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6:43:19

러플레

루플레에서 넘어옴
파일:파이어 엠블렘_로고_white.png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주인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메인 시리즈
암흑룡과 빛의 검
/ 문장의 수수께끼
외전 / Echoes
또 하나의 영웅왕
성전의 계보
마르스
크리스
아름
세리카
시구르드
세리스
트라키아 776 봉인의 검 열화의 검
리프 로이 엘리우드
헥터
성마의 광석 창염의 궤적 새벽의 여신
에브라임
에이리카
아이크 미카야
아이크
각성 if 풍화설월
러플레
크롬
루키나
카무이 벨레트 / 벨레스
인게이지
뤼에르
외전 시리즈
환영이문록#FE 히어로즈 무쌍
아오이 이츠키 알폰스 시온
리안
무쌍 풍화설월
세즈 }}}}}}}}}

FE 각성 주인공 일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주연
파일:Portraitchrom.png
파일:Portraitrobinmale.png
파일:Portraitrobinfemale.png
파일:Portraitmarth.png
크롬 러플레 마르스
동료
파일:Portraitlissa.png
파일:Portraitfrederick.png
파일:Portraitvirion.png
파일:Portraitsully.png
파일:Portraitvaike.png
리사 프레데릭 비오르 소와레 베이크
파일:Portraitstahl.png
파일:Portraitmiriel.png
파일:Portraitkellam.png
파일:Portraitsumia.png
파일:Portraitlon'qu.png
소르 미리엘 칼럼 스미아 론쿠
파일:Portraitricken.png
파일:Portraitmaribelle.png
파일:Portraitpanne.png
파일:Portraitgaius.png
파일:Portraitcordelia.png
리히트 마리아벨 벨벳 가이아 티아모
파일:Portraitgregor.png
파일:Portraitnowi.png
파일:Portraitlibra.png
파일:Portraittharja.png
파일:Portraitolivia.png
그레고 노노 리베라 사랴 올리비에
파일:Portraitcherche.png
파일:Portraithenry.png
파일:Portraitdonnel.png
파일:Portraitanna.png
파일:Portraitbasilio.png
세르쥬 헨리 도니 안나 바질리오
파일:Portraitflavia.png
파일:Portraitsay'ri.png
파일:Portraittiki.png
플라비아 사이리 치키
}}}}}}
특수 동료·자식세대 }}} ||
러플레
ルフレ / Robin
파일:Robin_M_SSBU.png
파일:Robin_F_SSBU.png
남성 여성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의 모델링. 각성에선 마이 유니트의 공식 일러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1. 개요2. 설명3. 작중 행적4. 성능5. 기타

[clearfix]

1. 개요

戦局を変える!
전황을 바꾸겠어!
치명타 / 오의 발동 시 대사
파이어 엠블렘 각성주인공. 플레이어가 이름과 모습, 목소리, 특징을 정하는 '마이 유니트' 캐릭터다.

남성의 경우 1인칭은 보쿠(僕), 2인칭은 키미(君)를 사용하고, 여성의 경우 1인칭은 와타시(私), 2인칭은 아나타(あなた)를 사용한다.

일본어 성우는 호소야 요시마사, 오오카와 토오루, 사와시로 미유키[1]다. 영어 성우는 데이비드 빈센트, 브랜든 카러, 크리스 스미스, 미셸 러프, 웬디 리, 로런 랜다. 성별에 따라, 남자 러플레는 추가로 목소리 톤에 따라 성우가 달라진다.

기본 이름은 '러플레'다. 이름의 유래는 '반사, 반사광, 무언가와 꼭 닮은 것'을 뜻하는 프랑스 단어 reflet이다. 프랑스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르플레(ʀəflε)'가 옳지만, 정발명은 영어식으로 '러플레'가 되었다.

2. 설명

게임을 시작할 때 성별, 생김새, 말투, 이름, 생일, 강점과 약점을 설정한다. 초기 직업은 검과 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고유 직업 전술사. 말투에 따라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대사 등이 변하고, 강점과 약점은 능력 한계치에 영향을 준다. 강점은 부모 세대 중 가장 강한 버프를 물려준다.

이야기의 주축이 되지 못했던 파이어 엠블렘 신 문장의 비밀 빛과 그림자의 영웅의 마이 유니트인 크리스와 달리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캐릭터. 최중요 캐릭터이기 때문에 크롬과 마찬가지로 죽으면 게임 오버이다. 공식 이미지에서 썬더 소드, 트론을 들고 있다. 둘 다 번개 속성이다.

반대 성별 전용 직업(남성: 전사/야만족/마전사, 여성: 페가수스 나이트/트루바도르/신부)과 일부 고유 직업(맘쿠트/타그엘/마을사람/무용수/오버로드/로드 등)을 제외한 모든 직업으로 전직이 가능하다. 자식에게도 계승되는 특징으로, 마크와 그의 형제자매에게도 나타난다. 따라서 많은 스킬을 습득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모든 캐릭터와 지원 효과가 존재하고 이성 캐릭터일 경우 결혼도 가능하다. 지원회화 S에서 유일하게 상대의 CG가 뜬다. 부모 세대 중 유일하게 친자식을 제외한 자식 세대나 범용 결혼 후보가 아닌 캐릭터들과도 결혼이 가능하다. 지원회화만 노리는 경우 캐릭터들과의 지원도를 A랭크에서 멈추고 S랭크를 보고 다른 슬롯에 저장한 뒤 리셋하는 것을 반복하기도 한다.

비공식적인 전용 테마곡으로 'Id(이드) 시리즈'가 있다. 이드는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나오는 자아의 개념 중 하나이다. 대표곡은 종장 테마곡 'Id-Return/Purpose'.[스포일러] 이외에도 DLC 절망의 미래에 나오는 전용 보스 테마인 Id-Hope, 루키나에게 죽을 뻔할 때 나오는 Id-Sorrow 등이 있다.

공식 인기투표에서 남자는 3위, 여자는 2위를 했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플레/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성능

  • 괄호 안의 수치는 성장률(%)
클래스 전술사 보유스킬 전투 지식
레벨 마력 기술 속도
1 6
(40)
5
(35)
5
(35)
6
(35)
HP 행운 방어 마방 이동력
19
(40)
4
(55)
6
(30)
4
(20)
5

유닛으로써의 성능은 성별이나 특수직 제한만 없으면 모든 직업으로 전직 가능한, 본작의 무한전직 시스템과 스킬 시스템을 잘 써먹으라고 만든 듯한 캐릭터. 성장률은 기본적으로 밸런스 있게 준수하고 처음에 고른 강점과 약점 스탯에 초기치, 성장률 그리고 상한치가 모두 바뀐다.

처음부터 마법을 쓸 수 있어서 근-원거리 공격이 가능한데다가, 수비 강점을 선택하면 프레데릭과 유이한 루나틱 초반부의 탱커 유닛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초반부에 수비 강점인 러플레에게 경험치를 몰빵한 후, 4장까지 러플레와 프레데릭 더블 단독으로 돌파한 다음 DLC 뺑뺑이를 돌아 스펙빨로 밀어버리는 게 각성 루나틱의 정석적인 공략법(...). 이후에는 경험치와 프루프를 부어 작정하고 키우면 클래스 체인지를 통해 온갖 스킬을 긁어모아 아군 최강급 유닛이 된다. DLC를 쓰지 않는다면 각성 루나틱은 시작부터 끝까지 러플레 원맨쇼가 되어버린다.

주의점은 모든 직종이 가능하더라도 성별 제한 직업은 변경 불가이기 때문에 여플레와 달리 남플레는 다크 페가수스의 질풍신뢰를 못 배워 자식한테 밀려나는 2군 유닛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다른 강점으론 이 모든 해택이 자식한테도 그대로 전달된다는것. 모든 직종 변경을 통한 스킬 세팅은 물론이고 일반 유닛중 최고로 높은 상한치까지 유전되기 때문에 마크는 물론 존재한다면 다른 1명 역시 러플레의 상위 호환급 유닛이 될수 있다.

이러나저러나 작정하고 키운 러플레보다 확실하게 좋다고 말할 수 있는 캐릭터는 작정하고 키운 자기 자식 정도 밖에 없는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진 유닛. 여플레로 크롬과 결혼하거나 남플레로 크롬 결혼계획을 잘 짜서 나타난 루키나와 결혼해 미친 일가족을 만들어 보자.

5. 기타

파일:FE_Robin(concept_art).png
컨셉아트

대난투에 등장한 덕에 아미보로 판매중이라 if에서 아미보 연동으로 나오는 캐릭터 중 하나로 사용이 가능하다. 친구인 크롬은 if 시절까지만 해도 아미보가 없었기 때문에, 따로 나온 DLC에서나 볼 수 있다.

러플레의 영문판 이름(Robin)이 "울새"를 뜻해서 울새로 그려진 개그 그림이 많다.#1#2#3#4

파엠히 1차 총선에선 남자는 8위, 여자는 10위를 했고 2차 총선에선 남자는 7위, 여자는 20위, 3차 총선에선 남자는 5위, 여자는 4위, 4차 총선에서는 남성은 8위, 여성은 13위를 차지하였다. 그 많은 캐릭터들 사이에서 마이유닛이라 확고한 디폴트 캐릭터로써 정립된지 얼마 안됐단걸 생각해보면 인기가 상당한 셈.

남성, 여성 모두 지지층이 확고한 캐릭터지만 시리즈의 성별 선택 가능 주인공 중 유독 여성 마이유닛에 대한 대우가 박한 편이다. 공식 매체에서 일단 기본적으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마이유니트보다는 루키나나 크롬을 메인 주인공으로 밀어주기도 할 뿐더러, 기껏 나올 때도 공식에서 섣불리 이성 조합을 엮었다간 커플링 논쟁이 일어나는지라 여성 대신 남성 러플레가 크롬과 함께 나오는 일이 많다. 근데 이럴 경우 또 기므레는 러플레의 몸을 통해 등장해야 되는 그 특성상 주로 여성 러플레가 기므레 본체 역할을 할당짬처리받다 보니 취급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 대표적으로 파이어 엠블렘 무쌍이 있고,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에서 역시 남플레는 못 받은 여성 러플레의 기므레 마기는 그렇다쳐도 총선과 전승 모두 제정신으로 나온 남플레와 달리 여플레레는 기껏 나온 전승마저 기므레로 낭비해버리고 총선에서 뽑혀도 맨정신으로 나올지가 불투명하다 보니 여론은 좋지 않다. 이런 상황이 10년 넘도록 지속되고 인게이지 dlc 문장사로도 크롬과 함께 남성 러플레가 나오며 화룡점정을 찍는 등 팬들 사이에서는 루키나를 남플레가 낳았다든가(...) 여성 러플레=기므레라고 놀림받는 일이 많다.


[1] 사와시로는 이후 후속작에서 카밀라를 맡는다.[스포일러] 라틴어 가사는 러플레가 기므레를 거부하고 살아남기를 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프리미엄 어레인지 트랙에 수록된 id-purpose의 일본어 가사는 처음 크롬이 손을 내밀어준 때부터 함께한 날들을 추억하며 함께 있고 싶었지만, 자신이 사라지더라도 절망을 끊을 최후의 책략을 준비했다는데, 이때부터 기므레의 가사가 추가된다. 그 뒤부턴 크롬에게 포기하지 말라는 말과 아직도 나에게 반항하느냐 투의 기므레의 말들이 같이 나오다가 사실은 살고 싶다는 러플레의 본심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