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동남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열차번호코레일 제외 노선 · 열차번호코레일) 틀 토론 진행 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동해선) |
| | | | ||||||
1000호대 1세대(상세) 2세대 이후 | 2000호대 | 3000호대 | 4000호대 | ||||||
| | ||||||||
1000호대 | 381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도입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000호대 | 1000호대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
● 부산김해경전철 |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 |
● 의정부 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VAL208 | |
● 용인 에버라인 | 용인경전철 Y100호대 전동차 INNOVIA Metro Mark II |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 |
● 김포 골드라인 |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 |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 |
● | 서울 경전철 위례선 전동차 (차량명 미정) | |
● | 동북선도시철도주식회사 DL000호대 전동차 (가칭) | |
● | 부산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 | 광주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 양산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 |
● | 대구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 |
● | 대구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 | 대전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양산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Yangsan Line 1000 Series AGT | }}} | |||
| |||||
104편성 | |||||
차량 정보 | |||||
<colcolor=#59c3b8>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경전철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2량 1편성[1] | ||||
생산량 | 18량 (총 9편성)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025년 | ||||
제작사 | 우진산전 | ||||
소유기관 | 양산시 | ||||
운영기관 | 미정[2] | ||||
차량기지 | 동면차량사업소 | ||||
편성번호체계 | 101 ~ 109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59c3b8> 전장 | 9,140㎜ | |||
전폭 | 2,400㎜ | ||||
전고 | 3,500㎜ | ||||
궤간 | 1,700㎜ | ||||
대차 | 고무차륜 | ||||
재질 | 알루미늄 더블 스킨 대형 압출합금재 | ||||
급전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운전보안장치 | |||||
제어방식 | VVVF-IGBT (SIV) | ||||
동력장치 | 3상 농형 교류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60㎞/h | |||
설계 | 70㎞/h | ||||
가속도 | 3.5㎞/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2M 0T[3] | }}}}}}}}} |
1. 개요
양산 도시철도에서 운행될 K-AGT에 기반한 부산광역시의 경전철 차량이자 국산 기술로 제작된 고무차륜열차이다. 4호선이 사용 중이며, 5호선 역시 동일한 규격의 K-AGT를 사용할 예정이다. 총 18량이 도입되며, 1편성 당 2량으로 3량 1편성인 5호선보다 더 적게 운영될 예정이다.2. 편성
| |
양산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조성 | |
<colcolor=#59c3b8> ↑ 북정 방면 | |
10## (1) | Mc1(종합제어장치(TCMS), 견인전동기(TM), 보조전원장치(SIV), 집전장치, 축전지) |
11## (2) | Mc2(종합제어장치(TCMS), 견인전동기(TM), 보조전원장치(SIV), 집전장치, 축전지) |
↓ 노포 방면 |
반입 당시 차량번호 참고
반입 장면이 보도되었다.
3. 기타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같은 차량을 이용한다고 밝혀진 지는 오래지만, 4호선과는 열차 모양이 조금 다를 수 있다. 바로 2017년 이후 만들어지는 모든 전동차에는 철도안전법에 따라 CEM 공법[4]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2022년 8월 9일 양산 도시철도에 도입될 고무차륜 경전철 차량 18칸의 계약을 체결했다. # 기존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와 다른 점은 철도안전법에 따른 CEM공법과 고무차륜 타이어 펑크검지장치 차량내 적용, LTE-R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예방검수 시스템이 적용된다. 그리고 기존 단문형 출입문을 양문형으로의 변경, 객실 의자 폭(440mm에서 480mm) 및 객실 통로폭(1000mm에서 1100mm) 확장, 차륜 소재 또한 철제 휠에서 알루미늄 휠로 변경하였고 객실 창문 자동 흐림장치가 설치된다고 한다. 이는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이후 국내에서는 두 번째로 적용되는 것이다.
2023년 1월 16일부터 2023년 1월 21일까지 전동차 디자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 2023년 1월 31일 온, 오프라인 합산 결과 외부는 3안 내부는 2안으로 결정되었다. #[5] 차량 디자인이 민트색 안으로 결정되어 노선색이 민트색으로 정해지게 되었다.[6] 2025년 5월 8일에 첫 투입 편성인 제 2편성이 반입되었으며, 2공구 구간(양산시청역~내송역)부터 시운전을 개시한다. # 시운전을 위한 최초 반입 편성 두량 외 나머지 편성도 2025년 8월까지 전량 반입될 예정이다.
동면차량사업소가 주박을 포함하여 중/경정비를 담당하게 된다.
4. 분류
<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color=#ffffff><colbgcolor=#59c3b8> 1차분 | VVVF IGBT | 2025년 (2량 9편성) |
4.1. 1차분
이 전동차는 고무차륜 철도차량으로서, 충북선과 경부선 등 표준궤 간선철도에 입선할 수 없다. 따라서 을종철도차량으로 등록되어 크레인 하역을 통해 동면기지에 반입되었다. 최초로 반입된 편성은 102편성이다. 한국철도공사의 고속열차 KTX 002호기와 마찬가지로 초도편성보다 다른 번호의 차량이 먼저 반입된 사례이다.
<rowcolor=#fff> 차호 | 을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도착지 |
<colcolor=#59c3b8> 101 | 미정 | 미정 | 우진산전 오창공장 | 미정 |
102 | 2025년 5월 8일 | 동면기지인입선 동면기지역 | ||
103 | 미정 | 미정 | ||
104 | ||||
105 | ||||
106 | ||||
107 | ||||
108 | ||||
109 |
[1] 추후 3량 증결 가능 #[2] 오는 10월까지 운영사를 선정한다고 한다.[3] 엄밀히 말하면 한 칸에 있는 4개의 대차 중 2개만이 구동계, 즉 칸당 0.5M이므로 전체적으로 보면 1M 1T이다.[4] Crush Energy Management. 충돌에너지관리장치[5] 링크로 들어가서 '양산도시철도 차량 선호도 조사'라고 적혀있는 탭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결과를 확인해보면 외부는 3안, 내부도 3안이 가장 많은 표를 받은 것으로 나와있지만 이 수치는 온라인조사의 합계만 나타나있기 때문에 온,오프라인 합산 결과와 다르다. 관련기사1 관련기사2[6] 2024년 6월 12일 공개된 목업 내부 LCD 색상으로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