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20:15:36

메가록 드래곤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17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메가록 드래곤,
일어판명칭=メガロック・ドラゴン,
영어판명칭=Megarock Dragon,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 수비력=?,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에서 암석족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제외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은\, 그 특수 소환을 위해 제외한 몬스터의 수 × 700이 된다.)]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를 제외하고 특수 소환하는 소환 조건, 이 때 제외한 암석족 몬스터 수만큼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을 정하는 지속 효과를 가진 특수 소환 몬스터.

묘지 덤핑을 통해 일격필살을 노리는 암석족 덱의 피니셔로, 12장 이상을 제외하면 원턴킬이 가능한 공격력을 얻는다. 제외한 암석족을 로스트 가디언이나 화석암의 해방 등의 효과로 이용해보는 것도 좋다.

소환 조건으로 제외하는 몬스터 매수는 임의라서 여차하면 묘지의 암석족을 1장만 제외하여 소환한 후 각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본인도 암석족이므로 묘지의 암석족을 1장 제외하고 나왔다면, 소재로 써서 묘지로 가도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 수는 제자리로 돌아오는 셈이 된다. 과거에는 암석족 튜너가 없었기에 암석족 통일 덱에선 싱크로가 불가능했으나 암석족 싱크로 테마인 아다마시아가 나오면서 레벨 9, 10의 싱크로가 가능해졌다. 레벨 9 암석족 싱크로 중엔 대표적으로 귀암성이 있다.

묘지 자원이 중요해지면서, 피니셔로 쓰기보다는 암석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소환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다. 앞의 싱크로나 엑시즈 이외에도 암석족을 소재로 하는 융합 소환이나 링크 소환의 소재로 충분히 활약할 수 있다. 같은 암석족 덱인 메가리스에서 주로 릴리스 소재로 쓰이는데, 레벨이 애매하므로 보통 레벨 4 메가리스를 소환할 때 사용한다.

묘지에 암석족을 쌓기 쉽고 레벨 7짜리 융합 몬스터도 많은 젬나이트 덱에 투입해봐도 좋은데, 젬나이트 크리스타 주축이라면 리크루트하는 데에 쓰인 젬나이트 알렉산드를 제외하고 이 카드를 즉석으로 꺼낼 수 있다. 이 카드 자신도 젬나이트 지르코니아의 소재가 될 수 있으니 고려해볼 수는 있겠다.

비슷한 소환 조건을 가진 지구거인 가이아 플레이트와 비교하자면, 폭발력은 이 카드가 더 높지만 대신 능력치가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가이아 플레이트는 자체 효과로 공격력 5600선까지는 혼자 처리할 수 있는 반면, 이 카드는 5장 이상 제외하고 나오지 않으면 공격력으로 해당 카드를 이길 수가 없다. 원래 공격력이 0이라서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와 궁합도 나쁘고, 스킬 드레인이나 이펙트 뵐러 등에 걸려도 간단히 무력화되어버린다는 단점도 있다. 그래도 필드에 꺼내기 쉬운 레벨 7 몬스터라는 점으로 차별화를 꾀할 수는 있다.

변동하는 수치가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인 만큼 수축 등에 걸려도 공격력이 0이 되지 않고 절반으로 떨어진다. 다만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위대한 마수 가젯트를 꺼냈다면 공격력은 그냥 0이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빛의 결사 편에서는 이와마루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덱에 투입한 카드로 확인된다.

유희왕 익스퍼트 2006에서는 암석족에 리크루트 몬스터가 없어서 암석족만으로 덱을 짤 수 없기 때문에 좀 힘들다. 어태커도 기간테스 꼴랑 하나에 일반 소환이 가능한 것도 아니고, 묘지에서 땅속성 제외하고 특수소환이다. 거대쥐를 제외한다면 상관없지만, 거대쥐가 없으면 암석족 몬스터를 제외해야 하는데, 메가록 드래곤의 공격력 상승에 방해가 된다. 1장당 700 상승이라 3장이면 꼴랑 2100이다. 4장은 제외해야 2800... 데블도우저는 2장만 제외하고 2800인데, 메가록 드래곤은 제외하는 카드가 많으면 더 올라갈 수 있긴 하지만, 애초에 한방에 적 라이프를 증발시킬 수 없다면 그냥 전투에서 밀리지 않을 정도가 좋다. 최소한 1장당 공격력 800 상승이었어야 했고, 1장당 공격력 1000 상승이면 훌륭한 카드였을 것이다.

싱크로 이후의 소환법과 강력한 카드들이 없던 시절의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지구거인 가이아 플레이트와 함께 암석족의 전통의 피니셔로 대 활약했던 카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기간 한정 이벤트인 '이차원의 탑~어둠의 장~'에서는 이차원에서 난입한 몬스터로 등장했다.

이 카드의 효과를 수비력 버전으로 바꾼 로스트 가디언이 존재한다. 다만 로스트 가디언은 레벨 4라 통상 소환이 가능한 대신 자체적으로 묘지의 암석족을 제외하는 효과는 없기에 쓴다면 메가록 드래곤을 먼저 소환한 후 로스트 가디언을 세트하든가 하는 식으로 운용해야할 듯 하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5-02-24 |
[[일본|]][[틀:국기|]][[틀:국기|]] TLM-JP015 | ザ・ロスト・ミレニアム [ THE LOST MILLENNIUM ]
2005-12-08 |
[[일본|]][[틀:국기|]][[틀:국기|]] SD7-JP01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守護神の砦 -
2005-12-08 |
[[일본|]][[틀:국기|]][[틀:국기|]] EE3-JP195 | EXPERT EDITION Volume 3
2005-06-01 |
[[미국|]][[틀:국기|]][[틀:국기|]] TLM-EN015 | THE LOST MILLENNIUM
2006-05-15 |
[[미국|]][[틀:국기|]][[틀:국기|]] SD7-EN012 | STRUCTURE DECK INVINCIBLE FORTRESS
2006-11-25 |
[[미국|]][[틀:국기|]][[틀:국기|]] DR3-EN195 | DARK REVELATION Volume 3
2024-03-29 |
[[미국|]][[틀:국기|]][[틀:국기|]] SGX4-END04 | SPEED DUEL GX: MIDTERM DESTRUCTION
2006-08-29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TLM-KR015 | 잃어버린 천년
2007-10-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SD7-KR012 | 스트럭처 덱 - 무적의 요새 -
2008-07-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HGP3-KR195 | 하이 그레이드 팩 Vol.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