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루미너스 Luminous ||
1. 개요2. 특징3. 0차: 루미너스의 기본(Light Control)4. 1차: 루미너스(레벨 10, First Light)5. 2차: 루미너스(레벨 30, Second Light)
5.1.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5.2. 실피드 랜서5.3. 인바이러빌러티5.4. 보이드 프레셔5.5.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5.6. 매직 액셀레이션5.7. 스펠 마스터리5.8. 하이 위즈덤
6. 3차: 루미너스(레벨 60, Third Light)6.1. 스펙트럴 라이트6.2. 샤인 리뎀션6.3. 녹스피어6.4. 데스 사이드6.5. 루멘 셰이드6.6. 안티 매직쉘6.7. 포틱 메디테이션6.8. 라이트랜스포밍 부스트6.9. 라이트쉐도우 가드6.10. 셀프 리커버리
7. 4차: 루미너스(레벨 100, Final Light)7.1. 운명의 갈림길7.2. 라이트 리플렉션7.3. 트와일라잇 노바7.4. 아포칼립스7.5. 앱솔루트 킬7.6. 다크니스 소서리7.7. 다크 크레센도7.8. 매직 마스터리7.9. 다크라이트 마스터리7.10. 메이플 용사7.11. 용사의 의지
8. 하이퍼 스킬: 루미너스(레벨 140)8.1. 스킬 강화 패시브
9. 5차: 루미너스(레벨 200) / V 매트릭스8.1.1. 라이트 리플렉션-리인포스8.1.2. 라이트 리플렉션-스프레드8.1.3. 라이트 리플렉션-애드 레인지8.1.4. 아포칼립스-리인포스8.1.5. 아포칼립스-크리티컬 레이트8.1.6. 아포칼립스-엑스트라 타겟8.1.7. 앱솔루트 킬-리인포스8.1.8. 앱솔루트 킬-엑스트라 타겟8.1.9. 앱솔루트 킬-애드 레인지
8.2. 공격 / 버프 액티브9.1. 스킬 코어
10. 6차: 루미너스(레벨 260) / HEXA 매트릭스9.1.1. 오버로드 마나(마법사 공통)9.1.2. 프리드의 가호(영웅 공통)9.1.3. 에테리얼 폼(마법사 공통)9.1.4.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9.1.5. 진리의 문9.1.6. 퍼니싱 리소네이터9.1.7. 빛과 어둠의 세례9.1.8. 리버레이션 오브
9.2. 강화 코어10.1. 마스터리 코어10.2. 강화 코어10.3. 스킬 코어
11. 삭제된 스킬12. 변경된 스킬13. 관련 문서1. 개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루미너스가 사용하는 스킬들을 정리한 문서.2. 특징
- 루미너스의 공격 스킬은 빛 마법과 어둠 마법, 혼합 마법의 세 종류로 나뉜다. 단, 빛과 어둠을 사용한다고 해서 빛 공격이 언데드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는 것은 아니다. 즉 모든 공격은 물리 속성이다.
- 루미너스의 스킬 대부분은 검은 마법사의 공격 패턴과 유사하다.
3. 0차: 루미너스의 기본(Light Control)
3.1. 선파이어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선파이어 상태의 오브 | 상태 변화 시 이펙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선파이어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으로 가득 차 빛 마법 사용 시 추가 타격을 하며 빛 공격 마법으로 적을 공격할 때마다 HP의 일정 비율을 회복한다. | |
효과 | 1 | 빛 스킬 사용 시 최종 데미지의 50%로 추가 타격, 빛 마법으로 적 공격 시마다 순수 HP의 1%씩 회복 |
"어둠을 가르는 한줄기 빛으로!"
"빛을 모으겠어."
빛 마법 강화 상태. 이클립스 상태 적용 중이나 접속 후에 이퀄리브리엄을 발동 시킨 후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지속시간이 끝나거나, 접속 후 빛 스킬을 사용하면 선파이어 상태가 된다. 선파이어 상태가 되면 효과음과 함께 캐릭터 뒤에 이펙트가 발생하며, 캐릭터 옆의 오브의 모습이 변화한다."빛을 모으겠어."
선파이어 상태에서는 빛 마법의 타수가 2배, 피해량이 1.5배 늘어나며, 빛 마법으로 적을 공격할 때마다 순수 HP[1]의 일정 비율을 공격한 적의 수에 비례해 회복한다.
3.2. 이클립스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이클립스 상태의 오브 | 상태 변화 시 이펙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이클립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어둠으로 가득 차 어둠 마법 사용 시 추가 타격을 하며 어둠 공격 마법 시전 시 MP가 소비되지 않는다. 캐릭터 외형 변화 온오프 : 마우스 우클릭 | |
효과 | 1 | 어둠 스킬 사용 시 최종 데미지의 50%로 스킬의 공격 횟수만큼 추가 타격, 어둠 공격 마법 시전 시 MP 소비 0 |
"어둠이 느껴진다..."
어둠 마법 강화 상태. 선파이어 상태 적용 중 이퀄리브리엄을 발동 시킨 후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지속시간이 끝나거나, 접속 후 어둠 스킬을 사용하면 이클립스 상태가 된다. 이클립스 상태가 되면 효과음과 함께 캐릭터 뒤에 이펙트가 발생하며, 캐릭터 옆의 오브의 모습과 얼굴 외형이 변화된다.[2]이클립스 상태에서는 어둠 마법의 타수가 2배, 피해량이 1.5배 늘어나며, 어둠 마법의 MP 소모가 사라진다.[3]
3.3. 이퀄리브리엄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오브 | 상태 변화 시 이펙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이퀄리브리엄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과 어둠이 완벽히 균형을 이루어 스탠스 확률이 증가하고 모든 피해가 1로 적용되며 빛, 어둠, 이퀄리브리엄 마법 시 추가 타격을 한다.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으며 빛 공격 마법 시전 시 HP의 일정 비율을 회복하고 어둠 공격 마법 시전 시 MP를 소비하지 않는다. 캐릭터 외형 변화 온오프 : 마우스 우클릭 | |
효과 | 1 | 20초 동안 스탠스 확률 100% 증가 빛과 어둠 마법 사용 시 최종 데미지의 50%의 데미지로 스킬의 공격 횟수만큼 추가 타격 이퀄리브리엄 마법 사용 시 최종 데미지의 100%로 스킬의 공격 횟수만큼 추가 타격,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어둠 공격 마법 시전 시 MP소비 0, 빛 공격 마법 시전 시 HP 1% 회복 단, 스킬의 공격 횟수는 15번을 초과할 수 없고 이퀄리브리엄 마법은 빛과 어둠이 모두 적용된다. |
"빛과 어둠은 하나다."
빛과 어둠의 동시 강화 상태. 2차 전직 이후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을 사용하면 이퀄리브리엄 상태가 되며, 효과음과 함께 캐릭터 뒤에 이펙트가 발생하고 캐릭터 옆의 오브의 모습과 얼굴 외형이 변화된다.[4]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이퀄리브리엄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는다.[5]
- 이퀄리브리엄이 발동되면 일정 시간 동안 스탠스 확률이 100%로 증가한다.[6]
- 이퀼리브리엄 스킬에 한해 선파이어와 이클립스의 효과를 동시에 받는다.
- 모든 피해를 1만 받지만, 고정 피해나 최대 HP에 비례한 피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지속 중 공격 반사에 피해를 입지 않는다. 물론 공격 반사 패턴 자체가 블러디 퀸 이후로는 전혀 나오지 않는지라, 그리 중요한 사안은 아니다.
- 이퀄리브리엄 스킬은 선파이어/이클립스 상태일 때에도 해당 상태의 효과를 받기 때문에 표기된 타수의 2배, 데미지의 1.5배로 공격한다. 단 접속한 직후 아무 상태도 아닐 때는 표기된 공격 횟수만큼만 공격한다.
세 가지 상태가 동시 적용되지 못한다는 점을 이용해서 버프 즐겨찾기 기능에 선파이어, 이클립스, 이퀄리브리엄을 같은 줄에 등록하면 현재 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3.4. 파워 오브 라이트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파워 오브 라이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운명에 맞서는 의지와 마법사 특유의 통찰력, 지력이 높으며 레벨 업 시 MP가 더 많이 증가한다. 추가로 빛의 힘으로 암흑에 걸리지 않는다. | |
효과 | 1 | 의지 20레벨, 통찰력 20레벨, INT 20 증가, 레벨업 시 MP 증가량 증가, 암흑 상태에 영구 면역 |
파워 오브 라이트로 암흑 상태 이상에 저항하였습니다.
암흑 상태이상에 저항할 때마다 캐릭터 머리 위의 RESIST 표시와 함께 채팅창에 출력되는 메시지
루미너스의 특성을 반영하는 패시브. 성향 중 의지와 통찰력, 능력치 중 지력을 증가시키고, 추가로 시야를 제한하는 상태 이상에 영구 면역을 부여한다.암흑 상태이상에 저항할 때마다 캐릭터 머리 위의 RESIST 표시와 함께 채팅창에 출력되는 메시지
암흑 면역이 되는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엘리트 몬스터 중 '암흑의'라는 수식어를 가진 몬스터가 사용하는 상태이상
- 분노의 얼굴 블러디 퀸의 할퀴기
- 검은 마법사 2페이즈의 암흑 패턴
- 감시자 칼로스의 심연의 눈 투사체
- 발드릭스의 1페이즈 발드릭스 본체 패턴의 후방 공격
3.5. 라이트 블링크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30%>
||
||
<rowcolor=#000> 순간 이동 | 이동 경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블링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이 되어 적들에게로 이동한다. 마을에서는 마을 내의 랜덤한 위치로 순간 이동한다. | |
효과 | 1 | MP 40 소비, 범위 내 가장 먼 적에게로 이동. 단, 마을에서는 맵 상의 랜덤한 위치로 순간 이동 |
무작위 또는 대상 지정형 이동기. 사용 시 반투명 상태[7]가 되고, 범위 내의 가장 먼 적에게 순간이동한다. 마을에서 쓰면 필드 내에 랜덤한 위치 중 한 곳으로 이동한다.
3.6. 퍼미에이트(링크 스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링크 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링크 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퍼미에이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 | |
설명 | 무엇으로 가려도 스며드는 빛의 힘으로 적의 방어를 일정 부분 무시한다. | |
효과 | 2 | 적 공격 시 방어율 무시 15% 증가 |
루미너스의 링크 스킬. 제로와 호영보다 5%가 높기 때문에 보스에서는 필수 유니온 중 하나이다. 방어 무시는 무기와 보조무기나 엠블럼 등 일부 장비 아이템의 잠재능력에서만 등장하기 때문에, 방어율 무시가 낮은 캐릭터에게는 귀한 옵션이다. 다만 방무가 이미 93.3% 이상이라면 이 링크 스킬을 적용시키더라도 방어율 무시 수치가 1%p보다 적게 오른다.[8]
4. 1차: 루미너스(레벨 10, First Light)
전직 과정에서 빛의 길과 어둠의 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한 길에 해당하는 공격기와 최종 데미지가 소폭 증가하는 스킬을 받는다. 1~4차 과정을 건너뛰는 버닝 육성이 아니면 초반에는 어둠의 길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1. 트윙클 플래쉬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30%>
||
||<width=20%>
||
<rowcolor=#000> 시전 | 빛의 응집체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트윙클 플래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빛 마법] 적들을 관통하며 날아가는 빛의 응집체를 발사해 다수의 적을 공격한다. | |
효과 | 20 | MP 21 소비, 최대 5명의 적에게 280% 데미지 |
빛의 길을 선택했을 때 주어지는 다수 공격기. 수평으로 날아가는 빛의 화살을 발사해 전방의 적 다수를 공격한다. 1차 스킬임을 감안하더라도 공중 체공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긴 하나 액션 딜레이가 너무 길고 상하 범위도 별로라 어둠의 길을 고르고 다크 폴링을 사용하는 게 훨씬 낫다.
4.2. 다크 폴링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25%>
||
||<width=25%>
||
<rowcolor=#000> 시전 | 어둠의 응집체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다크 폴링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어둠 마법] 전방 다수의 적에게 어둠의 응집체를 떨어뜨려 피해를 입힌다. | |
효과 | 20 | MP 22 소비, 최대 6명의 적에게 107% 데미지로 3번 공격 |
어둠의 길을 선택했을 때 주어지는 다수 공격기. 하늘에서 검은색 덩어리들을 떨궈서 전방의 적 다수를 공격한다. 2차 스킬인 보이드 프레셔의 성능이 미덥지 못하기 때문에 이 스킬로 3차까지 버티는 게 정석이다.
4.3. 라이트랜스포밍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33.33%>
||<width=33.33%>
||<width=33.33%>
||
<rowcolor=#000> 순간이동 | 라이트 리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랜스포밍[9]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빛이 되어 이동한다. 방향 키를 누른 상태로 스킬을 시전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순간이동할 수 있다. 순간이동 직후 짧은 시간 투명화된다. 단, 실제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투명화 상태를 취하지 않는다. 공중에서 위 방향키와 함께 점프키를 사용하면 높이 도약할 수 있는 라이트 리프를 사용할 수 있다. 라이트 리프 사용 후 발판이 없어도 라이트랜스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패시브 효과로 이동속도, 점프력, 최대 이동속도가 영구히 증가한다. | |
효과 | 10 | 라이트랜스포밍 : MP 20 소비, 좌우 190 거리, 상하 320 거리를 텔레포트 라이트 리프 : MP 25 소모하여 위로 도약, 도약 후 지상에 착지하기 전에 1회에 한해 발판이 없어도 라이트랜스포밍으로 연계 가능, 다크라이트 마스터리를 습득한 후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는 추가로 연계 가능 [패시브 효과 : 이동속도 22, 점프력 10, 최대 이동속도 20 증가] |
텔레포트 및 상향 이동기. 텔레포트에 충돌 무시 효과가 붙어있다.[10] 또 공중에서 텔레포트를 1회 쓸 수 있지만, 반드시 윗점인 라이트 리프가 선행되어야 한다. 발판의 위치가 맞으면 공중에서 다른 발판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4.4. 오디너리 매직가드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오디너리 매직가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피해의 일정 비율을 MP로 대신한다. 단, 최대 HP의 일정 비율로 피해를 입히는 공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추가로 방어력이 영구히 증가한다. | |
효과 | 10 | 피해의 85%를 MP로 대체, 대신할 MP가 없을 경우 HP가 직접 감소 방어력 150 증가 |
받는 피해의 일정량을 MP로 치환해 소비하는 패시브. 최대 HP에 비례한 피해를 주는 공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모험가 법사의 것과 다르게 패시브이다.
4.5. 익스텐드 마나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익스텐드 마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최대 MP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20 | 최대 MP 30% 증가 |
MP 증가 패시브.
4.6. 빛 마법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빛 마법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5 | |
설명 | 빛 계열 마법의 공격력이 영구히 증가한다. | |
효과 | 5 | 빛 계열 마법의 최종 데미지 5% 증가 |
튜토리얼 마지막에서 빛의 길을 선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스킬이다. 스탯 공격력에는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고 빛 계열 스킬의 최종 데미지만 증가한다. 예외적으로 이터널 라이트니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사냥에서 라이트 리플렉션을 사용할 때 원킬컷을 낮추기 위해 선택한다.
4.7. 어둠 마법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어둠 마법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5 | |
설명 | 어둠 계열 마법의 공격력이 영구히 증가한다. | |
효과 | 5 | 어둠 계열 마법의 최종 데미지 5% 증가 |
튜토리얼 마지막에서 어둠의 길을 선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스킬이다. 스탯 공격력에는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고 어둠 계열 스킬의 최종 데미지만 증가한다. 예외적으로 엔드리스 다크니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사냥에서 아포칼립스를 사용할 때 원킬컷을 낮추기 위해 선택한다.
5. 2차: 루미너스(레벨 30, Second Light)
빛과 어둠을 다스리겠어!
5.1.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과 어둠의 힘을 자유롭게 다루게 된다.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 사용 시 이퀄리브리엄이 발동하게 된다. | |
효과 | 1 | 이퀄리브리엄 상태 시작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
이퀄리브리엄의 발동 트리거 스킬. 사용 즉시 이퀄리브리엄 상태에 돌입한다.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는 적용되지 않지만,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옵션은 적용된다.
5.2. 실피드 랜서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33.33%>
||<width=33.33%>
||<width=33.33%>
||
<rowcolor=#000> 시전 | 캐릭터 이펙트 | 빛의 창 |
| | |
<rowcolor=#000>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실피드 랜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빛 마법] 전방 다수의 적에게 빛의 창을 날려 공격한다. | |
효과 | 20 | MP 31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115%의 데미지로 4번 공격 |
다수 공격기. 사용 시 문을 생성해서 전방의 적 다수에게 빛의 창을 날려 공격한다. 3차 스킬 중 빛 마법인 스펙트럴 라이트가 제자리 고정 스킬이라 거의 쓰이지 않으므로, 이 스킬이 4차 이전까지 주력 다수기로 쓰이게 된다.
5.3. 인바이러빌러티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rowcolor=#000>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인바이러빌러티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빛 마법] 빛의 기둥을 폭발시켜 주위 적들을 밀어내고 일정 확률로 기절시킨다. 일부 몬스터는 저항하여 밀리지 않고 기절하지 않는다. | |
효과 | 10 | MP 15 소비, 최대 10명의 적을 350만큼 밀어낸 후 100% 확률로 기절 |
"물러나라!"
"어딜 감히!"
넉백기. 사용 시 양옆으로 다수의 적을 밀어낸다. 공격 판정은 있지만, 공격 기능이 없다. 데미지를 입히는 스킬이 아닌지라 빛 마법임에도 불구하고 강화 코어가 없다. 보스 몬스터에게는 넉백 효과가 적용되지 않아서 사실상 포인트만 투자하고 버려지는 잉여 스킬이다."어딜 감히!"
5.4. 보이드 프레셔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시전 | 사용 중 캐릭터 이펙트 |
| |
<rowcolor=#000> 암흑 구체 | 사용 종료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보이드 프레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키다운)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어둠 마법] 어둠의 힘을 발산하는 암흑 구체를 움직여 적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스킬 키를 누른 상태로 방향키를 조작하여 어둠의 힘을 움직일 수 있다. | |
효과 | 20 | 공격당 MP 15 소비, 8명의 적에게 168%의 데미지로 공격 스킬 키를 누른 상태로 ←,→ 키를 사용하여 영역을 이동 가능, 좌우 최대 350 거리까지 이동 가능 |
"어둠의 힘은 끝이 없다."
속사형 다수 공격기. 키다운 내내 제자리에 고정[11]되고, 암흑 구체를 소환해 키보드 방향키로 좌우로 움직여 적 다수를 공격할 수 있다. 속사 판정이라 피격당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공격하다 보면 숨 돌리기(=전투 중) 판정이 풀린다.[12] 단, 피해량을 보고 쓰는 스킬은 아니기 때문에 강화할 필요성은 없다.5.5.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어둠의 축복으로 마력이 증가하고 적에게서 받는 피해를 경감시킨다. | |
효과 | 20 | 마력 30 증가, 피격 데미지 50% 감소 |
마력 증가 및 피격 데미지 감소 패시브. 오디너리 매직 가드로 모자라서 높은 데미지 감소율까지 제공되므로, 마법사답지 않게 사냥에서 의외로 튼튼하다.
5.6. 매직 액셀레이션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매직 액셀레이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공격 속도와 지력을 상승시킨다. | |
효과 | 10 | 공격 속도 2단계 상승, 지력 20 증가 |
공격 속도, 지력 증가 패시브
5.7. 스펠 마스터리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스펠 마스터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마법 사용에 필요한 여러 능력치가 증가한다. | |
효과 | 10 | 마법 숙련도 50%, 마력 10, 데미지 15%, 크리티컬 확률 20%, 공격 속도 1단계 증가 |
숙련도 증가 패시브로 공격 관련한 각종 능력치들이 추가된다.
5.8. 하이 위즈덤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하이 위즈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4 | |
설명 | 영구적으로 지력을 증가시킨다. | |
효과 | 4 | 영구적으로 지력 40 증가 |
주스탯 증가 패시브.
6. 3차: 루미너스(레벨 60, Third Light)
빛과 어둠의 균형을 이루겠어!
6.1. 스펙트럴 라이트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rowcolor=#000> 시전 | 사용 종료 |
| |
<rowcolor=#000> 사용 중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스펙트럴 라이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키다운)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빛 마법] 여러 갈래 빛의 줄기를 연속으로 발사하며 피해를 입힌다. 스킬 키를 누른 상태로 방향키를 이용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 |
효과 | 20 | 공격당 MP 20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121%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스킬 키를 누른 상태로 ↑,↓키를 사용해 방향 전환 가능 |
"빛이여!"
속사형 다수 공격기. 사용 시 제자리에 고정되어 전방에 빛줄기를 연속으로 투사해 범위 내의 적 다수를 공격한다.[13] 좌우 방향키를 누르면 즉시 방향을 전환하지만, 상하 각도 조절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다.속사형 공격기임에도 공격 주기가 길고 보이드 프레셔와 달리 추가 스탠스 확률도 없다. 그래서 스탠스가 부족한 중반부에는 쓰다가 밀려나가면서 강제로 취소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4차 이전까지는 실피드 랜서로 사냥하는 게 더 효율적이다.
6.2. 샤인 리뎀션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사용 중 캐릭터 이펙트 | 시전 |
| |
<rowcolor=#000> 타격 | 회복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샤인 리뎀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빛 마법] 빛의 힘으로 파티원을 치유하고, 적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 |
효과 | 20 | MP 41 소비, 범위 내 6명의 적에게 180% 데미지로 3번 공격, 회복력 800% 재사용 대기시간 5초 |
"빛으로 이 세계를 지켜내겠어."
"치유의 빛이여."
힐 판정을 받는 다수 공격기. 사용 시 날개 달린 십자가를 소환해 빛으로 폭발시켜 범위 내의 적 다수를 공격함과 동시에, 자신을 포함한 아군을 치유한다.[14] 3차 스킬인 만큼 회복력과 공격력이 더 강력하다.[15]"치유의 빛이여."
전체적인 공격 범위 자체는 넓지만, 실제로는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 기준으로 전방과 스킬 이펙트가 나오는 범위까지가 유효 범위다.[16]
6.3. 녹스피어
SKILL
||<-3><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rowcolor=#000> 시전 | ||
| | |
사슬 창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녹스피어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어둠 마법] 적이 서 있는 바닥에서 사슬 창을 끌어내어 적들을 찌른다. | |
효과 | 20 | MP 75 소비, 최대 6명의 적에게 371%의 데미지로 2번 공격 |
"어둠의 힘을 느껴라."
3차 전직에서의 어둠 마법 주력 스킬. 사용 시 대상이 된 적의 밑에서 닻이 달린 검은 사슬이 튀어나와 공격한다. 퍼뎀은 밀려도 범위[17]는 아포칼립스보다 우월하며, 특히 공격속도가 어둠 마법 스킬들 중 가장 빠르다. 전방범위는 살짝 좁지만 상하좌우를 커버하여 특정 사냥터에서 엄청난 효율을 보인다. 특히 아래쪽의 유효 범위가 상상 이상으로 넓어서 어지간한 2층에서는 1층을 공격할 수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라이트 리플렉션을 배우게 되면 잘 사용하지 않는다.6.4. 데스 사이드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70%>
||
||
<rowcolor=#000> 시전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데스 사이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거대한 낫을 든 사신이 적들을 베어버린다. 빛과 어둠의 효과를 모두 받는다. | |
효과 | 20 | MP 120 소비, 최대 10명의 적을 230%의 데미지로 6번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24초 |
"데스 사이드!"
"베어라!"
다수 공격기. 사용 시 화면이 어두워지고, 캐릭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거대한 낫을 든 사신 둘이 화면 양 끝에서 나타나 그 사이에 있는 적들을 베고 지나간다. 이퀄리브리엄 상태가 아닐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이 과하게 길고, 다크라이크 마스터리에 강화 효과가 있다 한들 4차 이상 스킬들에게 사냥과 보스전 성능이 밀려 4차 이후로는 쓸 일 없이 버려지는 스킬이다."베어라!"
6.5. 루멘 셰이드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33.33%>
||<width=33.33%>
||<width=33.33%> 파일:루멘 셰이드 종료.gif ||
시전 | 지속 중 | 종료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루멘 셰이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빛의 그림자에 숨어 적의 공격을 회피한다.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 |
효과 | 20 | MP 50 소비, 3초 동안 무적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무적기. 사용 중 다른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6.6. 안티 매직쉘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
시전 | 보호막 사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안티 매직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치명적인 상태 이상을 무시하는 보호막을 사용한다. 상태 이상 무시 효과가 지정 횟수 이상 발동되면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된다. 패시브로 모든 속성 내성 및 상태 이상 내성이 증가한다. | |
효과 | 10 | MP 200 소비, 치명적인 상태 이상 7회 무시 모두 발동 시 재사용 대기시간 240초 [패시브 효과 : 모든 속성 내성 40%, 상태 이상 내성 40 증가] |
"안티 매직쉘!"
"어둠에는 지지 않아!"
상태 이상을 방어하는 액티브 버프. 지속 시간이 없는 버프로, 치명적인 상태 이상을 최대 7회까지 방어해야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된다.[18] 모험가 마법사의 엘리멘탈 어댑팅/디바인 프로텍션과 비슷한 스킬이며 벨룸의 종유석, 진 힐라의 영혼 흡수와 속박, 검은 마법사의 저주, 칼로스의 구속의 눈 등 특수한 상태이상을 제외한 대다수의 상태 이상을 방어한다.[19]"어둠에는 지지 않아!"
6.7. 포틱 메디테이션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50%>
||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포틱 메디테이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자신을 포함한 주변 파티원의 마력을 일정 시간 동안 증가시킨다. 오닉스의 축복과 중첩되지 않는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펫 버프 자동스킬 등록 가능 | |
효과 | 10 | MP 55 소비, 180초 동안 자신을 포함한 파티원의 마력 40 증가 |
"어둠은 두렵지 않아!"
"어둠에는 지지 않아!"
마력 증가 액티브 파티 버프. 유독 에반의 자버프인 오닉스의 축복만은 이 스킬과 중첩되지 않는다. 다른 파티원에게는 다 걸려도 에반에게만은 적용되지 않는다."어둠에는 지지 않아!"
6.8. 라이트랜스포밍 부스트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랜스포밍 부스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라이트랜스포밍의 위력을 강화하여 이동 거리가 증가한다. 필요 스킬 : 라이트랜스포밍 5레벨 이상 | |
효과 | 1 | 라이트랜스포밍 이동 거리 좌우 65 증가 |
라이트랜스포밍의 이동 범위 증가 패시브.
6.9. 라이트쉐도우 가드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피해 무시 시 문구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쉐도우 가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일정 확률로 피해를 무시하며 방어력이 증가한다. 추가로 스탠스가 증가한다. | |
효과 | 10 | 방어력 300 증가, 20% 확률로 피해를 무시 스탠스 40% 증가 |
방어력과 피해 무시 확률을 제공하는 패시브. 피해를 무시하면 MISS가 아닌 IGNORE라는 문구가 뜨며 캐릭터가 웃는다.[20] 다만 일반적인 데미지만 무시하기 때문에 상태이상, HP 비례 공격에 의한 피해는 방어할 수 없어 사실상 일반적인 사냥 중에나 의미있다.
6.10. 셀프 리커버리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셀프 리커버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4 | |
설명 | 체내에 흐르는 마나를 활발히 순환시켜 자가치유력을 갖는다. 추가로, 공격 시 일정 확률로 MP를 회복한다. | |
효과 | 4 | 일정시간 마다 최대 HP, 최대 MP의 2.0% 회복 공격 시 30% 확률로 최대 MP의 5% 흡수 보스 몬스터에게는 최대 MP의 3% 흡수 |
자동 회복 및 MP 흡수 패시브. 자연 회복량 자체는 미미하다. MP 회복의 경우 크라이시스-HM링의 발동을 방해하므로 무릉도장 등반 전에 일부러 SP를 초기화해 이 스킬을 찍지 않는 경우도 있다.
7. 4차: 루미너스(레벨 100, Final Light)
빛과 어둠은 하나다!
7.1. 운명의 갈림길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i1735543842.png ||
운명의 갈림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운명의 갈림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의 길과 어둠의 길, 어떤 운명을 걸어갈지 다시 선택하여 스킬을 변경할 수 있다. 단, 스토리는 변경할 수 없고 최초 선택한 길로만 진행된다. 마을에서만 스킬을 사용할 수 있고 ESC키로 선택을 중지하고 UI를 닫을 수 있다.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 및 감소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 |
효과 | 1 | 재사용 대기시간 6시간 |
빛과 어둠의 길 중 하나를 다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스킬. 이미 진행한 스토리는 바뀌지 않고, 오직 빛의 길과 어둠의 길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에 관한 인터페이스만 나온다. 이 선택에 따라 속성 강화 스킬과 트윙클 플래시와 다크 폴링도 각각의 길에 맞게 바뀐다. 재사용 대기시간은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진행이 멈춘다.
사냥을 고려하면[21] 4차 이후에는 라이트 리플렉션을 주로 써 4차 이후에는 빛의 길로 바꾸는 게 일반적이고, 6차 이후로는 라이트 리플렉션이건 아포칼립스던 엔드리스 다크니스/이터널 라이트니스로 인해 사냥 효율이 비슷해지므로 자주 사용하는 쪽으로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솔 야누스의 레벨이 높을 경우 제자리 사용 시 라이트 리플렉션의 불안정한 전이로 인해 최종적으로는 아포칼립스를 사용하게 되어 다시 어둠의 길로 바꾼다.
보스전에서는 아포칼립스보다 라이트 리플렉션이 더 강력하기는 하나
7.2. 라이트 리플렉션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40%>
||<width=30%>
||<width=30%>
||
시전 | 타격 | |
| ||
빛 경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리플렉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 마법] 대상에게 강력한 빛을 발사한다. 빛은 적에게 맞을 때마다 갈라지며 주위 적들에게 반사되어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단, 반사될 때마다 피해는 점차 감소한다. | |
효과 | 30 | MP 81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650% 데미지로 4번 공격 |
다수 대상 주력기. 사용 시 연쇄 반사되는 광선을 발사한다. 발사된 광선은 전방을 우선 공격한 후 무작위 대상에게 반사되며[22], 라이트 리플렉션-스프레드를 습득하기 전까지는 반사될 때마다 피해량이 줄어든다.
썬콜의 체인 라이트닝과 비슷하지만, 처음 발사되는 광선의 사거리는 다소 짧다.[23] 그 대신 전이되는 거리, 특히 상하 범위가 굉장히 넓어 사방팔방으로 확산된다. 그래서 복층 구조의 사냥터에서 특히 유용하다. 선파이어 적용 기준 퍼뎀은 3,900%[24]이다.
7.3. 트와일라잇 노바
SKILL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rowcolor=#000>
||
<rowcolor=#000> 선파이어 | |||
<rowcolor=#000> | | | |
<rowcolor=#000> 선파이어 | 선파이어 타격 |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rowcolor=#000>
||
<rowcolor=#000> 이클립스 | |||
<rowcolor=#000> | | | |
<rowcolor=#000> 이클립스 | 이클립스 타격 |
||<tablebgcolor=#ffffff>
||
||
<rowcolor=#000> 이퀄리브리엄 | 이퀄리브리엄 타격 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트와일라잇 노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과 어둠의 힘으로 폭발을 일으킨다. 추가로 영구히 최종 데미지와 보스 공격 시 데미지가 증가한다. | |
효과 | 30 | MP 80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패시브 효과 : 최종 데미지 33% 증가, 보스 공격 시 데미지 15% 증가] |
광범위 공격기이자 앱솔루트 킬과 더불어 루미너스의 보스전을 책임지는 스킬. 패시브 효과로 최종 데미지 및 보공이 증가하고, 사용 시 라크니스 상태에 맞는 속성의 폭발을 일으킨다.[25]
루미너스의 스킬 중에서는 드물게도 공중 사용이 가능하고, 현재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최종 퍼뎀은 선파이어와 이클립스 상태에서 12,600%[26]에 이퀄 16,200%[27]이다. 게다가 기본 재사용 대기시간이 15초로 짧기 때문에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및 미적용의 효율이 좋다.[28]
이 스킬의 진가는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드러난다. 트와일라잇 노바 VI 기준으로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4번의 폭발이 발생해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8초나 줄여준다.[29] 따라서 반드시 빛과 어둠의 세례 사용 후에 사용해야 한다. 여기에 마스터리 코어도 강화 효율이 높아[30] 더더욱 비중이 커진다.
7.4. 아포칼립스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2><width=66.66%>
||
시전 | 지옥의 불길 | |
| |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어둠 마법] 어둠의 틈을 열어 적들을 태우는 지옥의 불길을 소환하여 적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 |
효과 | 30 | MP 100 소비, 최대 8명의 적에게 375% 데미지로 7번 공격 |
"사라져라."
"아포칼립스!"
어둠 속성 주력기. 사용 시 전방에 상하로 마법진을 소환해 어둠의 틈을 열어 지옥의 불길을 뿜는다. 라이트 리플렉션과 마찬가지로 공중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상단 범위가 더 넓고 피해량이 높다. 시전 속도가 라이트 리플렉션보다 빠른 편. 또한 이클립스까지 적용된 최대 퍼뎀은 3,937.5%[31]나 된다.[32]"아포칼립스!"
6차 전직 이전에는 전방에 아무도 없어서 라이트 리플렉션이 전이되지 않는 상황이거나, 스펙이 낮아서 라이트 리플렉션 원킬이 불가능한 상황에 사용하고, 6차 전직 이후 엔드리스 다크니스를 습득하면 솔 야누스와 함께 제자리 사냥에서 사용한다. 사실상 사냥 주력기인 셈.
7.5. 앱솔루트 킬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50%>
||
||
시전 | 빛과 어둠의 검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앱솔루트 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빛과 어둠의 검을 적에게 꽂아넣어 강력한 피해를 입힌다. | |
효과 | 30 | MP 49 소비, 최대 2명의 적을 455% 데미지로 7번 공격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몬스터 방어율 40% 추가 무시 재사용 대기시간 12초 |
"사라져라!"
보스전 주력기. 통칭 앱킬. 빛과 어둠을 합친 거대한 검을 적에게 내리꽂는다. 전방에 적이 있어야만 발동되고, 적이 없으면 모션만 취하고서 실제 공격 판정이 발생하지 않은 채로 재사용 대기시간만 적용된다.이퀄리브리엄 적용 기준 최종 퍼뎀은 6,370%다. 비단 퍼뎀만 중요한 건 아니고, 빛둠세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공격 1회당 2초씩 감소시켜 회전율을 늘리는 역할도 담당한다.
7.6. 다크니스 소서리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다크니스 소서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일정 시간 동안 공격 시 적의 속성 내성을 무시한다. 추가로 영구히 적의 방어율을 일정 비율 무시하고 최종 데미지가 증가하며 스탠스가 증가한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펫 버프 자동스킬 등록 가능 | |
효과 | 30 | MP 85[33] 소비, 180초[34] 동안 몬스터 속성 내성 10% 무시 [패시브 효과 : 최종 데미지 40%[35] 증가, 방어율 40%[36] 무시, 스탠스 60%[37] 증가] |
"어둠을 받아들여라."
"파괴적인 힘, 어둠이 느껴지는가."
"어둠이 느껴진다."
적의 속성 내성을 무시하는 액티브 버프."파괴적인 힘, 어둠이 느껴지는가."
"어둠이 느껴진다."
7.7. 다크 크레센도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
발동 시 | 4중첩 이상 시 추가 이펙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다크 크레센도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공격 스킬이 적에게 적중할 때 일정 확률로 데미지가 증가한다. | |
효과 | 30 | 자신이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 80%[38] 확률로 30초 동안 데미지 8% 증가, 최대 5회까지 중첩 가능 |
중첩식 뎀증 패시브. 모험가 마법사의 아케인 에임과 비슷하다.
7.8. 매직 마스터리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매직 마스터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마법 사용이 능숙해서 여러 능력치가 추가로 증가한다. 필요 스킬 : 스펠 마스터리 10레벨 이상 | |
효과 | 30 | 숙련도 증가량 70%[39] 증가 마력 30[40], 크리티컬 확률 15%[41], 크리티컬 데미지 18%[42] 증가 |
웨폰 엑스퍼트 계열 패시브.
7.9.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다크라이트 마스터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버프의 지속 시간이 늘어난다. [이퀄리브리엄] 공중에서 라이트랜스포밍을 최대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공중에서 사용 시 함께 입력한 방향키 방향으로 이동한다. 추가로 데스 사이드의 공격력이 증가한다. 필요 스킬 : 데스 사이드 10레벨 이상 | |
효과 | 10 | 이퀄리브리엄 지속 시간 10초 증가 이퀄리브리엄 지속 중 공중에서 라이트랜스포밍 최대 2번까지 사용 가능 추가로 데스 사이드의 데미지 100% 증가 |
습득 시 이퀄리브리엄 상태 한정으로 라이트 리프와 연계하지 않아도 공중 텔레포트를 할 수 있게 된다.[43] 추가로 이퀄리브리엄의 기본 지속시간이 10초 증가하며 데스 사이드의 피해량 증가도 덤으로 생긴다.
7.10. 메이플 용사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메이플 용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메이플 월드의 여신의 가호로 인해 자신의 모든 능력치가 일정 퍼센트만큼 증가한다. 스킬을 사용하면 메이플 월드의 여신이 잠시 현신한다. | |
효과 | 30 | MP 70 소비, 메이플 월드의 여신 현신 [패시브 효과 : AP를 직접 투자한 모든 능력치 15% 증가] |
7.11. 용사의 의지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용사의 의지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5 | |
설명 | 정신을 집중하여 상태 이상으로부터 벗어난다. 사용 후 3초 동안 상태 이상 면역. 단, 일부 상태 이상 효과에는 적용되지 않고 컴뱃 오더스가 적용되지 않는다. | |
효과 | 5 | MP 30 소비, 재사용 대기시간 300초 |
8. 하이퍼 스킬: 루미너스(레벨 140)
8.1. 스킬 강화 패시브
- 필수 스킬
- 라이트 리플렉션-리인포스
- 아포칼립스-리인포스
- 앱솔루트 킬-리인포스
- 앱솔루트 킬-애드 레인지
- 선택 스킬
- 라이트 리플렉션-스프레드 (사냥 원킬컷 완화)
- 라이트 리플렉션-애드 레인지 (보스전 집중)
8.1.1. 라이트 리플렉션-리인포스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리플렉션-리인포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4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라이트 리플렉션의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데미지 20% 증가 |
필수. 사냥에서 특히 좋지만, 보스전이라고 라리플을 등한시하는 것도 아니다.
8.1.2. 라이트 리플렉션-스프레드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리플렉션-스프레드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5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라이트 리플렉션이 전이할 때 더 이상 데미지가 줄어들지 않는다. | |
효과 | 1 | 전이 데미지 감소율 0%로 감소 |
이 스킬을 찍어야만 모든 대상에 동일한 데미지로 공격할 수 있다. 다만 아포칼립스를 사냥 주력기로 사용하게 되면 라이트 리플렉션을 사냥에서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포기하고 애드 레인지에 투자한다.
8.1.3. 라이트 리플렉션-애드 레인지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리플렉션-애드 레인지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8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라이트 리플렉션의 사거리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사거리 50 증가 |
처음 발사하는 사거리가 증가한다. 전이 후의 사거리에는 영향이 없다. 물론 전이 후의 사거리는 충분히 긴 반면, 라이트 리플렉션의 첫 사거리는 체감될 정도로 짧으므로 보스전에서는 준필수 패시브로 취급된다.
8.1.4. 아포칼립스-리인포스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리인포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4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아포칼립스의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데미지 20% 증가 |
필수. 사유는 라리플과 같다.
8.1.5. 아포칼립스-크리티컬 레이트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크리티컬 레이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65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아포칼립스의 크리티컬 확률을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크리티컬 확률 20% 증가 |
기본 크리티컬 확률이 아닌 아포칼립스만 적용된다. 당연히 쓸모없다.
8.1.6. 아포칼립스-엑스트라 타겟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엑스트라 타겟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8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아포칼립스의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 2 증가 |
아포칼립스는 기본 대상만 8명이고, V 매트릭스 강화 코어 20레벨을 달성하면 9명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굳이 찍을 필요는 없다. 게다가 엔드리스 다크니스를 습득하면 더더욱.
8.1.7. 앱솔루트 킬-리인포스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앱솔루트 킬-리인포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5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앱솔루트 킬의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데미지 20% 증가 |
필수. 보스전 주력기의 리인포스는 마다할 이유가 없다.
8.1.8. 앱솔루트 킬-엑스트라 타겟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앱솔루트 킬-엑스트라 타겟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65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앱솔루트 킬의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 1 증가 |
앱솔루트 킬 강화 코어 20레벨 효과와 유니온 아티팩트의 획득 경험치 증가(+ 공격 대상 수 1명 증가)까지 합하면 5명, 앱솔루트 VI를 습득하면 15명을 공격할 수 있지만, 굳이 쓸 이유가 없어 사용하지 않는다.
8.1.9. 앱솔루트 킬-애드 레인지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앱솔루트 킬-애드 레인지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9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앱솔루트 킬의 사거리를 증가시킨다. | |
효과 | 1 | 사거리 50 증가 |
필수. 의외로 실전에서 많이 체감될 정도의 사거리 증가폭을 보인다.
8.2. 공격 / 버프 액티브
8.2.1. 메모라이즈
SKILL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
| | |
운명의 격류 (선파이어) | 운명의 격류 (이클립스) | 운명의 격류 (이퀄리브리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메모라이즈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4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빛과 어둠의 경계 속에서 과거의 힘을 각성해 적에게 죽음의 운명을 내린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 |
효과 | 1 | MP 1000 소비, 30초 동안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 50% 확률로 적에게 1000% 데미지로 8번 공격하는 운명의 격류 발생 이퀄리브리엄 상태에는 운명의 격류가 100% 확률로 발생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8.2.2. 아마겟돈
SKILL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
| | |
캐릭터 | 타격 | 행동 불가 적용 중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마겟돈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6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검은 마법사의 힘을 이용해서 모든 적들을 행동 불가 상태에 빠뜨리며 데미지를 입힌다. 공격을 받은 적은 90초 동안 행동 불가 상태 이상에 저항하여 아마겟돈 및 다른 스킬로 인한 행동 불가 상태 이상에 걸리지 않는다. | |
효과 | 1 | MP 1000 소비, 최대 15명의 적을 1000% 데미지로 3번 공격하고 10초 동안 행동 불가 상태 적용 아마겟돈으로 적에게 준 데미지에 따라 행동 불가 지속시간 최대 100% 증가[45]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8.2.3. 히어로즈 오쓰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히어로즈 오쓰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90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메이플 영웅들의 맹세를 되새기면서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펫 버프 자동스킬 등록 가능 | |
효과 | 1 | MP 100 소비, 60초 동안 데미지 1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파티원 중 영웅 직업군에만 효과 |
영웅 계열 직업군 공통 데미지 증가 액티브 버프. 루미너스의 이펙트는 붉은색이다.
9. 5차: 루미너스(레벨 200) / V 매트릭스
루미너스의 모든 5차 스킬에는 라크니스 계열 스킬이 없다. 다시 말해, 선파이어/이클립스/이퀄리브리엄 등 0차 스킬의 타수 2배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물론 그만큼 퍼뎀과 타수가 보정되어 있기에 성능적인 면에서 문제되는 부분은 아니다.9.1. 스킬 코어
전용 스킬 코어는 빛과 어둠의 세례>리버레이션 오브>퍼니싱 리소네이터>진리의 문 순으로 강화한다. 사용 빈도가 높아 딜 점유율이 높은 빛과 어둠의 세례가 1순위, 그 다음 점유율을 가진 리버레이션 오브가 2순위다.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그 자체보다는 메모라이즈와 리버레이션 오브의 발동을 유도하는 목적이 주가 되서 그 다음으로 강화한다. 진리의 문은 점유율이 낮아 맨 마지막에 강화한다.9.1.1. 오버로드 마나(마법사 공통)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50%>
||
||
시전 | 활성화 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오버로드 마나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온/오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몸 속을 흐르는 마나를 과부하시켜 공격의 위력을 증가시킨다. | |
효과 | <colbgcolor=#eee> 25 | 일부 소환수를 제외한 자신의 공격 스킬 사용 시 최대 MP의 2%를 추가로 사용하여 최종 데미지 7%[47] 증가 MP가 없는 직업군의 경우 최대 HP의 0.1% 사용 스킬 사용 시 효과가 활성화되고 재사용 시 비활성화되는 온오프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35초[48] |
30 | 일부 소환수를 제외한 자신의 공격 스킬 사용 시 최대 MP의 2%를 추가로 사용하여 최종 데미지 8% 증가 MP가 없는 직업군의 경우 최대 HP의 0.1% 사용 스킬 사용 시 효과가 활성화되고 재사용 시 비활성화되는 온오프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
최대 MP의 일정 비율만큼 MP를 추가로 소비하여 최종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온오프형 버프. 추가 MP 소비율은 이클립스 및 이퀄리브리엄의 MP 소비량 삭제를 무시하고 따로 적용된다.
9.1.2. 프리드의 가호(영웅 공통)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33.33%>
||<width=33.33%>
||<width=33.33%>
||
1중첩 | 2중첩 | 3중첩 |
| | |
4중첩 | 5중첩 | 6중첩 |
| ||
6중첩 지속 이펙트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프리드의 가호
{{{#!wiki style="margin:-2px -10px" ||
{{{#!wiki style="margin:-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영웅 프리드가 친구들을 위해 남긴 힘을 얻는다. | |
효과 | <colbgcolor=#eeeeee> 25 | MP 250 소비, 사용 시 30초 동안 지속되고 최대 6번 중첩 가능한 버프를 걸며 중첩마다 이전 중첩 효과 및 새로운 효과를 얻음 1중첩 :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효과를 받지 않는 스킬[49]을 제외한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0% 더 빠르게 감소 2중첩 : 상태 이상 내성 22[50] 증가 3중첩 : 올스탯 50[51] 증가 4중첩 : 공격력/마력 22[52] 증가 5중첩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22%[53] 증가 6중첩 : 지속시간 동안 무적 재사용 대기시간 25초, 중첩을 갱신하지 못하고 지속시간이 끝나거나 최대 중첩이 되면 재사용 대기시간 240초로 적용 |
30 | MP 250 소비, 사용 시 30초 동안 지속되고 최대 6번 중첩 가능한 버프를 걸며 중첩마다 이전 중첩 효과 및 새로운 효과를 얻음 1중첩 :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효과를 받지 않는 스킬을 제외한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0% 더 빠르게 감소 2중첩 : 상태 이상 내성 25 증가 3중첩 : 올스탯 55 증가 4중첩 : 공격력/마력 25 증가 5중첩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25% 증가 6중첩 : 지속시간 동안 무적 재사용 대기시간 25초, 중첩을 갱신하지 못하고 지속시간이 끝나거나 최대 중첩이 되면 재사용 대기시간 240초로 적용 |
<rowcolor=#000> 중첩 수 | 캐릭터 | 문구 | 효과 |
<colcolor=#373a3c> 1 | 아란 | Semper te recordor 언제나 그대를 기억하리라. |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속도 증가[54] |
2 | 메르세데스 | Vires acquirit eundo 나아감으로써 힘을 얻는다. | 상태 이상 내성 증가 |
3 | 은월 | Magna vis est, magnum officium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 올스탯 증가 |
4 | 에반 | Dum vita est, spes est 삶이 있으면 희망이 있다. | 공격력 및 마력 증가 |
5 | 팬텀 | Nil desperandum 절대 절망하지 마라. | 보스 공격 시 데미지 증가 |
6 | 루미너스 | Faber est suae quisque fortunae 운명은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 30초 동안 무적 |
중첩식 액티브 버프. 사용 시 아프리엔과 미르의 인장 위에 전술한 표와 같은 라틴어 문구가 출력된다. 스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버프 지속 중, 버프 지속시간보다 짧은 재사용 대기시간이 지났다면 버프가 사라지기 전에 스킬을 재사용해서 지속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 갱신에 성공하면 기존 버프 효과를 유지하고, 중첩마다 새로운 효과를 중첩시켜 지속시간을 갱신한다.
- 2번 과정을 5회 반복하여 6중첩(무적)에 이르거나, 캐릭터가 버프 지속 중에 버프 갱신에 실패하고 버프가 사라지면 즉시 24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된다.
5중첩까지 버프 끝나기 5초 전 갱신 기회가 주어지고,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55] 또한 받아 6중첩까지 도달하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보통 갱신을 까먹거나, 딜 조절과 시간 계산 실패로 인한 페이즈 넘어감으로 갱신 타이밍을 놓치는 등 6중첩까지 도달하기 까다롭다. 그래서 반드시 보스전 중에도 갱신 타이밍이 다가오면 보스와 거리를 두거나, 패턴이 발동될 자리를 피해 다니는 등 갱신에 실패하게 될 요소들을 줄이고 갱신 상황을 자주 확인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잘 쌓기만 하면 30초 무적과 강력한 버프들을 누릴 수 있는 고수익 버프가 된다.
보통 보스에 입장하기 전 5중첩을 쌓고, 들어가자마자 바로 6중첩을 갱신하거나 창조의 아이온을 먼저 사용하고 나서 6중첩을 쌓는 식으로 사용해야 한다.[56] 끝까지 쌓는데 약 120초 정도가 걸리며, 극딜을 시작할 때 쌓기 시작하면 다음 극딜에 6중첩을 쌓을 수 있다.[57]
9.1.3. 에테리얼 폼(마법사 공통)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파일:i14214296268.gif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에테리얼 폼
{{{#!wiki style="margin:-2px -10px" ||
{{{#!wiki style="margin:-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잠시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여 무적 상태가 된다. 에테리얼 폼 상태에서 스킬을 다시 사용하면 원래 차원으로 돌아올 수 있다. | |
효과 | <colbgcolor=#eee> 25 | HP 1000 소비, 3초 동안 무적 재사용 대기시간 63초[58] |
30 | HP 1000 소비, 3초 동안 무적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
무적기. 다른 스킬 사용이 가능하며 재사용 시 바로 해제할 수 있다.
9.1.4.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SKI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eee><tablebgcolor=#fff,#fff><nopad>
||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wiki style="margin:-2px -10px" ||
{{{#!wiki style="margin:-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이 깃들어 모든 스탯과 데미지가 증가된다. 메이플 용사를 습득한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를 받는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500 소비, 60초 동안 메이플 용사로 증가된 모든 능력치의 350%[59] 추가 증가, 데미지 17%[6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30 | MP 500 소비, 60초 동안 메이플 용사로 증가된 모든 능력치의 400% 추가 증가, 데미지 2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9.1.5. 진리의 문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
진리의 문 | 진리의 빛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진리의 문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을 넘어선 곳에 있는 진리의 문을 소환한다. 진리의 문은 주변의 적을 진리의 빛으로 소멸시킨다. 진리의 문이 존재할 때 스킬키 재입력 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진리의 문을 재소환할 수 있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1000 소비, 28초[61] 동안 일정 간격마다 최대 12명의 적을 900%[62]의 데미지로 10번 공격하는 진리의 문 소환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 재소환 대기시간 3초 |
30 | MP 1000 소비, 30초 동안 일정 간격마다 최대 12명의 적을 990%의 데미지로 10번 공격하는 진리의 문 소환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 재소환 대기시간 3초 |
"진리는 가까이에 있다."
"진리를 엿보았는가."
"진리는 절대적이다."
"진리는 절대적인가?"
설치형 광범위 공격기.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1회 사용 가능하다. 범위가 꽤 넓어 잡몹을 정리할 때 유용하고, 보스전에서도 낮게나마 점유율이 있어서 이퀄리브리엄 발동과 동시에 사용한다. 스킬 키를 다시 누르면 3초마다 다른 위치에 재설치가 가능하다."진리를 엿보았는가."
"진리는 절대적이다."
"진리는 절대적인가?"
9.1.6. 퍼니싱 리소네이터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
마법진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퍼니싱 리소네이터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에 공명하는 마법진을 소환해 전방의 적을 공격한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스킬 재사용 시 즉시 취소된다. 이퀄리브리엄 상태일 때 메모라이즈 지속시간 동안 강화되며 강화된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적용 중인 재사용 대기시간과 관계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강화 퍼니싱 리소네이터 종료 시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된다.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이퀄리브리엄 스킬이 아니지만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1000 소비, 최대 1초 동안 최대 10명을 590%[63]의 데미지로 10번 공격 지속 시간 중 이동 및 점프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강화 시 최대 41회까지만 공격 발동 |
30 | MP 1000 소비, 최대 1초 동안 최대 10명을 650%의 데미지로 12번 공격 지속 시간 중 이동 및 점프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강화 시 최대 41회까지만 공격 발동, 강화 퍼니싱 리소네이터 종료 시 재사용 대기시간 적용 |
키다운 극딜기. 마법진을 소환해서 전방의 적을 일반 상태에서는 1초간[64], 강화 상태에서는 41회까지 공격한다. 사용 중에는 텔레포트와 점프를 포함한 이동이 가능하며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사용할 시 공격 3회당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2초씩 줄어든다. 공격 간격도 120ms로 짧은 속사형 스킬이라 타격 속도가 빨라 메모라이즈 및 리버레이션 오브와의 궁합도 좋다. 그 대신 자체 피해량은 그저 그런 수준이다.[65] 특히 상하단 범위는 물론이고 전방 범위도 주력 스킬인 앱솔루트 킬보다 좁고, 키다운 스킬임에도 상태이상 방어 및 받는 피해(최대 HP 비례 포함) 감소 기능이 없으니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일반 상태에서는 30초마다 스킬을 사용하면 1초간 전방의 적을 공격하며, 키다운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1초간 공격이 발생[66]하며 취소가 불가능하다. 공격 발생 중에는 무적기를 사용할 수 없지만, 아래 키를 누르면 엎드리는 판정이 된다. 일반 상태의 피해량은 주력 스킬을 사용할 때랑 비슷하니 무리해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메모라이즈를 사용해 강화된 상태가 되면 메모라이즈 지속시간 중 공격 횟수를 41회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타이밍에 키다운을 끊을 수 있고 공격 횟수가 보존된다. 메모라이즈의 지속시간이 종료되거나 공격 횟수 41회를 모두 소모하면[67] 재사용 대기시간이 바로 적용된다.
9.1.7. 빛과 어둠의 세례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50%>
||
||
<rowcolor=#000> 시전 | 빛과 어둠의 검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빛과 어둠의 세례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의 검을 차례로 찔러 넣어 적에게 진리의 세례 의식을 집행한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필요 스킬 : 앱솔루트 킬 30레벨 이상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2000 소비, 600%[68] 데미지로 7번 공격하는 빛과 어둠의 검 13번 연속 발동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몬스터 방어율 100% 추가 무시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이퀄리브리엄 스킬을 적중시키면 빛과 어둠의 세례 재사용 대기시간 2초 감소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3번 적중 시 1회 적중으로 간주 이퀄리브리엄 발동 시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 1회 초기화 |
30 | MP 2000 소비, 660% 데미지로 7번 공격하는 빛과 어둠의 검 13번 연속 발동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몬스터 방어율 100% 추가 무시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이퀄리브리엄 스킬을 적중시키면 빛과 어둠의 세례 재사용 대기시간 2초 감소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3번 적중 시 1회 적중으로 간주 이퀄리브리엄 발동 시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 1회 초기화 |
일단 한 번 쓰고 나면 검들이 알아서 공격하므로 캐릭터 본체는 공격 진행과 상관없이 다른 스킬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몹이 없어도 유지 시간이 있어 미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겉보기에는 보스전 전용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13자루의 검이 모두 개별 판정을 받는다. 따라서 검 1개마다 원킬이 난다면 사냥기처럼 써먹을 수도 있다.
이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이퀄리브리엄 계열 스킬의 경우 2초,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사용하는 퍼니싱 리소네이터가 적에게 3회 적중할 때마다 2초,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트와일라잇 노바 VI가 적중할 경우 4회 공격으로 판정되어 8초 감소한다. 그러므로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전술한 스킬들을 얼마나 꽂아넣느냐가 관건이 되며, 그만큼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및 감소 효과의 중요성 또한 대폭 상승한다. 이와 별개로 이퀄리브리엄에 돌입할 때 재사용 대기시간이 초기화되므로 일반적으로는 이퀄리브리엄 진입 직전에 빛과 어둠의 세례 사용>이퀄리브리엄 발동으로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빛과 어둠의 세례 식으로 운용한다.[70]
9.1.8. 리버레이션 오브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50%>
||
||
시전 | 거대 오브 |
| |
마력 구체(빛) | 마력 구체(어둠) |
| |
마력 구체(빛) 타격 | 마력 구체(어둠)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리버레이션 오브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의 힘을 오브를 통해 발현한다. 오브의 공격은 최대 HP가 가장 높은 적을 우선 공격한다. 오브에서 발생하는 모든 공격은 선파이어, 이클립스, 이퀄리브리엄의 효과를 받지 않고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스킬 시퀀스 등록 가능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1200 소비, 30초 동안 거대 오브 설치 거대 오브는 일정 시간마다 6개의 마력 구체를 생성하고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마다 구체 1개 추가 생성, 이퀄리브리엄 상태에는 추가 생성 2배로 적용 마력 구체 : 최대 1명의 적을 745%[71]의 데미지로 4번 공격 구체는 최대 180개까지 생성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30 | MP 1200 소비, 30초 동안 거대 오브 설치 거대 오브는 일정 시간마다 6개의 마력 구체를 생성하고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마다 구체 1개 추가 생성, 이퀄리브리엄 상태에는 추가 생성 2배로 적용 마력 구체 : 최대 1명의 적을 820%의 데미지로 4번 공격 구체는 최대 180개까지 생성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극딜 보조형 설치기. 거대한 오브를 설치한다. 설치된 오브는 직접 공격에 반응해 생성되고 최대 HP가 가장 높은 적을 우선 추적하는 마력 구체를 사출한다.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는 사출량이 두 배로 증가한다. 공격 판정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퍼니싱 리소네이터와 오리진 스킬과의 궁합이 좋다. 단, 범위가 좁고 재설치가 불가능하므로 바인드는 필수로 대동해야 한다.
9.2. 강화 코어
차수 | 레벨당 최종 데미지 증가량 | 스킬 | 수식어 | 20레벨 강화 효과 | 40레벨 강화 효과 | |
1차 | 7% | | 트윙클 플래시 다크 폴링 | 발광 추락 | 최대 공격 가능 대상 1 증가 | 몬스터 방어율 무시 20% 증가 |
2차 | 5% | | 실피드 랜서 | 바람 | ||
| 보이드 프레셔 | 공허 | ||||
3차 | 3% | | 스펙트럴 라이트 | 별빛 | ||
| 샤인 리뎀션 | 후광 | ||||
| 녹스피어 | 마창 | ||||
2% | | 데스 사이드 | 낫 | |||
4차 | | 라이트 리플렉션 | 반사 | |||
| 트와일라잇 노바 | 황혼 | ||||
| 아포칼립스 | 세기말 | ||||
| 앱솔루트 킬 | 죽음 | ||||
하이퍼 | | 아마겟돈 | 지옥 |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
<rowcolor=black> 필수 강화 코어 | |||
| | | |
라이트 리플렉션 | 아포칼립스 | 앱솔루트 킬 | 트와일라잇 노바 |
필수 코어는 라이트 리플렉션, 아포칼립스, 앱솔루트 킬, 트와일라잇 노바로, 3중 4코어 또는 2중 3코어로 끝낸다.[72]
10. 6차: 루미너스(레벨 260) / HEXA 매트릭스
10.1. 마스터리 코어
10.1.1. 앱솔루트 킬 VI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nopad><width=50%>
||
||
시전 | 빛과 어둠의 검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앱솔루트 킬 VI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빛과 어둠의 검을 적에게 꽂아 넣어 강력한 피해를 입힌다. 필요 스킬 : 앱솔루트 킬 30레벨 이상 | |
효과 | 30 | MP 70[73] 소비, 최대 3명의 적에게 빛과 어둠의 검 낙하 빛과 어둠의 검은 최대 3명의 적을 695%[74]의 데미지로 7번 공격 빛과 어둠의 검은 한 명의 적에게는 최대 한 번까지만 충돌 발생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몬스터 방어율 45%[75] 추가 무시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
앱솔루트 킬의 6차 강화판. 공격 대상 수가 1명 늘어나고, 재사용 대기시간도 2초 줄어들며, 크기가 커진 빛과 어둠의 검 주변에 작은 검들이 더 생긴다. 이 검들도 주변의 적까지 공격하는 스플래시 대미지가 있어 적이 몰려있으면 표기된 값의 3배까지 공격 대상 수가 늘어난다.
10.1.2. 라이트 리플렉션 VI
10.1.2.1. 라이트 리플렉션 VI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60%>
||
||
시전 | 타격 |
| |
빛 경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트 리플렉션 VI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 마법] 대상에게 강력한 빛을 발사한다. 빛은 적에게 맞을 때마다 갈라지며 주위 적들에게 반사된다. 단, 반사될 때마다 피해는 점차 감소한다. 필요 스킬 : 라이트 리플렉션 30레벨 이상 | |
효과 | 30 | MP 93[76]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1160%[77] 데미지로 4번 공격 |
라이트 리플렉션의 6차 강화판.
10.1.2.2. 엔드리스 다크니스
SKILL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rowcolor=#000> 발동 시 이펙트 | ||
| | |
<rowcolor=#000>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엔드리스 다크니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어둠 마법] 적의 내면에 잠들어있던 끝없는 어둠이 일어나 적을 집어삼킨다. 이클립스 또는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어둠 마법, 이퀄리브리엄 마법 사용 시 발동된다. 이터널 라이트니스와 재사용 대기시간을 공유한다. 추가로 앱솔루트 킬 VI를 영구히 강화한다. | |
효과 | <colbgcolor=#eee> 30 | MP 80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1580%[78]의 데미지로 5번 공격 재발동 대기시간 2초 [패시브 효과 : 앱솔루트 킬 VI 데미지 130%p[79] 증가] |
어둠 속성 추가 공격기. 패시브 효과로 앱솔루트 킬 VI의 퍼뎀이 증가한다. 이클립스 또는 이퀄리브리엄 상태일 때 어둠 또는 이퀄리브리엄 스킬을 사용하면 약 2초마다 발동되어 공격 대상 및 그 주변의 적을 추가로 공격한다.
사냥에서는 아포칼립스를 보완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10.1.3. 아포칼립스 VI
10.1.3.1. 아포칼립스 VI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width=30%>
||
||<width=30%>
||
시전 | 지옥의 불길 |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 VI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어둠 마법] 어둠의 틈을 열어 적들을 태우는 지옥의 불길을 소환하여 적들에게 피해를 입힌다. 필요 스킬 : 아포칼립스 30레벨 이상 | |
효과 | 30 | MP 118[80] 소비, 최대 8명의 적에게 768%[81]데미지로 7번 공격 |
아포칼립스의 6차 강화판. 기존 대비 하단에 공격 범위가 생기며 공격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기존 아포칼립스의 수직 방향으로 불길을 소환하는 VI 이전 이펙트와 다르게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2개의 불길이 교차하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는데, 이에 대해 이펙트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82]
10.1.3.2. 이터널 라이트니스
SKILL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
||
<rowcolor=#000> 발동 시 이펙트 | ||
| | |
<rowcolor=#000> 타격 | ||
| | |
<rowcolor=#000> 엔드리스 다크니스와 동시 발동 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이터널 라이트니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 마법] 끝없이 밝은 빛이 어둠과 함께 적을 지워버린다. 선파이어 또는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빛 마법, 이퀄리브리엄 마법 사용 시 발동된다. 엔드리스 다크니스와 재사용 대기시간을 공유한다. | |
효과 | <colbgcolor=#eee> 30 | MP 80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1355%[83]의 데미지로 7번 공격 재발동 대기시간 2초 |
빛 속성 추가 공격기. 선파이어 또는 이퀄리브리엄 상태일 때 빛 또는 이퀄리브리엄 스킬을 사용하면 2초마다 발동되어 공격 대상 및 그 주변의 적을 추가로 공격한다.
엔드리스 다크니스와는 속성만 다른 동일한 구조의 추가 공격 스킬로, 이퀄리브리엄 스킬 사용 시 엔드리스 다크니스와 함께 동시에 발동된다.[84] 다만 퍼뎀은 이터널 라이트니스 쪽이 더 높다.
10.1.4. 트와일라잇 노바 VI
SKILL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rowcolor=#000>
||
<rowcolor=#000> 선파이어 | |||
<rowcolor=#000> | | | |
<rowcolor=#000> 선파이어 | 선파이어 타격 |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rowcolor=#000>
||
<rowcolor=#000> 이클립스 | |||
<rowcolor=#000> | | | |
<rowcolor=#000> 이클립스 | 이클립스 타격 |
||<tablebgcolor=#ffffff>
||
||
<rowcolor=#000> 이퀄리브리엄 | 이퀄리브리엄 타격 시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트와일라잇 노바 VI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과 어둠의 힘으로 폭발을 일으킨다. 필요 스킬 : 트와일라잇 노바 30레벨 이상 | |
효과 | 30 | MP 91[85]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
트와일라잇 노바의 6차 강화판. 폭발 범위가 넓어지고 폭발 횟수가 1회 증가한다. 최종 퍼뎀은 V 매트릭스 강화 코어 60레벨 및 마스터리 코어 30레벨 기준 선파이어/이클립스 112,959%[88]이고, 이퀄리브리엄 138,600%[89]이다.
10.2. 강화 코어
10.2.1. 진리의 문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진리의 문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진리의 문을 강화한다. | |
효과 | 30 | 진리의 문의 최종 데미지 60%[90] 증가 |
진리의 문 자체가 원킬컷도 낮은 데다 사냥과 보스전을 막론하고 전체적인 점유율이 낮다. 강화 순번 최하위.
10.2.2. 퍼니싱 리소네이터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퍼니싱 리소네이터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퍼니싱 리소네이터를 강화한다. | |
효과 | 30 | 퍼니싱 리소네이터의 최종 데미지 60%[91] 증가 |
퍼니싱 리소네이터는 자체 딜량보다 메모라이즈의 추가타와 리버레이션 오브가 빠르게 발동하는 것이 중요하며, 빛과 어둠의 세례와 리버레이션 오브의 딜 점유율이 더 높기 때문에 강화 순위는 다소 밀린다. 하지만 적어도 진리의 문보다는 앞선다.
10.2.3. 빛과 어둠의 세례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빛과 어둠의 세례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빛과 어둠의 세례를 강화한다. | |
효과 | 30 | 빛과 어둠의 세례의 최종 데미지 60%[92] 증가 |
빛과 어둠의 세례는 사용 빈도와 딜 점유율이 높아 비중도 순위도 다른 스킬보다 앞설 수밖에 없다.
10.2.4. 리버레이션 오브 강화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리버레이션 오브 강화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리버레이션 오브를 강화한다. | |
효과 | 30 | 리버레이션 오브의 최종 데미지 60%[93] 증가 |
빛과 어둠의 세례보단 강화 우선도가 낮으며 그 다음으로 강화한다.
10.3. 스킬 코어
10.3.1. 하모닉 패러독스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nopad>
||
<rowcolor=#000> 조화의 사념체 |
|
<rowcolor=#000> 진리의 권능 |
|
<rowcolor=#000>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하모닉 패러독스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빛과 어둠의 진리에 도달한 조화의 사념체를 소환한다. 조화의 사념체는 일정 시간 동안 응축된 빛과 어둠의 마력을 휘몰아치게 해 적을 세례한 후, 두 속성의 힘을 모두 해방시켜 진리의 권능을 실현한다. 10레벨 : 몬스터 방어율 무시 20% 증가 20레벨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20% 증가 30레벨 : 몬스터 방어율 무시 30% 증가,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30% 증가 | |
효과 | 30 | MP 3000 소비, 시전 동작 중 무적 최대 3.5초 동안 키다운하여 최대 15명의 적을 3000%[94]의 데미지로 7번 공격하는 조화의 사념체 소환 키다운 종료 시 조화의 사념체의 힘이 해방되며 15명의 적을 1538%[95]의 데미지로 7번 공격하는 폭발이 39번 발생하는 진리의 권능 실현 재사용 대기시간 360초 |
“진리에 도달한 자여. 창조와 파괴의 권능으로 저들을 심판하라!”
“진리에 닿지 못한 미물이여. 찬란한 어둠 속으로 쓰러져라!”
“넌 틀렸어. 궁극의 빛과 어둠은 이미 내 안에 있다!”
오리진 스킬. 키다운 시작 시 캐릭터의 등 뒤에 조화의 사념체가 소환되며 주변의 적이 절대 바인드에 걸린다. 조화의 사념체는 키다운이 유지되는 동안 빛과 어둠의 마력을 쏟아붓고, 키다운이 끝나거나 중간에 끊으면 진리의 권능을 실현해 화면 전체에 권능을 실현한다. 키다운을 끝까지 유지할 시 조화의 사념체 공격 횟수는 17회로, 30레벨 기준 총 퍼뎀은 776,874%[96]이며, 이퀄리브리엄 때 사용하면 공격이 2배 적용되므로 실질적인 퍼뎀은 1,553,748%이다.“진리에 닿지 못한 미물이여. 찬란한 어둠 속으로 쓰러져라!”
“넌 틀렸어. 궁극의 빛과 어둠은 이미 내 안에 있다!”
메모라이즈의 추가타가 매 타격마다 발동하며 리버레이션 오브가 키다운 공격 하나하나에 스택이 사용되어 순식간에 소모된다. 또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사용하면 빛과 어둠의 세례 또한 타격당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가 적용되어 오리진 스킬 사용 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키다운 극딜기 특성상 공중 사용이 불가능한 데다 사용 시간이 9초로 길어 특수 스킬 반지 안에 모든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먼저 사용하려면 빛과 어둠의 세례를 사용하고 극딜 버프를 모두 올리고 사용해야 하기에 안정성이 떨어지며, 일반 바인드 후 사용할 때에는 퍼니싱 리소네이터와 빛과 어둠의 세례, 트와일라잇 노바를 최대한 사용할 경우 최소 5초, 길게는 10초가 넘어가는 경우가 있어 20초 안에 모든 극딜 스킬을 사용하지 못해 빛과 어둠의 세례와 트와일라잇 노바를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10.3.2. 러스트러스 오브
SKILL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러스트러스 오브_남.gif ||
| ||
컷신[97] | ||
| | |
발동 | 어둠 잠식 | 섬광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러스트러스 오브
{{{#!wiki style="margin:-2px -10px" ||
{{{#!wiki style="margin:-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이퀄리브리엄] 어둠의 힘으로 전역을 잠식하고, 빛의 힘을 오브로 증폭시켜 세상을 깨워낸다. 10레벨 : 몬스터 방어율 무시 10% 증가,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10% 증가 20레벨 : 몬스터 방어율 무시 10% 증가,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10% 증가 30레벨 : 몬스터 방어율 무시 20% 증가 | |
효과 | <colbgcolor=#eee> 30 | MP 1000 소비, 시전 동작 중 무적 최대 15명의 적을 4985%[98]의 데미지로 13번 공격하는 어둠 잠식 19회 발생, 이후 빛의 힘이 작렬해 4985%[99]의 데미지로 13번 공격하는 섬광이 19회 발생 몬스터 방어율 60% 추가 무시,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40% 증가, 크리티컬 확률 100% |
“칠흑보다 더 짙은 빛을.”
“눈을 감아라. 빛은 자비가 없다.”
“감춘 것을 드러낼 뿐.”
어센트 스킬. 어둠에 이어 빛의 힘을 불러일으켜 전방위를 공격한다.“눈을 감아라. 빛은 자비가 없다.”
“감춘 것을 드러낼 뿐.”
최종 퍼뎀은 30레벨 기준 2,462,590%[100]이다.
11. 삭제된 스킬
11.1. 매직 부스터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rowcolor=#000> 시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매직 부스터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10 | |
설명 | MP를 소비하여 일정 시간 동안 공격 속도를 2단계 증가시킨다. 펫 버프 자동스킬 등록 가능 | |
효과 | 10 | MP 30 소비, 180초 동안 공격 속도 2단계 증가 |
공격속도 증가 액티브 버프. 1.2.360 패치에서 패시브 스킬인 매직 액셀레이션으로 대체됐다.
11.2. 라이프 타이달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라이프 타이달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4 | |
설명 | 자신의 HP와 MP를 비교하여 균형을 맞춘다. | |
효과 | 4 | HP 비율과 MP 비율 중 낮은 쪽을 일정 시간마다 최대치의 2.0% 회복 |
HP와 MP의 비율 여하에 따라 회복 효과가 달라지는 패시브. 절댓값이 아닌 잔여량/총량×100% 비율로 따지기 때문에 단순 수치의 크기와는 연관이 없다. 현재 HP%≥현재 MP%일 경우 MP를 회복하고, 현재 HP%<현재 MP%일 경우 HP를 회복한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회복량이 체감하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 게다가 루미너스에게는 이클립스의 어둠 마법 MP 소모 삭제 효과와 샤인 리뎀션의 회복 기능이 있기 때문에 회복 기능이 절실하지도 않다. 오버로드 마나만 활성화해도 아무 의미 없는 스킬.
1.2.344 패치 이전엔 비율이 같거나 HP 비율이 많을 때 크리티컬 확률 30%를 제공하고, MP 비율이 많을 때 데미지 20%를 제공하는 스킬이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파워 엘릭서를 펫 자동 물약으로 달고 사는데다, 고작 데미지 20% 때문에 확정 크리티컬인 앱솔루트 킬에 맞추려고 굳이 HP와 MP 비율을 바꿔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결국 다른 패시브 스킬로 크확이 이관되어 순수 회복 스킬로 바뀌었다가, 1.2.368 패치에서 셀프 리커버리로 대체됐다.
11.3. 모닝 스타폴
SKI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ffffff><|3>
||
||
<rowcolor=#000> 타격 | |
| |
시전 | 파괴의 별 |
| |
폭발 | 폭발 타격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모닝 스타폴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30 | |
설명 | [어둠 마법] 어둠의 힘으로 빚은 파괴의 별을 떨어뜨려 공격한다. 떨어진 별은 관성에 의해 적들과 함께 앞으로 미끄러 지다가 폭발한다. 이퀄리브리엄 상태 중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는다. 모닝 스타폴은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고 일부 몬스터는 저항하여 밀리지 않는다. 추가로 영구히 최종 데미지와 보스 공격 시 데미지가 증가한다. | |
효과 | 30 | MP 50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180% 데미지로 2번 밀어내면서 공격하다가 터지면서 370% 데미지, 한명의 적에게는 최대 20번까지만 충돌 발생 재사용 대기시간 5초 [패시브 효과 : 최종 데미지 40% 증가, 보스 공격 시 데미지 15% 증가] |
다단히트 및 전진형 설치기. 사용 시 허공에서 운석이 떨어져 전진한다. 운석은 폭발할 때까지 적들을 밀어내며 공격한다. 썬콜의 프로즌 오브와 유사하지만 몬스터에게 가해지는 상태이상은 없으며, 밀격과 이클립스 게이지 소비 보조[101]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코어 강화 대상은 아니지만, 패시브 효과에 최종 데미지와 보공이 있기 때문에 마스터 우선 순위는 높다.
6차 전직 이후 제자리 사냥의 핵심 사냥기로 급부상한다. 엔드리스 다크니스가 틱마다 발동되는 어둠 속성 스킬이라, 전이를 위해 이동해야 하는 라이트 리플렉션이나 엔드리스 다크니스가 한 번만 발동하는 아포칼립스를 제치는 효율이 나온다.[102]
이와는 별도로, 셀프 리커버리의 드레인 효과가 운석의 매 틱마다 적용된다. 그래서 사냥에서 오버로드 마나를 쓰고 있거나, 보스전에서 유독 MP만 부족할 때 이 스킬로 MP를 쏠쏠하게 채울 수 있다.
KMS 1.2.398 패치에서 트와일라잇 노바로 대체됐다.
보스 몬스터 검은 마법사가 이 스킬을 쓴다.
11.4. 아포칼립스-리차지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아포칼립스-리차지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패시브 | ||
<colbgcolor=#eee> 필요 레벨 | 165 | |
마스터 레벨 | 1 | |
설명 | 아포칼립스로 인해 차는 게이지의 량이 증가한다. | |
효과 | 1 | 차는 게이지 량 증가 |
필수 스킬. 기존 대비 게이지 증가량이 8% 증가한다. 그만큼 더 빨리 이퀄리브리엄 상태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KMS 1.2.407 패치에서 라크니스 게이지가 삭제되면서 같이 삭제됐다.
12. 변경된 스킬
12.1. 퍼니싱 리소네이터(개편 전)
SKILL
||<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rowcolor=#000> 선파이어[103] | 이클립스 | 이퀄리브리엄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퍼니싱 리소네이터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즉발)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에 공명하는 마법진을 소환한다. 라크니스의 상태에 따라 마법진이 변화하나 선파이어, 이클립스,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추가 효과를 받지 않는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 |
효과 | <colbgcolor=#eee> 25 | MP 1000 소비, 6초 동안 최대 10명의 적을 일정 주기마다[104] 공격하는 마법진 소환 선파이어 : 1050%[105]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이클립스 : 850%[106]의 데미지로 5번 공격 이퀄리브리엄 : 1000%[107]의 데미지로 6번 공격 모든 공격은 추가 크리티컬 확률 15% 적용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
30 | MP 1000 소비, 6초 동안 최대 10명의 적을 일정 주기마다 공격하는 마법진 소환 선파이어 : 1155%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이클립스 : 935%의 데미지로 5번 공격 이퀄리브리엄 : 1100%의 데미지로 6번 공격 모든 공격은 추가 크리티컬 확률 15% 적용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
(이퀄리브리엄 상태) "빛과 어둠 속에 삼켜져라!"
(선파이어 상태) "순수한 빛은 가릴 수 없다."
(이클립스 상태) "짙은 어둠은 빛조차 위협하지."
설치형 다수 공격기. 사용 시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분사하는 육각형 마법진을 설치한다. 마법진은 설치 즉시 해당 위치에 고정되며, 공중에도 설치할 수 있고, 라크니스의 부가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 강화 상태가 실시간[108]으로 적용되어 공격 방향, 타수, 퍼뎀이 변화한다. 선파이어나 이클립스일 때 사용했어도 이퀄리브리엄으로 넘어가는 즉시 이퀄리브리엄 형태가 적용되고, 그 반대 또한 마찬가지다.[109](선파이어 상태) "순수한 빛은 가릴 수 없다."
(이클립스 상태) "짙은 어둠은 빛조차 위협하지."
잡몹 패턴에 대응하는 동시에 빛과 어둠의 세례와 함께 극딜의 양축을 담당하는 중요 스킬로서, 전용 스킬 중에서는 빛과 어둠의 세례보다 우선 강화 대상이다. 그러나 제대로 쓰려면 이퀄리브리엄 한번에 퍼니싱 리소네이터를 두 번 사용해야 하는데, 액션 딜레이까지 고려하면 이퀄리브리엄의 지속시간이 36초 이상 필요하다. 즉 버프 지속시간 증가 수치가 112% 이상이어야 한다.[110]
이 스킬은 보스전의 핵심인 앱솔루트 킬, 빛과 어둠의 세례, 리버레이션 오브와 다르게 추가 방어율 무시가 붙어있지 않다. 그래서 본인의 방어율 무시 수치가 낮거나, 보스의 방어율이 높을 경우 손해를 볼 수 있다.
12.2. 리버레이션 오브(개편 전)
SKILL
||<width=50%><tableborder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width=50%>
||
<rowcolor=#000> 시전 | 지속 중 |
| |
<rowcolor=#000> 오브 (불균형) | 오브 (균형) |
| |
<rowcolor=#000> 마력 구체 생성 (불균형) | 마력 구체 생성 (균형) |
| |
<rowcolor=#000> 빛의 영역 발동 시 오브 | 마력 탄환 발동 시 오브 |
| |
<rowcolor=#000> 빛의 영역 | 마력 탄환 |
SKILL
||<tablewidth=100%><-2><tablebordercolor=#eeeeee><rowbgcolor=#eeeeee><tablebgcolor=#fff><tablecolor=#292f37><width=15%>
|| 리버레이션 오브
{{{#!wiki style="margin: -2px -10px" ||
{{{#!wiki style="margin: -2px -10px" ||
액티브(버프)/패시브 | ||
<colbgcolor=#eee> 마스터 레벨 | 25(+5) | |
설명 | 빛과 어둠의 힘을 오브를 통해 발현한다. 라크니스에 맞는 스킬이 적중하면 오브에서 속성에 맞는 공격이 발동되고 해당 속성 마력이 오브에 쌓인다. 마력이 1 이상 쌓이면 오브를 해방하여 공격할 수 있다. 최대 HP가 가장 높은 적을 우선 공격하고 빛과 어둠 마력의 수가 같아 균형을 이루거나 쌓인 마력이 많을수록 데미지가 증가한다.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는 빛과 어둠의 공격이 함께 발동하고 오브에서 발생하는 모든 공격은 선파이어, 이클립스, 이퀄리브리엄의 효과를 받지 않고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 |
효과 | <colbgcolor=#eee> 25 | [패시브 효과] : 750%[111]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재발동 대기시간 6초, 속성당 마력 4까지 획득 가능 빛 : 최대 3명의 적을 공격하는 빛의 영역 1개 생성 어둠 : 최대 7명의 적을 오가는 마력 탄환 발사 [액티브 효과] : MP 1200 소비, 재사용 대기시간 : 120초 40초 동안 자신이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 마력 구체가 10개 생성되어 적 1명을 공격, 최대 15번 공격 발동 가능,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쌓인 마력의 총합이 1 초과 시 초과한 마력당 데미지 150%p[112] 증가, 재생성 대기시간 0.9초 불균형 : 950%[113] 데미지의 마력 구체 생성 균형 : 1040%[114] 데미지의 마력 구체 생성 |
30 | [패시브 효과] : 825%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재발동 대기시간 6초, 속성 당 마력 4까지 획득 가능 빛 : 최대 3명의 적을 공격하는 빛의 영역 1개 생성 어둠 : 최대 7명의 적을 오가는 마력 탄환 발사 [액티브 효과] : MP 1200 소비, 재사용 대기시간 : 120초 40초 동안 자신이 직접 공격하는 스킬 적중 시 마력 구체가 10개 생성되어 적 1명을 공격, 최대 15번 공격 발동 가능,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 쌓인 마력의 총합이 1 초과 시 초과한 마력당 데미지 165%p 증가, 재생성 대기시간 0.9초 불균형 : 1025% 데미지의 마력 구체 생성 균형 : 1135% 데미지의 마력 구체 생성 |
(균형 상태)
"하나된 마력을 느껴라!"
"완전한 힘으로!"
(불균형 상태)
"이 정도도 너에겐 과분하다."
오브젝트 사출형 패시브 공격기이자 평딜 강화 스킬. 라크니스 시스템과 일치하는 속성의 마법을 사용할 때마다 각기 다른 공격이 주기적으로 발동된다. 선파이어+빛 마법은 빛의 무리가 소용돌이치는 영역[115]이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피해를 주고, 이클립스+어둠 마법은 다수의 적 사이를 튕겨다니는 어둠 탄환이 생성되며, 이퀄리브리엄 상태+아무 스킬을 쓰면 동시에 발동된다.[116] 이렇게 패시브의 추가 공격이 발생할 때마다 마력[117]이라는 더미 버프가 생성되며, 버프와 퀵슬롯 스킬 아이콘 우측 하단에는 빛의 마력이, 상단에는 어둠의 마력이 각각 최대 4개씩 축적된다.[118]"하나된 마력을 느껴라!"
"완전한 힘으로!"
(불균형 상태)
"이 정도도 너에겐 과분하다."
사용 시 패시브 효과로 쌓인 마력 스택을 모두 소모하며, 그에 비례해 퍼뎀이 퍼센트포인트(%p)로 증가하는 다수의 구체가 40초 동안 직접 공격이 적중할 시 0.9초마다 생성되어 단일 대상을 일제히 공격한다. 스킬을 사용하려면 마력이 1 이상 축적되어 있어야 하고, 사용 시점에 쌓인 빛/어둠 마력 스택의 수가 같으면 균형, 아니면 불균형으로 판정된다. 즉, 빛과 어둠의 마력이 모두 4씩 쌓인 상태에서 시전해야 최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그러나 루미너스는 공격 속도가 느려서 특수 스킬 반지 시간 내에 15회를 모두 발동시키기 어렵고, 마력 스택이 모두 쌓여야 온전한 극딜을 뽑을 수 있다는 점도 가장 발목을 잡는다. 따라서 파티 플레이에서는 보스 숙련도가 부족하거나 보스를 타격하지 못하는 상황이면 극딜 타이밍에 스택을 다 쌓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보스전에서 오리진 스킬로 인한 이퀄리브리엄 시간 증가를 받지 않는 한 120초 간 이퀄리브리엄 한번 발동으로는 마력 스택을 다 쌓을 수 없어, 이때는 메모라이즈를 사용하여 쌓아야 한다. 하지만 이런 복잡한 준비 과정을 가지고도, 막상 딜 점유가 높지 않다(...).
13. 관련 문서
[1] 레벨 업이나 SP로 증가시킨 HP로, 285레벨 기준으로도 약 50 정도밖에 차지 않는다.[2] 다른 성형으로 변경하여도 기본 성형에 외형이 변화된 모습으로 바뀐다. 스킬 설명에도 써있듯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외형 변화를 잠글 수 있다.[3] 이클립스와 무관한 오버로드 마나와 5차 스킬과 오리진 스킬의 추가 MP 소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4] 다른 성형으로 변경하여도 기본 성형에 외형이 변화된 모습으로 바뀐다. 스킬 설명에도 써있듯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외형 변화를 잠글 수 있다.[5] 의미는 없지만 초기화도 적용된다.[6] 슈퍼 스탠스가 아니다. 따라서 4차 스킬 중 다크니스 소서리를 마스터하기 전까지만 유의미하다.[7] 라이트랜스포밍보다 유지 시간이 길지만, 판정 자체는 같다.[8] 방어율 무시 옵션은 방어율을 깎은 데에서 또 깎아내는 식의 마이너스 복리라서, 기본 방무 수치가 높거나 자잘하게 나눠졌을 경우 효율이 떨어진다.[9] KMS 명칭은 라이트(Light)에 트랜스포밍(Transforming)을 합친 것이다.[10] 다크 사이트와는 완전히 다르다. 순수 몸박과 돌진만 무시하고, 보스 패턴 등 낙하물을 포함해서 다크 사이트로 회피할 수 있는 다른 패턴은 못 피한다.[11] 일반 스탠스 100% 판정이다. 4차 전직 이전이라 스탠스 확률이 부족한 상황이어도 밀려나지 않는다.[12] 이 기능은 지하 수로에서 특수 스킬 반지의 직접 스위칭에 활용할 수 있다.[13] 키다운을 유지한 상태에서 피격당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전투 상태가 풀린다.[14] 힐 판정이므로 언데드화 상태에서 사용하면 자신이나 아군을 즉사시키고, 공격 반사에도 반응한다.[15] 회복력 800%는 말 그대로 스탯 공격력의 8배다. 즉 스탯 공격력이 6만 5천 이상이면 HP 최고 수치인 50만도 모두 회복시킬 수 있다. V 매트릭스의 강화 코어 효과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16] 파티 단위 보스 레이드에서 의도적으로 파티원을 회복하기엔 시전 시간도 길고 범위도 매우 좁아서 파티원이 가만히 있어주지 않는 이상 회복시키기 어렵다.[17] 특히 아포칼립스에는 없는 하단 범위가 있다. 간혹 제자리 사냥 중 엔드리스 다크니스 발동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18]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경우도 7회 방어가 모두 끝났을 때 적용되어 다시 스킬을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19] 연속으로 상태이상을 발생시키는 공격의 경우 매 타격마다 상태이상 방어가 발동되어 순식간에 방어 횟수가 사라지니 주의해야 한다.[20] 선파이어 상태에서는 피해를 무시할 때 웃지만, 이클립스와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외형 변화가 적용되었을 때는 표정이 고정되기 때문에 웃지는 않는다. 물론 이클립스/이퀄리브리엄의 표정 고정을 비활성화하면 똑같은 상황에서 잘만 웃는다.[21] 최종 데미지 5%는 하이퍼 스킬의 리인포스 데미지 20%보다 데미지 증가폭이 더 크다.[22] 이 때문에 몹이 새는 상황이 간혹 발생한다.[23] 상하 범위가 전방보다도 빈약해서 위나 아래에 있는 몬스터는 잘 맞히지 못한다. 이는 하이퍼 스킬 중 애드 레인지로 보완해야 한다.[24] 650×4×1.5=3,900%, 빛 마법 강화, 코어 강화 미적용 기준.[25] 팬텀의 템페스트 오브 카드, 데몬 어벤져의 실드 체이싱과 유사하다.[26] 1,200×7×1.5=12,600%[27] 450×6×3×2=16,200%[28] 4초 쿨감뚝+메르세데스 250레벨(SSS) 유니온 공격대원이 있다면 15×0.94-4=10.1초, 5초 쿨감뚝이면 9.55초까지 줄어든다.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은 어빌리티 최대 20%+아티팩트 10레벨 7.5%=27.5%까지 가능하다.[29]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옵션이 적용되어 3번 사용했을 경우, 빛과 어둠의 세례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재사용 가능 직전이나 사용 가능 상태에 다다른다.[30] 1레벨과 30레벨을 비교하면 선파이어/이클립스 상태의 데미지가 약 3.7배, 이퀄리브리엄 상태의 데미지가 약 3배로 증가한다.[31] 375×7×1.5=3,937.5%[32] 1레벨 기준으로도 2719.5%로, 다크라이트 마스터리를 마스터한 데스 사이드(+이퀄리브리엄)보다 높다. 초반에는 스펙이 낮다면 이클립스 상태로 고정해서 사냥하는 게 오히려 좋을 수 있다.[33] 1레벨 당 1%p 증가[34] 1레벨 당 5초 증가[35] 1레벨 당 1%p 증가[36] 1레벨 당 1%p 증가[37] 1레벨 당 2% 증가[38] 1레벨 당 1%p 증가[39] 홀수 레벨에 1% 증가[40] 1레벨 당 1 증가[41] 3의 배수 레벨에 1% 증가[42] 3의 배수 레벨에 1% 증가[43] 배틀메이지의 텔레포트 Ver.2와 같은 형태이다.[44] 남자나 여자나 악당 같은 웃음소리인데, 여자가 거만한 웃음소리라면 남자는 음산하게 웃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45] 적에게 최대 HP의 1%에 달하는 피해를 입힐 때마다 지속시간 10% 증가[46] 2가지 톤이 있다. 하나는 나지막히 말하고 웃음도 없지만 하나는 어둠의 길 선택시 들을 수 있는 시원시원한 광소다.[47] (5+스킬 레벨 10레벨 당 1)%[48] (60-스킬 레벨)초[49] 사망 방지기, 부활기 등.[50] (10+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51] 25+스킬 레벨[52] (10+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53] (10+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54] 5차 스킬을 제외한 0~4차, 하이퍼 스킬에 적용된다.[55] 특히 모자에 재사용 대기시간 n초 감소 옵션이 있다면 그 n초 만큼 갱신 가능 시간이 늘어나 발동 주기를 더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n%도 마찬가지이다.[56] 만약 창조의 아이온을 나중에 사용한다면 다음 극딜에서 돌지 않아 애매해진다.[57] 모자에 재사용 대기시간 n초 감소 옵션이 있다면 (n×5)초만큼 일찍 쌓아야 한다. 창조의 아이온 선행 사용을 위해서는 10초 가량 일찍 사용하는 것이 좋다.[58] (75-스킬 레벨×0.5)초. 소수점은 버린다.[59] (100+스킬 레벨×10)%[60] (5+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61] 1레벨 21초, 스킬 기준 3레벨당 +1초[62] (450+스킬 레벨×18)%[63] (290+스킬 레벨×12)%[64] 8회 공격이 발생한다.[65] 렌의 스킬 중 섬무와 같은 명목상 극딜기이자 다른 극딜기의 트리거 스킬이라고 보면 된다.[66] 이때 키다운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편의성도 떨어질 뿐더러 키다운을 하면 공격 횟수가 증발하는 버그가 있기 때문이다.[67] 단순하게 퍼니싱 리소네이터만 키다운 했을 때 공격 횟수를 모두 소모하려면 약 5초가 걸린다.[68] (300+스킬 레벨×12)%[69] 보스가 텔레포트를 하면 주변에 있는 잡몹을 공격하고 타격이 모두 들어간다. 예로 진 힐라에서 죽어있는 잡몹을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70] 오리진 스킬인 하모닉 패러독스도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사용하면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효과가 적용되기 때문에 스킬 사용 후 바로 빛과 어둠의 세례를 사용할 수 있다.[71] (370+스킬 레벨×15)%[72] 라이트 리플렉션/아포칼립스/앱솔루트 킬, 아포칼립스/앱솔루트 킬/트와일라잇 노바, 트와일라잇 노바/라이트 리플렉션/기타 코어 등.[73] 1레벨 60, 스킬 기준 3레벨당 + 1[74] (485 + 스킬 레벨×7)%[75] (1레벨 41, 1레벨 이후 6레벨당 + 1)%[76] 1레벨 81, 스킬 기준 5레벨당 + 2[77] (710 + 스킬 레벨×15)%[78] (830 + 스킬 레벨×25)%[79] \(40 + 스킬 레벨×3)%p[80] 1레벨 103, 스킬 기준 2레벨당 +1[81] (408 + 스킬 레벨×12)%[82] 아트북에 수록된 디자인 결정 단계에서 폐기됐던 아포칼립스의 여러 도안들 중 하나를 가져온 것이다.[83] (615 + 스킬 레벨×15)%[84] 재사용 대기시간도 반드시 맞춰 나간다. 어느 한 쪽이 직전에 사용된 경우, 양쪽 다 발동하지 않고 반드시 같이 발동한다.[85] 1레벨 81, 스킬 기준 3레벨당 +1[86] (440 + 스킬 레벨×30)%. 이클립스도 같다.[87] (375 + 스킬 레벨×25)%[88] 1,630×7×3×1.5×2.2=112,959%[89] 1,125×7×4×2×2.2=138,600%[90] 레벨당 1%씩 증가. 단, 1레벨 11%, 10레벨 25%, 20레벨 40%, 30레벨 60%.[91] 레벨당 1%씩 증가. 단, 1레벨 11%, 10레벨 25%, 20레벨 40%, 30레벨 60%.[92] 레벨당 1%씩 증가. 단, 1레벨 11%, 10레벨 25%, 20레벨 40%, 30레벨 60%.[93] 레벨당 1%씩 증가. 단, 1레벨 11%, 10레벨 25%, 20레벨 40%, 30레벨 60%.[94] (1,500 + 스킬 레벨×50)%[95] (758 + 스킬 레벨×26)%[96] (3,000×7×17)+(1,538×7×39)=357,000+419,874=776,874%[97] 컷신 가운데 위를 보면 검은 마법사가 있는 디테일을 볼 수 있으나, 보스전에서는 중앙 상단 타이머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98] (725 + 142×스킬 레벨)%[99] (725 + 142×스킬 레벨)%[100] 4,985×13×19 + 4,985×13×19 = 2,462,590%[101] 이클립스 게이지를 0으로 만들지는 못한다. 그래서 이 스킬만으로는 이퀄리브리엄의 발동 조건을 만족할 수 없다.[102] 단, 엔드리스 다크니스 원킬과 에르다 파운틴&솔 야누스 유효 킬이 나야 한다.[103] 최초 접속 후, 라크니스가 적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해도 이 형태로 나온다.[104] 약 0.2초 주기로 총 28회 공격한다.[105] (525+스킬 레벨×21)%[106] (425+스킬 레벨×17)%[107] (500+스킬 레벨×20)%[108] 드물게 서버 상태 때문에 바뀌지 않거나 정말 가끔 반대 속성으로 발동되는 경우도 있다.[109] 단, 강화 상태가 넘어가는 동안에는 공격이 일시적으로 멈추며 지속시간도 감소한다. 그러므로 강화 상태가 바뀔 타이밍에 리소네이터를 설치하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110] 보통 버프 지속시간 증가 수치 105%를 마지노선으로 치는데, 이 경우 이퀄리브리엄이 34.85초밖에 되지 않아 이퀄리브리엄이 중간에 다한다. 이럴 때는 SS등급(200레벨) 이상인 메르세데스 유니온 공격대원이 필요하다.[111] (375+스킬 레벨×15)%[112] (75+스킬 레벨×3)%p[113] (375+스킬 레벨×15)%[114] (475+스킬 레벨×19)%[115] 샤인 리뎀션과 모양이 비슷하다.[116] 이 패시브 공격의 딜 점유율도 상당한 편이다.[117] '마법 공격력'의 개념인 마력이 아니라, 그냥 이름만 '마력\'이다. 실제 스공에는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118] 이퀄리브리엄은 두 가지 패시브가 동시에 발동되므로 둘 다 쌓인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검은 마법사]]}}}{{{#!if external != "o"
[[검은 마법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uuid=b7530f0a-fd0d-4255-b8dc-acd0421a1534|r356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uuid=b7530f0a-fd0d-4255-b8dc-acd0421a153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검은 마법사?from=356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검은 마법사]]}}}{{{#!if external != "o"
[[검은 마법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uuid=b7530f0a-fd0d-4255-b8dc-acd0421a1534|r356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검은 마법사?uuid=b7530f0a-fd0d-4255-b8dc-acd0421a153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검은 마법사?from=356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