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7:14:29

메이플스토리/MVP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메이플스토리|메이플스토리]]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c3138, #2c3138 5%);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7a939f; padding: 10px 10px;"


[ 펼치기 · 접기 ]
'''[[메이플스토리/스토리 연표|
스토리
]]'''

'''[[메이플스토리/지역|
지역
]]'''


'''[[틀:메이플스토리 아이템 일람|
아이템
]]'''




현재 플레이할 수 없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삭제된 콘텐츠 참고
}}}
}}}

1. 개요2. 등급
2.1. 반영 기준
3. 혜택
3.1. 2025년 4월 17일 이후
3.1.1. 브론즈3.1.2. 실버3.1.3. 골드3.1.4. 다이아3.1.5. 레드3.1.6. 블랙
4. MVP작
4.1. 현금 → 넥슨캐시4.2. 넥슨캐시 → 캐시아이템4.3. 캐시아이템 → 메소4.4. 메소 현금
5. 역사
5.1. MVP 멤버십 개편 해프닝5.2. 22주년 패치 이후
6. 여담

1. 개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에서 2015년 11월부터 실시된 서비스. 2015년 1월 이후 메이플스토리 캐시샵에서 넥슨캐시를 사용한 금액에 따라 MVP등급이 책정되며 등급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 등급

3달간의 결제 금액에 따라 브론즈~블랙으로 책정된다. 3달간 결제 내역이 합 15만원 이하라면 등급이 배정되지 않는다.

MVP 등급은 넥슨캐시 사용 금액에 따라 책정되며 메이플 ID 단위로 공유된다.

2.1. 반영 기준

MVP 등급은 넥슨캐시 사용 금액에 따라 책정되며 자세한 사양은 다음과 같다.
  • 넥슨 캐시 사용 시
    • 청약철회가 가능한 상품: 캐릭터 인벤토리로 이동 시 적용
    •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상품: 구매 시 즉시 적용
  • 프리미엄 PC방 이용 시
    PC방 이용 시 6분당 100원씩 적립되어 1시간당 1000원씩 적립된다. 화면 좌측의 마일리지 알림이를 통하여 누적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PC방 이용 시 1시간(60분) 요금은 대부분의 경우 못해도 1,000원은 되며, 계산의 편의를 위해 100원 단위로 적립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각 등급별 설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등급 당월 포함 최근 3개월 구매금액 1개월 평균 구매금액
브론즈 150,000원 50,000원
실버 300,000원 100,000원
골드 600,000원 200,000원
다이아 900,000원 300,000원
레드 1,500,000원 500,000원
블랙 3,000,000원 1,000,000원

청소년은 월 70,000원까지만 결제 가능하므로 브론즈는 무난히 달성할 수 있지만, 실버만 되도 달기가 매우 어렵다.[1] 피시방 접속에는 제한이 없기에 실버는 물론 레드까지는 역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원래 피시방 유저라면 몰라도 MVP 등급만을 위해서 피시방을 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청소년이 MVP 레드를 끊기지 않고 유지하려면 매달 충전한도를 전부 채워도 누적 540시간 즉 일평균 18시간씩 30일을 해야한다. 31일 기준으로는 일평균 17시간 30분, 28일 기준으로는 일평균 19시간 18분이다. 애초에 청소년은 22시부터 06시까지 8시간 동안 보호자 동반 없이는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이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최대 16시간이다. 즉, 보호자 동반이나 동의가 없다면 출입시간을 위반하거나 성인에게 대신 계정 로그인을 맡기지 않는다면 레드도 절대로 불가능하고 다이아까지만 가능하다. 블랙은 어떠한 경우에도 불가능하다.

3. 혜택

MVP가 되면 게임 내에서 등급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2025년 4월 17일 이전 #===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3.1. 2025년 4월 17일 이후

3.1.1. 브론즈

3.1.2. 실버

3.1.3. 골드

3.1.4. 다이아

3.1.5. 레드

3.1.6. 블랙

4. MVP작

메이플스토리에 꾸준히 결제하여 상기 서술한 혜택들을 받을 수 있다. 한편 현금과 메소를 계속 바꿔가며 적은 비용으로 MVP를 찍을 수 있는 소위 말하는 MVP작도 있다. MVP작의 절차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현금 → 넥슨캐시 → 캐시아이템 → 메소 현금 을 원하는 금액을 결제하는 만큼 반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어떻게 MVP작을 하느냐에 따라서 현금 소모를 줄이거나 오히려 이득을 볼 수 있다. 각 과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4.1. 현금 → 넥슨캐시

말 그대로 현금을 결제할 수 있는 넥슨캐시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단순 결제를 이용해 넥슨캐시를 충전할 수도 있지만, 문화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해 이로 넥슨캐시를 충전하면 현금을 절약할 수 있다.

4.2. 넥슨캐시 → 캐시아이템

충전한 넥슨캐시를 이용해 거래량이 높은 로얄스타일, 큐브, 뷰티쿠폰 등 캐시아이템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 과정에서 MVP 누적금액이 증가한다. 경매장 가격과 시세를 참고해 경매장 판매로 가장 많은 메소를 얻을 수 있는 캐시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플래티넘 카르마의 가위, 뷰티쿠폰의 경우 마일리지 30% 할인을 이용해 캐시를 절약하면 더욱 효율적인 MVP작을 할 수 있다.

구매하는 캐시 아이템은 사용하지 말자. 경매장에 판매해 메소로 전환하기 위해 구매한 아이템이다.

4.3. 캐시아이템 → 메소

구매한 캐시아이템을 경매장에 판매해 메소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MVP작을 하는 경우에는 절대로 아이템을 사용하지 말고 전부 경매장에 판매하자. 큐브나 로얄을 사용하려고 구매한 것이 아닌 경매장에 판매해 메소로 변환하기 위해 구매한 것임을 다시 한번 명심하자.

4.4. 메소 현금

모아진 메소를 현금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메이플스토리/거래 시스템 문서의 7문단을 참고하도록 하자. 메소를 현금으로 돌려받았다면 현금을 이용해 다시 MVP작을 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5. 역사

5.1. MVP 멤버십 개편 해프닝

MVP 개편 패치 당시 MVP 블랙 등급, MVP 채널 추가, 경험치 기상효과 삭제가 테스트월드에 도입되었으나 무자본, 고자본 할것없이 유저들의 엄청난 반발로 인해 결국 해당 패치를 철회하면서, 정식 서버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

5.2. 22주년 패치 이후

2025년 4월 17일, 강화된 MVP 혜택과 함께 블랙 등급을 추가하고, 기존의 브론즈 등급 조건[2]을 실버 이상 등급과 동일하게 3개월간 결제 내역을 토대로 도출하도록 변경하였다. 이전 시도와는 달리 나름의 호평을 받았는데, 이제는 쓸모 없는 심신수련관 입장 부적을 VIP 사우나와 동일한 효율을 제공하는 잠수맵으로 변경하여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것은 물론 각종 일퀘/주간 컨텐츠에 대한 퀵패스 제공 등의 편의성에 더불어 블랙 등급이 되면 추가 경험치 버프를 50%가 아닌 70%로 뿌리기의 형태로 제공하는 등의 유저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6. 여담

의외로 가장 다양한 종류의 보상을 얻는 등급은 다이아 등급이다. 레드 등급은 전용 망토가 다시 없어지기 때문. 하지만 실용성 등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현질이 가능한 유저가 전용 망토 때문에 레드 등급을 포기해야 할 정도의 메리트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다지 의미는 없다.

PC방 프리미엄 혜택을 받으려면 PC방에서 돈을 주고 게임을 해야하므로 사실상 간접적인 현질로 볼 수 있다. 즉, 넓은 의미에서는 PC방 이용 역시 현질로 볼 수 있다. 현질의 의미를 넓게 본다고 가정하면, MVP 등급이 아예 없는 경우는 누적 1만원 미만 과금이므로 메이플스토리의 현질 유도 정도를 생각해본다면 사실상 완전 무과금 유저로 간주해도 전혀 문제가 없는 정도이다. 브론즈 등급 이하의 유저는 누적 과금 금액이 15만원 미만이므로 메이플스토리를 몇 년 이상 오랫동안 플레이한 유저라면 여기까지는 소과금 유저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브론즈를 달성한 경우는 더 이상 소과금 유저라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경뿌를 할 수 있는 골드 이상의 등급을 유지하는 유저들은 어느 정도 과금전사라고 볼 수 있으며, 레드를 상시 유지할 수 있을 정도면 상당한 헤비 과금러 확정.

다이아 등급을 유지할 정도이면 한 달 평균 과금 금액이 실버 기준 금액과 동일하며, 레드 등급을 유지할 정도이면 실버는 가뿐히 넘기고 골드에 살짝 못 미치는 정도이다.
[1] 직접 돈을 벌 때 지출을 별로 안한다면 한달 70,000원 한도가 어느 정도 빡세게 느껴질 수 있다.[2] 전체 기간 누적 15만원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