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포청년역 | ||
역명 표기 | ||
만포선 | 만포청년 Manpho Chŏngnyŏn 滿浦靑年 / 滿浦青年 / [ruby(満浦青年, ruby=マンポチョンニョン)] | |
북부내륙선 | ||
운하선 | ||
주소 | ||
자강도 만포시 | ||
관리역 등급 | ||
중간역 (개천철도총국) | ||
운영 기관 | ||
만포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
북부내륙선 | ||
운하선 | ||
개업일 | ||
만포선 | 1939년 2월 1일 | |
운하선 | ||
운봉선 | 1959년 | |
철도거리표 | ||
순천 방면 건 하← 7.9 ㎞ | 만포선 만포청년 | 종점 |
기점 | 북부내륙선 만포청년 | 혜산청년 방면 차가평4.6 ㎞ → |
메이지철도 만포청년 | 지안 방면 지 안14.8 ㎞ → | |
운하선 만포청년 | 운하 방면 구 오3.0 ㎞ → |
[clearfix]
1. 개요
만포선, 북부내륙선, 운하선의 철도역. 자강도 만포시 소재.중국 지안 (집안, 集安)과는 압록강을 건너 메이지선(매집선)으로 이어지며,[1] 고저차 극복을 위해 만포철교와 이 역 사이에는 똬리굴이 있다.
2. 역 정보
만포청년역 풍경. 6분 5초부터는 림토역의 풍경이 나온다.
건하역과 이 역 사이에 길이 2445m의 삼걸령터널이 있다.
만포는 예전부터 중국과의 접경지대여서, 신의주시에 비하면 마이너하지만, 나름대로 중국으로 가는 두 번째 관문 역할을 해 왔고, 한국 전쟁 때는 중공군이 넘어온 길목의 역할도 하였던 동네였다.
이후, 북한의 다른 중국 접경지대가 몰락한 반면, 이 동네는 신의주에 이어 2번째로 그나마 현상 유지는 하고 있다. 다른 접경지대 중 철도로 중국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곳은 평안북도 신의주시 신의주역과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역뿐. 무산역은 원래 2011년에 철도로 연결될 예정이었는데 어찌 된 일인지 소식이 없다.
게다가 시 타이틀을 달고 있어서 그런지, 중심 지역이 비록 뒷산 하나로 인해 동서로 갈라지긴 했지만 크기가 장난이 아니다. 대략 3㎢ 수준. 대략 김책시의 절반 정도 되는 수준이다. 접경지대, 그것도 최북방 접경지대치고는 대단히 큰 셈이다.
인근으로 빠지는 선로도 워낙 많아서 도대체 몇 선이나 되는지 감이 안 잡힐 수준으로 큰데, 승강장 근처에 있는 선로는 2면 8선 정도. [2]
3. 둘러보기
만포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구장청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부내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운하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