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01:21

방호복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화생방 상황에 착용하는 침투성 보호의에 대한 내용은 화생방보호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화생방 상황에 착용하는 침투성 보호의:
화생방보호의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소방대원이 착용하는 방화복에 대한 내용은 방화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소방대원이 착용하는 방화복:
방화복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EOD 슈트에 대한 내용은 방탄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EOD 슈트:
방탄복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기준
2.1. 미국 OSHA 규정2.2. 유럽 EN340 규정
3. 사용례

1. 개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병원체, 이들을 전파하는 기체/액체/에어로졸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복장.

2. 기준

2.1. 미국 OSHA 규정

미국 직업안전건강관리청에서 만든 기준으로, 4개의 Level로 나뉜다.
화생방 상황에서 착용하는 불침투성 보호의는 보통 Level A~B를 뜻한다.
Level 보호 수준 보호장구류 용도(예시)
피부 호흡계 안구 고글/마스크 방호복 장갑/장화
A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전면형 양압식 공기 호흡기 기체 밀폐형 양압식[1] 내화학 방호복 내화학 장갑/장화[일체형] CBRN 테러 원점 투입
B 높음 매우 높음 높음 전면형 양압식 공기 호흡기 기체 밀폐형 내화학 방호복 내화학 장갑/장화[일체형] CBRN 테러 중심부 투입
C 낮음 낮음 낮음 방독면 또는 전면형 송기마스크[4] 방수 내화학 방호복[5] 내화학 장갑/장화 CBRN 테러 외곽 투입
에볼라출혈열 환자 진료
D 최소 최소 최소 보안경/N95 마스크 방진복[6] 일회용 장갑/덧신 화학물질 취급 간 최소한의 보호
의료인비말감염 예방
각 Level 별 착의 및 탈의 방법
Level A Level B[7]
Level C Level D

2.2. 유럽 EN340 규정

EN(유럽규격)에 따른 규정으로, 6개의 Type으로 나뉘며, ISO 13688 규정과 동일하다.

3. 사용례

  • 화학물질 누출 사고 수습과 훈련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화학공업 공장이나 산업단지 주변의 소방서에는 반드시 갖추어져 있으며, 소방관들에 의한 훈련도 자주 열린다.
파일:PYH2022112116180001301_P4.jpg}}} ||
대테러 종합훈련, 세종경찰청, 2022년 11월 21일
그런고로 사진과 같은 상황도 연출된다. 사진에서 OSHA Level A를 착용한 인원은 경찰 혹은 소방 인원으로 보이고, Level B를 입은 인원은 방탄모나 전투조끼를 보건대 군 소속 화생방부대 특수임무대(CRST 등)로 보인다. 그리고 약간 떨어진 곳에서 경계 서는 인원들은 침투성 보호의K-1 방독면을 차고 있다. 같은 상황 같은 위협임에도 보호 장비가 모두 다르다.
  • 간혹 잘못 착용한 사례가 보이기도 한다.
파일:2015091220230942823.jpg}}} ||
전투경찰, UFG, 2015년 8월
사진 속 인물은 OSHA Level C를 착용한 것으로 보이고, 방독면, 방수 내화학 방호복, 내화학 장갑까지는 착용했으나, 신발은 평범한 전투화다. 백 번 양보해서 전투화가 발을 화학 무기로부터 보호해 주더라도, 완벽히 밀폐되지 않은 발목 부분을 타고 작용제가 침투할 가능성이 크다. 전투조끼나 탄띠도 없어 총알을 다 쏘면 재장전도 못 한다.


[1] 기체 밀폐형이라서 기체, 액체, 에어로졸의 투과가 일체 불가능하지만, 옷 자체에 양압까지 걸어놓아 물리적으로 아무것도 들어올 수가 없다.[일체형] 보호의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일체형] [4] 방독면의 정화통에 과급기를 달아서 숨쉬기를 편안하게 해준 장비라고 생각하면 된다.[5] 액체와 에어로졸을 제외한,기체의 투과는 막을 수 없다.[6] 에어로졸을 제외한, 기체 및 액체의 투과는 막을 수 없다.[7] 탈의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