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교육부차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문교부차관 (1948~1990)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문장욱 | 제2대 박종만 | 제3대 최규남 | 제4대 고병간 | 제5대 허증수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김호식 | 제7대 고광만 | 제8대 김선기 | 제9대 이항녕 | 제10대(정무) 윤택중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0대(사무) 서명원 | 제11대(정무) 민장식 | 제12대 이민재 | 제13대 이승우 | 제14대 윤태림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5대 윤태림 | 제16대 최형규 | 제17대 홍종철 | 제18대 한상봉 | 제19대 성동준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0대 김증한 | 제21대 박희범 | 제22대 김도창 | 제23대 심창유 | 제24대 조성옥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제25대 고광득 | 제26대 장인숙 | 제27대 김형기 | 제28대 이상규 | 제29대 김판영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0대 정태수 | 제31대 정희채 | 제32대 김찬재 | 제33대 김상준 | 제34대 장병규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5대 장기옥 | 제36대 조규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차관 (1990~2000)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6대 조규향 | 제37대 이천수 | 제38대 이영탁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39대 이용원 | 제40대 조선제 | 제41대 이원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인적자원부차관 (2000~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42대 김상권 | 제43대 최희선 | 제44대 김신복 | 제45대 서범석 | |||||||
<nopad> 참여정부 | ||||||||||
제46대 김영식 | 제47대 이기우 | 제48대 이종서 | 제49대 서남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50대 우형식 | 제51대 이주호 | 제52대 설동근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53대 이상진 | 제54대 김응권 | 제55대 나승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차관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56대 나승일 | 제57대 김신호 | 제58대 김재춘 | 제59대 이영 | 제60대 박춘란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61대 박백범 | 제62대 정종철 | 제63대 장상윤 | 제64대 오석환 | }}}}}}}}} |
박백범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61대 교육부차관 박백범 朴栢範 | Park Baeg-beom | |||
출생 | 1959년 | ||
대전광역시 | |||
본관 | 밀양 박씨 | ||
현직 | 대전대학교 석좌교수 | ||
재임기간 | 제61대 교육부차관 | ||
2018년 11월 24일 ~ 2020년 12월 2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 대전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 석사) 아이오와 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 박사) | |
병역 | 육군 상병 만기전역 |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경력 | 신관중학교 도덕 교사 제28회 행정고시 합격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국민의 정부) 교육인적자원부 고등교육정책과장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초빙교수 충주대학교 사무국장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비서실장 (참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 미국 일리노이주 맥린교육청 파견 대전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1]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2]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제28대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 세종대성고등학교 교장 교육부차관 (제61대 / 문재인 정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인. 전 교육부차관이다.대전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을 자청해서 두 번이나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에서 교육부차관을 맡은 경험을 바탕으로 2026년 지방선거에서 대전광역시교육감에 출마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직원들의 신망이 두텁고, 부드러우면서도 리더십을 갖춘 인물로 알려져, 만약 실제로 출마한다면 강력한 다크호스가 될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2. 생애
1959년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잠시간 교사로 근무하다가 제28회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행정고시에 합격한 박 차관은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 비서실장, 충북대 교육학과 초빙교수,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 대전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 등을 지냈다.이른바 '엘리트 코스'를 밟아온 박 차관은 한나라당에서 근무했음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교과서에 반대했던 대표적인 공무원으로 알려져 있다. 교육부가 국정화 대신 검정 강화를 대안으로 내세웠던 2014년 12월 박 차관은 기조실장에서 물러나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대학지원실장이던 2013년 터진 수능 세계지리 문제 오류의 책임을 진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였지만, 교육계에서는 그가 국정교과서에 반대해 좌천된 것으로 분석했다. 박 차관은 1년여 뒤인 2016년 사표를 내 30여 년간의 공직생활을 마감한 뒤 최근까지 교육부 청사가 바라보이는 세종 성남고 교장으로 재직해 왔다.
2018년 지방선거에 출마하려 했으나 출마하지 못했다. 국정교과서 반대자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018년 11월 23일, 교육부차관으로 임명되었다. 청와대는 박 차관 임명을 발표하면서 “풍부한 교육행정 경험과 현장감을 바탕으로 첨예한 교육 현안을 국민의 기대에 맞춰 균형감 있게 추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9년 7월 26일, 상산고등학교의 자사고 지위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박 차관은 "상산고에 대한 전북교육청의 평가 지표 중 일부가 위법하고 평가 적정성도 부족하다"면서 "교육감이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
2021년 3월부터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2021년 5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전광역시교육감에 출마할 수 있다는 지역언론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종 불출마 선언했다.
이재명 캠프 싱크탱크 '세상을 바꾸는 정치 2022년(세바정)'의 교육분과위원장을 맡았다. #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딩 선거후보자 인사검증위원으로 활약했다.
2026년 지방선거에서 대전광역시교육감에 출마할 가능성이 크다.
3. 여담
- 원만한 성품에 업무에도 밝아 직원들 신망이 두터웠고, 필요한 경우에는 자리에 구애받지 않고 소신 발언을 하는 강단이 돋보였다는 평이 있다. 특히, 대전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을 두 차례 역임하면서 그와 함께 근무했던 직원들은 리더십과 풍부한 행정경험 면에서 박 전 차관에게 후한 점수를 주는 분위기라고 한다. # #
[1] 2010~2011년에 한 번, 2012~2013년에 한 번으로 총 두 번 지냈다. 대전광역시가 고향인 만큼, 자청해서 두 번 지냈다고 한다.[2] 해당 경력 때문에 보수로 분류된 적도 있었지만, 공무원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신념으로 오직 교육 발전만 생각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에서도 각각 행정관과 장관비서실장이라는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후 박근혜 정부의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계획에 반대하다가 좌천되기도 했고,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에서 교육공약을 설계하는 등 여야 할 것 없이 능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