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3 00:32:16

무궁화호/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무궁화호
1. 개요2. 운행 중3. 퇴역 차량
3.1. 객차
3.1.1. 우등객차
3.1.1.1. 침대객차3.1.1.2. 특실/식당차
3.1.2. 대수선 객차3.1.3.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일반형)3.1.4.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유선형)3.1.5. 91,93년식 장대형 객차
3.1.5.1. 특실 객차
3.1.6. 한진중공업 특실 객차3.1.7.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3.1.8. 침대객차(2세대)
3.2. 전동차3.3. 디젤동차

1. 개요

무궁화호의 차량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운행 중

객실 한쪽 끝 구석에 보면 개조일자와 개조회사를 알 수 있다. 현재까지 개조를 맡은 회사는 로윈, (주)케이에스엠, (주)뉴레일, (주)제일데코, 우성티알(주), 우진산전(RDC), 세근실업(RDC)이 있다.

2.1. 클래식 객차

파일:무궁화호클래식외부.jpg

무궁화 장대형 보통객차(이하 무장보) 12161~1216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나뭇결 초기형 객차

파일:나뭇결초.jpg

무장보 12190~12197, 12199, 12204, 12207, 12208, 12213, 12217~12220, 12222~12224, 12226, 12227, 12232, 12234~12239, 12242~12246, 12249, 12250, 12252, 12254, 12255, 12257, 12258, 12262, 12263, 12265, 12269~12318, 무궁화 장대형 장애인객차(이하 무장장) 10103~1011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나뭇결 후기형 객차

파일:나뭇결후기외부.jpg

무장보 12319~12537, 무장장 10113~1013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리미트 객차

파일:리미트1.jpg

무장보 12538~12614, 12616~12698, 12700, 12733, 12736, 무장장 10133~10148, 10150~10163, 10166~10168, 10175, 1017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미트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장대형)

파일:새마을호 장대객차 외관.jpg

무장특, 차량번호 11282~11288, 1129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유선형 특실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카페열차 및 통근객차

무장카/무장통, 객차번호 12901~12993

예전에는 간단한 식음료를 판매하는 스낵바, 자판기, 노래방, 안마의자, PC 등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수익성 악화로 자판기만 빼고 모두 철거한 후 입석 승객용 롱시트와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하였다. 12901~12903호는 폭탄객차로 2015년을 끝으로 정규 운행에서 제외되었고 2016년 폐차되었다. 참고로 이 입석전용열차는 최초 도입당시 폭탄(3량), 클래식(12량), 나뭇결(37량), 리미트(42량)가 모두 섞여 있었고, 리미트 객차 중 일부는 다시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로 개조되면서 결차되었다.

3. 퇴역 차량

3.1. 객차

3.1.1. 우등객차

파일:45101134402_f350ce73e1_o.jpg 파일:src_47301448.jpg
우등열차 시절 현역 시절의 내부
무궁화 일반형 보통객차(이하 무일보) 11701~11959(1977~1981년 도입)

총 289량[1] 도입. 대우중공업[2]대한조선공사[3], 현대차량[4], 그리고 중화민국탕엥[5]에서 총 4차에 걸쳐 도입하였다. 가장 흔히 불렸던 명칭은 '탕엥객차'로, 절반 이상의 객차가 탕엥제였기 때문이다.[6] 창문과 커튼, 에어컨을 제외하고 통일호와 동일한 사양이었다. 외관상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천장에 붙어있는 큼지막한 역사다리꼴 모양 공조기와 직각으로 정확하게 내려오는 객실 외부의 형상이다. 덕분에 몇몇 철도 동호인들은 직각무궁화라는 말을 쓴 적도 있었다. 1986~1990년 2+3 배열로 개조되어 78~83석을 탑재했으나[7] 1996~97년 자동문으로 개조하고 1999년 현재 무궁화호와 동일한 좌석을 장착했고 일부 차량은 대차를 NT-21[8]로 교체하여 최고속도를 150km로 상향하였다. 개조받지 않은 객차는 1995년과 1999년 통일호로 격하되었고 신조객차가 도입되자 서비스객차로 많이 개조되었는데, PC방 객차[9], 스낵카, 놀이방 객차, 바둑객차, 관광전용 카페객차 등으로 개조되었다. KTX가 개통되자 운행중단 수순을 밟았고[10] 2006년을 끝으로 전량 퇴역했다. 천안 독립기념관에 11883, 11888호가 4000호대 디젤기관차와 함께 남아있으며,[11] 11932호가 동양대학교에 보존되어 있다. #

3.1.1.1. 침대객차
파일:7881234.jpg 파일:1234598765192837.jpg
외부 내부
무궁화 침대객차(이하 무침) 10101~10102[12], 10201~10207(1977년 도입), 10208~10209(1981년 도입)

우등객차의 시리즈 격 차량으로 1977년 대우중공업에서 일반 7량/독실 2량, 1981년 현대정공에서 2량 도입되었으며, 독실 2량은 새마을호 별실이 도입된 1982년 일반 침대차로 개조되었다. 이전에 도입된 통일호 침대차가 커튼으로 구분된 것과 달리 칸막이로 구분되었다. 프레스 대차를 사용하여 최고속도가 120km에 불과하고, 승차감이 좋지 않았다. 2001년에 전량 퇴역했으며 2004년까지 대전조차장에 유치되었고 2005년을 끝으로 통일호 객차와 같이 고철 분해되었다.
3.1.1.2. 특실/식당차
무궁화 일반형 특실/식당차, 11661~11679(1979~1981년 도입)

일명 반식반특. 반은 특실이고 반은 식당차로 되어있는 구조의 객차였다. 대우에서 6량[13], 탕엥에서 7량[14], 현대에서 6량[15]을 도입하였다.[16] 이 객차들은 6대가 무궁화호 일반실로 개조[17] 되었으며 나머지는 1990년대 중후반에 스넥카나 예식장 객차 등 서비스용 객차로 개조되어 2000년대 초반까지 운행했다.[18]

3.1.2. 대수선 객차

파일:852326.jpg
현역 시절 내부

무일보 11960~11999(1985년 도입), 11501~11506(1986년 도입), 11507~11525(1989년 도입)

1985년 6월 29일 영업 개시. 총 65량이 도입되었는데, 도입 당시 2+3 배열 좌석이 장착되었으며 1985~1986년산 객차는 창문9부 2+3 배열 18행 88석이 장착되었다가 3열 좌석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5석을 줄이고 17행 83석으로 개조되었다. 1989년산은 창문이 8개였다. 좌석은 2+3배열 78석, 83석을 억지로 우겨넣은 탓에 매우 좁았다. 결국 철도청은 1994년부터 들어온 신형 객차와 호환성을 갖추기 위해 1997년부터 수동문을 자동문으로 바꾸고 실내디자인과 좌석도 나뭇결 후기형과 동일하게 개조하여, 실내만큼은 폭탄객차보다 더 편안했다. 게다가 좌석 중간중간 콘센트가 배치된 자리도 있었으니, 리미트보다 이런 점에서는 편리한 점이 있었다. 하지만 어떤 좌석은 기둥이 옆에 있어 바깥을 볼 수 없는, KTX의 면벽좌석과 똑같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1989년산 무궁화객실

대수선 전에는 주로 수요가 많은 경부선에 투입됐으나, 대수선 후에는 경부선 외에도 많이 투입됐다.

3.1.3.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일반형)

관광호로 운행되었던 일반(직각)형 새마을호 객차를 무궁화호로 격하한 것으로, DHC 동차 및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의 도입과 맞물려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전량이 격하되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주로 임시열차 등에 충당되었다가, 2003년~04년을 끝으로 대부분 퇴역하고 1량(11035)이 통일호로 격하되어 통일호 폐지 이후 통근열차 등급으로 2007년까지 운행하였다.

3.1.4.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유선형)

파일:158679272308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유선형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91,93년식 장대형 객차

파일:20160423 yulchon.jpg

무장보 11526~11552(1991년 도입), 11553~11563(1993년 도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장대형 객차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1. 특실 객차
파일:IMG_5057.jpg

무장특 11081~11084(1991년 도입)

일명 대우특실. 1991년 4대가 대우중공업에서 도입되었다. 도입 1년만인 1992년에 11082호가 화재로 조기결차되었으며, 남은 3대는 2004년 무궁화호 특실 폐지 때 모두 보선차로 개조되었고 퇴역했다.

한창 운용될 때는 승차감과 난방이 좋지 않다고 일반실과 함께 쌍으로 기피 대상이기도 했다.

3.1.6. 한진중공업 특실 객차

무장특 11085~11087(1994년 도입)

1994년 한진중공업에서 3대가 도입되었으며, 클래식 객차에 대응한다. 2004년 KTX 개통 이후 무궁화호 특실이 폐지되면서 내구연한이 충분히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운행 중지되었다. 이후 부활한 해태특실과는 대조적. 현재는 3량 모두 보선차로 개조되었다가 퇴역했다.[19] 일반실보다 승차감이 불편하기로 악명 높았다.

3.1.7.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

파일:해태중공업특실.jpg

무궁화 장대형 특실객차(이하 무장특), 차량번호 11265~11266, 11268, 11274~11275, 11277(1998년 도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침대객차(2세대)

파일:external/korailtour.com/85901336192003.jpg
무궁화호 침대객차 외관
파일:external/korailtour.com/4381336191930.jpg 파일:external/korailtour.com/27171336193083.jpg
침대 상단 객차 통로

무침 10212~10216(2001년 도입)

2001년에 생산된 한국의 마지막 침대객차이다. 디자인리미트에서 리미트 객차를 기반으로 제작했다. 2004년 KTX 개통 이후에도 전라선, 영동선에서 심야열차로 다녔지만 2005년 1월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매우 드물게 임시열차로 운행되기도 했고 내일로 숙소로 쓰이기도 했으나, 화재 관련 설비 부족으로 인하여 2015년 국토교통부의 운행정지 명령을 받아 이후로는 임시열차로도 운행되지 않는다. 차후 철도직원용 숙소 또는 보선차로 개조될 전망이다. 시설 자체는 상당히 준수했지만 시대를 잘못 타고난 케이스. 이후 1대가 북한철도조사를 위해서 편성된 6량짜리 임시열차에 구성되어 북한으로 올라갔다.[20] 기사

2023년 8월 폐차발령이 내려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2. 전동차

3.2.1. EEC 전동차

파일:external/js3vxw-02.cocolog-nifty.com/korail_9900_0011.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EC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디젤동차

3.3.1. DC 디젤동차

파일:Red Diesel Car.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C 디젤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2. DEC 디젤동차

파일:DcWXtGeVwAADGJE.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C 디젤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3. NDC 디젤동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DC.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DC 디젤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4. RDC 디젤동차

파일:RDC_9059.jpg

Mc차 9011~9060, M차 9111~916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DC 디젤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는 특실/식당차 및 침대차를 포함한 수다.[2] 11701~11728(1977), 11876~11902(`79), 11904~11916(`81/3차), 11917~11959(`81/4차)[3] 11729~11730(1977)[4] 11903(1981)[5] 11731~11822/11824~11827/11856~11865/11875(1980), 11823/11828~11855/11866~11874(`81). 연식구분 없을 시 11731~11875.[6] 289량 중 152량 제작. 당시 탕엥은 대만 정부의 지원을 받아 덤핑 수준의 가격을 써내면서 낙찰받았으나, 표준궤간 차량을 생산해본 경험이 없어 대우중공업으로부터 도면과 부품을 수입해 객차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즉 한국에서 부품을 수입하여 조립 후 완제품을 수출하는 형태였다.[7] 1986년 개조분에 한해 83석이었으며, 87~90년 개조분이 78석이다.[8] 나뭇결 초기형 객차와 같은 대차이다.[9] 시간당 8,000원이라는 정신 나간 금액을 내야 했다.(다만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으면 기본요금 2,500원만 내면 되었으나, 대부분 PC를 사용하는 목적이 인터넷이니.) 이 요금은 2001년 기준으로 현재 물가에 대입하면 시간당 20,000원 가량을 내고서 쓰는 셈. 당시 새마을호 기본운임인 8,300원에 맞먹는 수준이었다. 게다가 지금 와서도 시간당 8,000원이면 상당히 비싼 축에 속한다. 이후 등장한 카페객차도 PC가 있었지만, 이 역시 시간당 요금이 2,000원이라 저렴한 편은 아니었다. 참고로 2021년 현재 PC방 시간당 요금은 1,000~2,000원 가량.[10] 일부는 보선차로 개조되어 운용되었다.[11] 좌석과 화장실 등 차내 설비는 대부분 온전하게 장착돼있는 등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방치되어 있어서 유리창 몇 개가 깨져있고 패찰도 도난당하는 등 상태는 좋지 않다.[12] 별실(독실). 1982년 일반 침대차로 개조되었고 그에 맞춰 차량번호도 10210~10211로 개정되었다.[13] 11668~11671(1979), 11672~11673(`81)[14] 11661~11667(1980)[15] 11674~11679(1981)[16] 탕엥산 객차가 대우산 79년분 객차보다 도입시기가 늦는데도 차번이 빠른 이유는 발주분 상으로는 탕엥산이 더 빨랐기 때문이다.[17] 각 11661~11662, 11668~11671호. 개조 후 11581~11582, 11588~11590호로 개정되었다. 11591호가 없는 이유는 원래 11671호가 받아야 했으나 해당 차량이 차번 개정 전 화재로 조기결차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11588호는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로 결차되었다.[18] 2000년대 초반까지 운행한 직각 특실, 식당, 반식반객은 새마을호에서 격하된 것이다.[19] 제천조차장에 유치되었다가 고철매각되었다.[20] 나뭇결 객차 + 침대차 + 침식차 + 식수차 + 유조차 + 발전차 총 6량편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