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3:10:36

미션 임파서블 2


파일:미션 임파서블 (영화) 로고.png
{{{#f01c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봉 영화
미션 임파서블
(1996)
미션 임파서블 2
(2000)
미션 임파서블 3
(2006)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2023)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2025 예정)
드라마
제5전선 돌아온 제5전선
등장인물
이단 헌트 루터 스티켈 벤지 던 유진 키트리지
윌리엄 브랜트 줄리아 미드 일사 파우스트 제인 카터
숀 앰브로스 오웬 데이비언 커트 헨드릭스 솔로몬 레인
어거스트 워커 앨런 헌리 화이트 위도우 재스퍼 브릭스
그레이스 가브리엘 파리
그 외 등장인물/IMF/신디케이트/엔티티 }}}}}}}}}}}}
미션 임파서블 2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오우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 파일:1974 철한유정 로고.png ||<width=200> 파일:1975 여자태권군영회 로고.png ||<width=200> 파일:1976 제녀화 로고.png ||
철한유정 (1974) 여자태권군영회 (1975) 제녀화 (1976)
파일:1976 성룡의 소림용호문 로고.png 파일:1977 발전한 로고.png 파일:1978 대살성여소매두 로고.png
성룡의 소림용호문 (1976) 발전한 (1977) 대살성여소매두 (1978)
파일:1979 호협 로고.png 파일:1980 전작괴 로고.png 파일:1981 활계시대 로고.png
호협 (1979) 전작괴 (1980) 활계시대 (1981)
파일:1982 마등천사 로고.png 파일:1982 팔채림아진 로고.png 파일:1985 소장 로고.png
마등천사 (1982) 팔채림아진 (1982) 소장 (1985)
파일:1985 양집노호 로고.png 파일:1986 영웅본색 로고.png 파일:1986 영웅무루 로고.png
양집노호 (1985) 영웅본색 (1986) 영웅무루 (1986)
파일:1987 영웅본색 2 로고.png 파일:1989 첩혈쌍웅 로고.png 파일:1989 흑전사 로고.png
영웅본색 2 (1987) 첩혈쌍웅 (1989) 흑전사 (1989)
파일:1990 첩혈가두 로고.png 파일:1991 종횡사해 로고.png 파일:1992 첩혈속집 로고.png
첩혈가두 (1990) 종횡사해 (1991) 첩혈속집 (1992)
파일:1993 하드 타겟 로고.png 파일:1996 브로큰 애로우 로고.png 파일:1997 페이스 오프 로고.png
하드 타겟 (1993) 브로큰 애로우 (1996) 페이스 오프 (1997)
파일:2000 미션 임파서블 2 로고.png 파일:2002 윈드토커 로고.png 파일:2003 페이첵 로고.png
미션 임파서블 2 (2000) 윈드토커 (2002) 페이첵 (2003)
파일:2008 적벽대전 로고.png 파일:2009 적벽대전 2부 로고.png 파일:2010 검우강호 로고.png
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 (2008) 적벽대전2: 최후의 결전 (2009) 검우강호 (2010)
파일:2014 태평륜 로고.png 파일:2015 태평륜 피안 로고.png 파일:2017 맨헌트 로고.png
태평륜 (2014) 태평륜 피안 (2015) 맨헌트 (2017)
파일:2023 사일런트 나잇 로고.png 파일:2024 더 킬러 죽음의 여왕 로고.png
사일런트 나잇 (2023) 더 킬러: 죽음의 여왕 (2024)

상세정보 링크 열기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 (200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파일:5A22E7E1-7C2E-4185-B65D-69EBAB8BED93.png
파일:DABEBF6E-1CCD-42F4-840F-7F342F40976D.png
파일: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poster.jpg
파일:2108BCA9-2683-44FA-AAE0-47FEE2DBB87D.png
파일:슈렉 2.jpg
미션 임파서블 2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슈렉 2
$546.4M $974.8M$923.3M$1,119.1M$919.8M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파일:harry potter and the goblet of fire film poster.jpg
파일:캐해2.jpg
파일:캐해3 북미 포스터.jpg
파일:attachment/다크 나이트(영화)/The-Dark-Knight-poster.jpg
파일:avatar poster.jpg
해리 포터와 불의 잔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다크 나이트아바타
$858.6M$1,066.2M$963.4M$1,003.0M$2,923.7M}}}}}}}}}
<colbgcolor=#ff6633><colcolor=#ffffff> 미션 임파서블 2 (2000)
Mission: Impossible 2
파일:미션 임파서블 2 메인 포스터.png
▼ 북미 포스터
파일:Mission Impossible 2 Poster.jpg
장르 액션, 스릴러, 첩보
감독 오우삼
각본 로버트 타운
원안 로널드 D. 무어
브래넌 브라가
원작 브루스 겔러의 TV 드라마 《제5전선
제작 톰 크루즈
폴라 와그너
출연 톰 크루즈
두그레이 스콧
탠디 뉴턴
리차드 록스버그
존 폴슨
브렌던 글리슨
라데 셰르베지야
빙 레임스
촬영 제프리 L. 킴벌
편집 크리스찬 와그너
스티븐 캠퍼
음악 한스 짐머
촬영 기간 1999년 4월 18일 ~ 1999년 12월 15일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처스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IP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IP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0년 5월 2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6월 17일
화면비 2.39:1
상영 타입 2D
상영 시간 124분 (2시간 4분)
제작비 1억 2,5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546,388,108 (2000년 10월 27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215,409,889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1,230,633명 (최종 서울시기준)
스트리밍 [[파라마운트+|
Paramount+
]]

[[Wavve|
Wavve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9. 기타

[clearfix]

1. 개요

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후속작으로, 생화학무기 키메라 바이러스 탈취에 관련된 음모를 파헤치는 에단 헌트의 이야기를 그렸다.

2. 예고편

한국어 자막 예고편

3. 시놉시스

러시아 생물공학자 네코비치 박사는 비행기 내에서 이단 헌트(톰 크루즈)로 변장한 앰브로즈(더그레이 스코트)에게 벨레로폰을 탈취당한 후 살해된다. IMF(IMPOSSIBLE MISSION FORCE) 요원 이단 헌트는 네코비치 박사가 테러리스트 앰브로즈에게 탈취당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파견된다.

헌트는 키메라라는 것이 인플루엔자, 즉 유행성 감기를 없애기 위한 완벽한 치료제인 벨레로폰을 유전적으로 조합하다 부수적으로 만들어진 악성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헌트는 임무를 위해 앰브로즈의 전 애인 니아 홀(탠디 뉴톤)을 포섭한다. 헌트는 니아와 사랑에 빠지지만 키메라 바이러스를 파괴하기 위해 니아를 앰브로즈에게 보낸다. 그러나 헌트와 니아의 관계를 눈치 챈 앰브로즈는 니아를 역이용하고 이 과정에서 니아는 마지막 남은 키메라 바이러스 자신의 몸에 주입하는데...
다음영화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나이아 노도프홀(Nyah Nordoff-Hall) 역 - 탠디 뉴턴 (박선영)
    3개국 이상의 경찰국에서 추적받는 절도범으로 이번 작전의 팀원으로 영입하라는 명령이 떨어진다.[1] 마지막에 에단과 맺어지는 장면이 있으나 3편에 줄리아 미드가 약혼녀로 등장해 이후로는 언급이 없다.
  • 휴 스탬프(Hugh Stamp) 역 - 리처드 록스버그 (김용식)
    앰브로스의 친구이자 부하로, 헌트를 잡아오자 앰브로스가 헌트를 총으로 쏴 죽이는데 새끼 손가락의 붕대를 보자 뭔가를 눈치채 손을 얼굴로 뻗어 가면을 벗기니 스탬프의 얼굴이 나온다. 그 사이 스탬프로 변장한 헌트는 벨레로폰을 훔쳐 달아난다. # 중반에 앰브로스가 스탬프의 새끼손가락을 시가 커터로 잘라 새끼 손가락에 붕대를 하고 다니는데 이를 보고 알아챈 것이다.
  • 빌리 베어드(Billy Baird) 역 - 존 폴슨 (김호성)
    에단, 루터와 같이하는 멤버로, 행동이나 말에서 약간 싼티가 나긴 하나 실력은 최고다. 1편의 크리거처럼 헬기 파일럿 등 온갖 잡일이 특기다.
  • 존 매클로이(John C. McCloy) 역 - 브렌던 글리슨 (박지훈)
    바이오사이트 사의 CEO. 벨레로폰과 키메라를 이용해 세계 최고의 제약회사를 만들고자 앰브로스와 거래한다. 하지만 본전도 못찾고 회사의 주식 대부분을 앰브로스에게 빼앗긴다.
  • 네크로비치(Dr. Nekhrovich) 역 - 라데 셰르베지야 (김태훈)
    키메라 바이러스와 벨레로폰을 만든 인물로, 초반에 헌트로 위장한 앰브로스가 죽여버린다. 이후 앰브로스의 부하들이 비행기로 탈출하며 비행기 폭파사고로 위장한다. 키메라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잘 알아 이를 IMF측에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몸에 키메라를 주입해 이동 중이었는데, 이를 모르고 벨레로폰만 빼앗아 비행기를 탈출한 앰브로스에게 의도치 않게 한 방 먹인 셈.
  • 스완벡(Swanbeck) 역 - 안소니 홉킨스[uncredited] (이도련)
    초반과 후반에만 잠깐 등장하는 IMF의 책임자. 나이아를 앰브로스 감시역으로 이용하도록 에단 헌트를 설득하는 장면이 꽤나 인상 깊다.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colbgcolor=#ff6633><colcolor=#ffffff>
<colbgcolor=#ff6633><colcolor=#ffffff>
한스 짐머가 록 스타일로 편곡한 'Mission: Impossible Theme' 리사 제라드가 보컬로 참여한 'Injection'

영화음악가 한스 짐머오리지널 스코어 작곡을 맡았다. 전편의 음악을 맡은 대니 엘프먼이 그랬듯이, 원작 드라마의 작곡자 랄로 쉬프린이 작곡한 메인 테마를 계승하여 스코어를 만들었다. 전편의 대니 엘프먼이 복고적인 분위기의 음악을 작곡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영화의 타이틀 장면에 나오는 'Mission: Impossible Theme'는 록 스타일로 편곡했는데, 짐머는 이번에도 오케스트라와 신디사이저, 록 스타일의 전자 기타를 합성한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였다. 또한 라틴 느낌의 어쿠스틱 기타나 장엄한 남성 합창을 활용했다. 짐머와 공동작업한 영화 《글래디에이터》 음악으로 대성공을 거둔 리사 제라드가 이번에도 보컬로 참여했고, 에이토르 페레이라가 기타를 연주했으나 평가는 그리 좋지 않다. 너무 전형적인 한스 짐머 스타일의 음악이라는게 중론.

반면 중반의 바이오사이트 회사에서의 총격전 장면에 흘러나오는 삽입곡 'Injection'은 영화를 호평하는 측이나 혹평하는 측 모두 이견 없이 뛰어난 사운드트랙이라고 입을 모은다. 해당 장면

주제곡은 메탈리카의 'I Disappear'[3]림프 비즈킷의 'Take A Look Around'이다.

7.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59 / 100 점수 8.0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56% 관객 점수 42%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c1d1f>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5 / 5.0 관람객 별점 2.9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6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74.31% 별점 3.0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none"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미션 임파서블 2; display: none;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5.47 / 10
네티즌
X.XX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미션 임파서블 2;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미션 임파서블 2+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5.47 / 10
네티즌
X.XX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5.7 / 10


Your cranium may crave more substance, but your eyes will feast on the amazing action sequences.
당신의 두개골은 더 많은 내용을 갈망할지도 모르지만, 당신의 눈은 놀라운 액션 시퀀스를 즐길 것이다.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이동진

오프닝의 암벽 등반과 선글라스를 벗어던지는 장면, 림프 비즈킷이 메인 테마를 록풍으로 어레인지한 <Take A Look Around>는 좋은 평을 받았으나 나머지 요소들은 전작과 괴리감이 심해 로튼 토마토에서도 시리즈 중 유일하게 썩토 지수를 받는 등, 전반적인 평가는 역대 시리즈 중 가장 낮다.

오우삼이 연출을 맡아 비둘기와 쌍권총이 적나라하게 나오며, 날아차기, 돌려차기, 섬머솔트 킥 등의 무협풍 무술 동작들이 대거 등장한다. 가장 압권은 맥클로이가 숨은 벙커로 에단이 잠입하는 시퀀스인데, 이미 쓰러져 무력화된 경비병에게 기어코 공중제비를 돌아 발뒤꿈치로 복부를 내려찍는 씬은 황당무계하다 못해 기괴하다고 할 정도다. 이 경비병은 내려찍힌 충격으로 땅바닥에서 몸이 튀어올라 절벽 너머로 굴러 떨어져 관객으로 하여금 형언할 수 없는 감정을 자아내게 만든다. 이밖에도 벙커 안에서는 어째선지 지하에 둥지를 튼 비둘기 떼를 뚫고 달려나와 섬머솔트를 하는데, 한 발로 총을 쳐내고 뒷발로 경비병의 턱을 날리는 과장스러운 액션들이 연이어 쏟아진다.

여주인공 나이아는 훗날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그레이스 원형이 되는 도둑 캐릭터인데, 나이아와의 로맨스 역시 홍콩 영화의 그것인데다 에단 헌트도 홍콩 영화의 풍운아 남주인공처럼 묘사했다. 그만큼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자주 시도된 홍콩-할리우드 합작의 열기가 진하게 묻어나오는 영화로, 미션 임파서블이란 제목을 떼어버리면 오우삼의 새로운 홍콩 액션 영화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즉, 미션 임파서블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볼 때 평가가 더 올라가는 작품. 이 같은 요소들 때문에 시리즈 팬들에게 끔찍하다는 평을 받는 것과 달리 평론가들의 평은 1편과 비슷하다.

다만 2편이 이렇게 만들어진 이유는 톰 크루즈의 영향이 크다. 크루즈는 미션 임파서블 2를 기획하며 오우삼을 감독으로 해야겠다고 강력하게 주장해 관철시켰다고 한다. 당시 할리우드 배우들 사이에서는 오우삼이 배우를 멋지게 찍어주는 감독이란 평판이 돌았다고 한다. 영화 페이스 오프를 보고 강한 인상을 받은 크루즈는 그의 홍콩 영화도 챙겨 보았는데, 감독직을 수락한 오우삼이 브라이언 드 팔마 스타일로 찍어야 할지 고민하자, 크루즈는 오우삼 스타일의 미션 임파서블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그 결과 시리즈 팬들의 비난을 받을지언정 그해 최고 흥행 영화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8. 흥행

관객평은 나락을 갔으나 2000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했다. 오우삼의 할리우드 연출작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중에서도 미국 흥행 순위 2위를 기록했다. 1억 2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미국에서 2억 1천500만 달러, 해외에서 3억 3천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배급사 파라마운트는 떼돈을 벌었다. 일본이 해외 흥행 1위로 94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한국은 영국-독일-프랑스에 이어 5위인 1358만 달러를 기록했다.[4]

9. 기타

  • 초반에 크루즈가 암벽 등반을 하는 장면에 나오는 곡은 영화 《레인 맨》의 시작 부분에 나오는 Iko Iko이다.[5] 《레인 맨》은 톰 크루즈가 주연을 맡고 한스 짐머가 음악을 맡은 영화라는 공통점이 있다.
  • 오프닝의 맨몸 암벽 등반 장면은 와이어 없이 직접 연기했다. 프리솔로 전문가와 스턴트맨이 대기했으나 끝까지 자기가 하겠다고 고집을 피웠다고 한다.[6] 오우삼은 '당신이 죽으면 영화를 어떻게 찍느냐'고 만류했으며 찍을 때는 제대로 쳐다보지 못했다고 한다. 당시 톰 크루즈의 아내 니콜 키드먼에게도 말하지 않고 촬영해 키드먼은 시사회에 참석해 그 스턴트 장면을 보자 기겁했다고 한다. 또한 연구소 잠입 장면의 와이어 활강도 직접 한 것이고, 칼 끝이 눈을 찌를 뻔한 장면도 연출과 CG 없이 배우들의 동의하에 실제로 한 것이다. DVD에 수록된 촬영 다큐에 따르면 나중에 추가한 장면으로, 칼 끝과 눈의 거리는 무려 감자칩 한 개의 두께 정도인 0.625cm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수학적으로 고도로 계산한 장치로 촬영했으나 제작진은 너무 조마조마해 촬영감독에게 촬영을 맡겼는데 얼떨결에 촬영을 맡은 촬영감독도 같은 마음으로 찍었다고 한다. 다 찍고 나서는 20~30분 동안 휴식을 취했다고 한다. 시리즈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톰 크루즈의 고난도 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영화라고 할 수 있다.[7]
  • 월리스 역의 배우 윌리엄 메이포서는 톰 크루즈의 사촌이다.
  • 오우삼이 처음 편집한 버전은 3시간 30분이었다. 당연히 파라마운트 측은 상영 시간을 줄이라 지시했고 이후 재편집해 등급위원회에 냈으나 R등급을 받았다. 그래서 추가로 자잘한 장면들을 편집 후 최종적으로 PG-13 등급을 받아냈다. 하드 타겟, 브로큰 애로우, 페이스 오프는 모두 북미에서 R등급을 받아 오우삼의 할리우드 연출작 중 최초로 PG-13 등급을 받은 작품이 됐다.
  • 탠디 뉴턴은 톰 크루즈와 함께 한 촬영을 불쾌하게 기억한다고 몇몇 인터뷰에서 밝혔다.
  • 빌리 베어드 역에는 원래 스티브 잔을 캐스팅했으나 하차했다. 하차 이유는 알려진 것이 없다.
  • 1997년 중반에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톰 크루즈가 1997년부터 1998년까지 1년 넘게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 촬영에 들어가 제작이 지연되었다.
  • 톰 크루즈가 오토바이를 타고 화염 사이를 통과하는 장면은 화염 방지 장비나 젤을 사용하지 않은 채 불 속을 통과했다.
  • 스완벡 역은 원래 이안 맥켈런에게 제안이 갔으나 런던에서의 스케줄 때문에 거절해 안소니 홉킨스가 배역을 맡았다. 맥켈런의 에이전트는 그가 이 역할을 거절하자 망연자실했는데, 맥켈런이 이 배역을 수락했다면, 빡빡한 스케줄 때문에 영화 반지의 제왕 3부작엑스맨의 출연도 놓쳤을 것이라고 한다.
  • 션 앰브로즈 역을 맡은 두그레이 스콧은 원래 촬영이 끝나면 영화 엑스맨에 울버린 역으로 출연하기로 되었으나, 후반 오토바이 장면을 촬영하는 도중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촬영 일정이 뒤로 밀려 엑스맨 제작진은 촬영이 시작되고 3주가 지나서야 스콧을 강판하고 휴 잭맨을 대타로 기용했다. 스콧 입장에서는 출세의 기회를 허무하게 날린 셈인데, 이후 인터뷰에서 스콧은 동시에 촬영을 진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양쪽 영화의 제작진 모두 스콧의 일정 조율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톰 크루즈가 스콧이 먼저 미션 임파서블 촬영을 완전히 끝내야 한다고 고집을 부려 무산되었다고 주장했다. #
  • 앤드류 레스니[8]가 원래 촬영 감독으로 참여했으나, 오우삼과의 창작적 견해 차이로 촬영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하차했다.
  • 2000년 초, 도난당한 VHS 사본에서 발견된 워크프린트가 있다는데, 163분 정도의 분량으로, PG-13 등급을 위해 최종 편집에서 편집되지 않은 액션 장면들과 폭력적인 장면들을 포함한 삭제 장면들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로 워크프린트 사본은 발견되지 않아 실체가 불분명하다.
  • 톰 크루즈는 1편 감독 브라이언 드 팔마에게 속편 연출을 맡아달라고 했으나, 드 팔마가 거절했다.

[1] 앰브로스가 열렬히 구애하는 여성으로 앰브로스의 동태를 파악하기에 가장 알맞은 사람이다.[uncredited] [3] 공식적으로 이 곡의 존재는 영화사와의 합의에 따라 영화가 나오기까지는 비밀에 부쳐졌다. 하지만 발표일 이전에 수십 곳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어느 팬이 녹음한 음원이 P2P 음원 공유 사이트 냅스터로 풀리자, 방송국들이 메탈리카의 신곡이라고 틀어 문제가 됐다.[4] 한국에서는 2000년 서울 관객수 123만으로 공동경비구역 JSA와 글레디에이터 다음이고, 일본에서는 역대 시리즈 중 가장 잘된 작품이다.[5] M:I-2는 Zap Mama가 부른 곡으로, 레인맨의 Iko Iko는 The Belle Stars가 불렀다.[6] 줄이 있긴 하나 # 이는 흔히 말하는 와이어(액션씬에서 움직이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줄)가 아니라 만에 하나 떨어질 경우 잡아주는 안전줄(safety cable)로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당연히 하는 것이 정상이다. 톰은 대역도 안 쓰고, 세트장도 아닌 해발 600미터 높이의 절벽을 줄 하나만 의지한 채 올라갔으며, 그것도 모자라 한손으로 매달려 경치 구경을 하거나 수미터 옆이나 아래 절벽으로 건너뛰는 묘기도 부렸다. 더 황당한 것은 원하는 컷이 안 나와 점프를 몇번이나 반복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크루즈는 어깨가 파열되는 부상을 입어 치료를 받아야 했다. 점프하여 다른 쪽 절벽에 착지하는 것만 제외하면 실제 암벽 등반에서 가능한 기술이라고 하며, 한 손으로 버틸 때의 손은 대역이 분명하다.[7] 1편에서도 크루즈가 웬만한 액션신은 본인이 찍었으나, 고난이도의 스턴트 신을 시작한 것은 2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8] 반지의 제왕 시리즈, 나는 전설이다, 워터 디바이너의 촬영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