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벌레(망고파리) Mango fly, Tumbu fly, Tumba fly, Putzi fly, Skin maggot fly | |
| |
학명 | Cordylobia anthropophaga Blanchard, 1872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파리목(Diptera) |
과 | 검정파리과(Calliphoridae) |
속 | 코르딜로비아속(Cordylobia) |
종 | 망고벌레(C. anthropophaga) |
1. 개요
검정파리과 기생충의 일종.학명의 뜻은 Cordylobia속 중에서 사람(anthropo)을 먹는(phaga) 종이라는 뜻이다.
2. 특징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한다.암컷 망고벌레는 배설물로 오염된 흙이나 축축한 옷, 침구에 약 300개의 알을 낳고, 유충들은 2~3일 정도에 부화한다. 부화한 유충들은 주변의 포유류[1]에게 기어올라 피부 조직에 침투한다. 이들이 침투하면 그 부위에 붉은 종기가 생기면서 가려움증과 통증이 수반된다. 유충들이 8~12일 동안 피부 속에서 성장해 번데기가 되기 직전까지 도달하면, 숙주에게서 떨어져 나온 뒤 땅에 파묻혀 성충으로 변태한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망고벌레는 사람보단 개나 설치류 같은 다른 포유동물들을 숙주로 삼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인류의 탐구심은 여기서도 쓰임새를 찾아내기도 했다. 망고벌레에 의한 상처의 경우 사람피부파리의 것보다 몇 배는 많은 벌레가 들어참에도 상처 자체는 오히려 매우 깨끗하며, 심지어 벌레가 떠나거나 빼낸 뒤에는 외부 오염만 주의하면 깔끔하게 나아버리기까지 한다.[2] 이는 망고벌레 유충은 감염 부위에 특수한 살균 물질을 분비하여 일대를 거의 완전한 무균 상태로 만들어 망고벌레 유충 이외의 세균이나 기생충의 감염을 막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망고벌레 유충이 내뿜는 물질을 이용한 살균 및 소독약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