 가지 교리를 수용하는 것이었으며, 교황의 수위권, 연옥 교리, 필리오케(Filioque) 조항, 무교병 사용의 정당성 등이 포함되었다. 동시에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측은 자국 성직자 임명권과 비잔틴 전례의 유지, 전통적인 교회 관습의 존중 등을 인정받았으며, 교회 언어로는 여전히 교회 슬라브어 또는 루마니아어가 사용되었다.
합스부르크 황제 레오폴트 1세는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합류를 승인하면서 루마니아인을 공인된 가톨릭 공동체로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루마니아인은 기존의 종교적·사회적 한계를 일부 극복할 수 있었다. 블라지는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의 중심지로 부상하였으며, 학교와 인쇄소가 설립되어 루마니아어 교육과 출판 활동이 시작되었다. 루마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신앙 공동체로서뿐 아니라 민족적 각성과 계몽주의를 촉진하는 지적 기반이 되었고,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인 정체성 형성과 민족 운동의 토대가 되었다. 한편, 이러한 일치는 세르비아 정교회와 개신교 귀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정교회 부활 운동이 전개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