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휘프노스와 파시테아의 자식들 | ||
1000명의 오네이로이 | ||
모르페우스 꿈 | 이켈로스 형상 | 판타소스 상상력 |
알려진 신들만 게재 |
Morpheus/Μορφεύς
그리스어로 ‘형태’ 또는 ‘모양’을 뜻하는 ‘모르파이(morphai)’에서 파생한 말로 ‘모양을 빚는 자’라는 뜻이며, 일반적으로 꿈의 신[1][2]으로 소개된다.
잠의 신 휘프노스와 카리스의 하나인 파시테아의 아들 또는 어둠의 신 에레보스와 밤의 신 뉙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이켈로스(또는 포베토르)[3]와 판타소스[4]의 형제이다.
2. 상세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모르페우스는 꿈에서 사람의 형상을 빚어내며, 이켈로스와 판타소스는 각각 동물과 사물(혹은 무생물)의 형상을 빚어내는 역할을 한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모르페우스는 특정인의 걸음걸이와 표정은 물론 목소리까지 완벽하게 흉내내어 인간의 꿈속에 나타난다고 한다.케윅스의 아내 알퀴오네는 뱃길을 떠난 남편이 이미 죽은 줄도 모르고 헤라 여신에게 남편이 무사히 돌아오게 해 달라고 기도하였다. 이에 헤라는 잠의 신 휘프노스[5]에게 부탁하여 알퀴오네에게 사실을 전해주도록 했고, 휘프노스는 다시 큰아들 모르페우스로 하여금 그 일을 맡도록 하였다. 모르페우스는 소리나지 않는 날개를 달고 알퀴오네가 있는 곳으로 가서 케윅스의 모습을 하고 꿈속에 나타나 자신이 이미 죽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전해 주었다고 한다.
오늘날 영어에서 형태를 의미하는 모프(-morph-)라는 단어는 모르페우스와 같은 어근을 지니며, 수면 및 진정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강력한 진통제 모르핀(morphine)이나 매트릭스의 모피어스는 모르페우스에서 유래한 말이다.[6]
3. 대중매체에서
3.1.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모르페우스 |
아킬레우스가 아가멤논과의 갈등으로 어머니 테티스에게 아가멤논의 그리스 군이 지게 해 달라고 부탁하고 테티스는 그걸 제우스에게 부탁한다. 이에 제우스는 모르페우스와 이리스에게 심부름을 시키는데, 모르페우스는 아가멤논의 꿈에 나타나서 트로이를 당장 공격하라고 지시하여 그리스 군에게 불리하게 될 전투를 시행하게 만든다.
또, 케윅스와 알퀴오네 스토리에서도 원전대로 케윅스가 바다에서 죽은 뒤, 알퀴오네의 꿈에 케윅스로 변신해서 죽었다는 소식을 전한다.
3.2. 갓 오브 워 시리즈
갓 오브 워 시리즈에서는 숨겨진 흑막으로 나온다. 에레보스와 닉스의 손자이자 히프노스와 파시테아의 아들이다.시리즈에서 직접적인 등장은 없고 주로 헬리오스를 무력화시키는 등 나름 비중 있게 나오기는 했는데 그 이후로는 등장이 없다. 갓오브워 어센션과 갓오브워2 소설판에서 언급되고 체인 오브 올림포스에서 사건의 중심으로 나오며 3편에서 그의 이름을 딴 모르페우스 아머가 나온다.[7]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는 3편에서 영혼이 되어 등장한 아테나가 실은 모르페우스가 아닐까하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4편이 나오면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내막이 밝혀질 걸로 보였으나 4편의 무대는 북유럽 북구 신화를 무대로 하였기에 등장하지 않았다.
3.3. THE SANDMAN
THE SANDMAN의 주인공 꿈(THE SANDMAN)의 별명이기도 하다.3.4. 룬의 아이들
자세한 내용은 모르페우스(룬의 아이들) 문서 참고하십시오.3.5. 고스트 버스터즈
/revision/latest?cb=20110109025718본체
/revision/latest?cb=20121225064436
꿈속
우체부의 꿈속에서 등장[8]
라디오 쇼를 운영하는 배리 셔먼에 빙의한 다음 자신의 육체를 만들기 위해서 외눈박이 귀신으로 사람들이 꿈을 꿀때 불행하게 만들었다.[9]
캐럿의 꿈속에서도 나오는데 경기에서 이기지만 한 선수가 방해하는 바람에 넘어지고 퇴장이라고 말한다.[10][11] 캐럿도 역시 반점이 생기고 만다.
외눈박이 귀신들은 잠자는 노숙자들을 불행하게 만들다가 캐럿이 졸고 있는 바람에 라디오가 박살나자 외눈박이 귀신들은 녹고 노숙자들은 전부 깬다.[12]
캐럿과 카일리는 모피어스가 현실에서는 안 나오고 꿈에서 나오지만 모든 피해자들은 전부 모피어스가 장악한 라디오 쇼를 들어서 이상하게 변한 것이라고 알아채고 가지만 한편, 먹깨비가 라디오를 키자 에두아르도의 꿈속에서 카일리의 남자친구로 나오자마자 대머리가 되고, 롤랜드의 꿈속에서 연구원으로 나오자 긴장한 탓에 몸에 물이 나오고,[13] 이곤의 꿈속은 알몸이 되면서 선장 모습으로 나왔고, 재닌의 꿈속은 자신만 빼고 나머지는 사라지는데 모니터에서 재닌을 보고 있는 것이다.
어느새 외눈박이 귀신은 완전체가 되었으며 모두 라디오가 커져서 일어나지만 꿈이 현실이 되어버렸으며 덫으로는 잡을 수 없었다.
캐럿과 카일리는 모피어스(배리 샤먼)을 만나자 그는 변명하지만[14] 캐럿은 분노해서 라디오 장치를 박살내지만 이미 늦었다고 말한다.
외눈박이 귀신들은 전부 모피어스의 본체를 만들기 위해서 인간의 서식과 힘을 빼았기위해서 악행을 저지른 것이다.
에두아르도와 롤랜드가 도와주기 위해 왔지만[15] 물질들을 괴물로 만들어서 공격한 다음 육체가 완성되자 배리 샤먼의 몸을 버리고 본체를 되찾게 된다. 그러나 덫에 잡히게 된다.[16]
에두아르도는 머리카락이 되돌아오고, 재닌도 망상에서 벗어나고 반점이 생긴 사람들도 되돌아왔다.
모피어스에게 이용당한 배리 샤먼은 빙의된 기억을 모르고 몽유병이 걸려서 잘 모른다고 하는데 에두아르도와 카일리가 도와주는 것으로 끝났다.
3.6. 매트릭스 시리즈
모피어스 항목 참조. 한국에서는 모르페우스 대신 모피어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7. 엘소드
노아(엘소드)/모르페우스 항목 참조.[1] 다양한 신화와 종교에서 꿈 혹은 꿈의 영역과 관련된 초자연적 존재, 꿈의 상태가 영적 영역으로 가는 다리로 여기게 하는 상징을 가진 존재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다양한 종교 및 신화에서 꿈의 신(혹은 유사한 존재)에 해당되는 존재의 예시로는 이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모르페우스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오네이로이, Phobeter, 북유럽 신화의 Nott, 이집트 신화의 베스(bes), 요루바 신화의 Ala가 있다. 인간들의 꿈에 들어갈 수 있고 꿈을 형성 및 창하고 통제, 조작하고(꿈의 내용과 상징을 조종할 수 있었다) 능력을 지녔고 꿈을 매개로 메세지, 예언, 통찰력을 전달했고 인간의 정신 혹은 자연 세계의 측면을 대표하는 꿈의 내부에서 자신과 주위에 있는 꿈의 풍경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는 능력을 지닐 수도 있었고 일부 문화권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비전 혹은 꿈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에술가, 시인, 사상가에 영감을 주는 것으로 믿었고 인간과 신성, 영적 영역 사이의 의사소통과 상호 작용을 중개했다.[2] 꿈을 다루는 능력은 꿈을 통제, 변경, 영향을 미치는 능력으로 타인의 꿈에 진입, 형성 및 조작, 변형이 가능했고(꿈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 환경, 풍경, 존재, 사물을 창조 및 소환, 변경이 가능했고 자신이 원하는대로 자신 혹은 타인의 꿈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었고 꿈을 꾸는 이와 직접 상호 작용하고 잠재 의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부의 경우 꿈이 깨어 있는 세계, 즉 현실에도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마음과 영혼에 대한 심령적 혹은 영적인 통찰이 가능했다. 여러 종교 및 신화에서 꿈과 관련된 권능은 신의 메세지, 예언, 심오한 지혜를 전달하는 매개체였고 정신적 시험과 도전, 그리고 현실의 조작과 변화가 가능했다.[3] 이켈로스는 '닮음(like)'을, 포베토르는 '겁에 질리게 하는 자'를 의미한다.[4] 망령이나 허깨비를 의미한다.[5] 죽음의 신 타나토스의 쌍둥이 형제이다.[6] 정확히는 모르페우스의 영어식 독음. 그렇기에 자막에서는 모르페우스로 읽는 것이 옳으나 오역으로 인해 모피어스라 불린다. 헤르미온느와 같은 경우다.[7] 해당 스킨은 푸른색과 검은색의 갑옷이며 이 갑옷을 착용한 크레토스의 몸에 새겨진 붉은 문신은 파란색으로 바뀐다.[8] 정확하게 그건 본체가 아니다.[9] 온몸에 반점이 생기는 정도였다.[10] 모피어스의 라디오 쇼를 듣고 있는 상태라서 깨울 수가 없다.[11] 모든 선수들이 전부 휠체어를 타고 있다.[12] 노숙자 한 명도 모르페우스 때문에 잠을 자기가 어렵다고 한다.[13] 꿈에 깨자마자 여전히 물이 나오는데 다음장면에서는 물이 안 나오는것을 보면 극복한 모양이다(...).[14] 고스트 버스터즈를 비난하며 유령도 안 믿는다고 패드립했다.[15] 꿈속의 카일리는 대머리를 싫어하지만 현실의 카일리는 그런 걸 이상하게 보지 않았다.[16] 이때 캐럿이 "굿 나이트 뉴욕"이라는 대사를 날리는데, 원래는 배리 샤먼이 자주 하는 대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