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남 갑 | 동·남 을 | 서 갑 | 서 을 |
정진욱 | 안도걸 | 조인철 | 양부남 | |
북 갑 | 북 을 | 광산 갑 | 광산 을 | |
정준호 | 전진숙 | 박균택 | 민형배 | |
◀ 제21대 | }}}}}}}}} |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2 북구 갑}}} (광주)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등 北區 甲 Buk A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58,463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광주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2년 | |||||
국회의원 | | 정준호 |
[clearfix]
1. 개요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1], 문화동[2], 두암1동[3], 두암2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4] 지역으로 분구되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중앙동과 신안동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임동, 오치1동, 오치2동 지역이 추가로 들어왔다.중흥동, 중앙동 등의 낙후된 구 도심 지역과 오래된 주거 지역(우산동, 풍향동 등)이 많아서 북구 을 지역보다 조금 더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 현재는 갑, 을 지역구 모두 양당 득표율은 서로 비슷하다. 물론 호남권 지역이라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이며 현재 광주광역시장인 강기정의 과거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이기도 했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4대 | 박광태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2년 5월 28일 | |
김상현 | 2002년 8월 9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강기정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18대 | [[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대 | 김경진 | [[국민의당(2016년)|]]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21대 | 조오섭 |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22대 | 정준호 | | 2024년 5월 30일 ~ 현재 |
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충효동, 청옥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지대섭(池大燮) | 10,806 | 2위 |
[[민주자유당|]] | 13.16% | 낙선 | |
2 | 박광태(朴光泰) | 68,643 | 1위 |
| 83.64% | 당선 | |
3 | 이관형(李官炯) | 2,62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8,702 | 투표율 69.85% |
투표 수 | 82,912 | ||
무효표 수 | 843 |
2.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경주(鄭㪅柱) | 4,658 | 2위 |
[[신한국당|]] | 5.16% | 낙선 | |
2 | 박광태(朴光泰) | 83,596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92.67% | 당선 | |
3 | 김홍주(金洪柱) | 1,172 | 3위 |
[[자유민주연합|]] | 1.29% | 낙선 | |
4 | 신금남(申金男) | 777 | 4위 |
| 0.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4,587 | 투표율 63.22% |
투표 수 | 91,406 | ||
무효표 수 | 1,203 |
2.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영구(朴榮九) | 2,007 | 3위 |
| 2.56% | 낙선 | |
2 | 박광태(朴光泰) | 59,195 | 1위 |
[[새천년민주당|]] | 75.48% | 당선 | |
4 | 오완선(吳완鐥) | 1,603 | 4위 |
[[민주국민당(2000년)|]] | 2.05% | 낙선 | |
5 | 강기정(姜琪正) | 15,60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4,329 | 투표율 51.29% |
투표 수 | 79,161 | ||
무효표 수 | 786 |
2.4. 2002년 재보궐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영구(朴榮九) | 1,376 | 4위 |
| 4.13% | 낙선 | |
2 | 김상현(金相賢) | 18,618 | 1위 |
[[새천년민주당|]] | 55.84% | 당선 | |
3 | 강기정(姜琪正) | 6,04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14% | 낙선 | |
4 | 변형(卞亨) | 6,87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61% | 낙선 | |
5 | 이준수(李俊秀) | 43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0,683 | 투표율 22.45% |
투표 수 | 33,821 | ||
무효표 수 | 480 |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김상현(金相賢) | 29,023 | 2위 |
[[새천년민주당|]] | 33.87% | 낙선 | |
3 | 강기정(姜琪正) | 51,258 | 1위 |
[[열린우리당|]] | 59.82% | 당선 | |
4 | 유봉희(柳峰姬) | 628 | 4위 |
[[자유민주연합|]] | 0.73% | 낙선 | |
5 | 김용진(金容鎭) | 4,473 | 3위 |
[[민주노동당|]] | 5.5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9,318 | 투표율 57.91% |
투표 수 | 86,471 | ||
무효표 수 | 789 |
2.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기정(姜琪正) | 36,656 | 1위 |
[[통합민주당(2008년)|]] | 63.28% | 당선 | |
2 | 이가연(李佳鍊) | 2,369 | 4위 |
| 4.09% | 낙선 | |
4 | 이봉훈(李鳳焄) | 2,757 | 3위 |
[[민주노동당|]] | 4.76% | 낙선 | |
6 | 최한규(崔漢奎) | 514 | 6위 |
[[평화통일가정당|]] | 0.89% | 낙선 | |
7 | 김경진(金京鎭) | 2,35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7% | 낙선 | |
8 | 한화갑(韓和甲) | 13,273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0,997 | 투표율 41.39% |
투표 수 | 58,360 | ||
무효표 수 | 434 |
2.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강기정(姜琪正) | 37,718 | 1위 |
[[민주통합당|]] | 57.72% | 당선 | |
4 | 이채언(李采彦) | 7,314 | 3위 |
[[통합진보당|]] | 11.19% | 낙선 | |
6 | 이관행(李官行) | 1,289 | 4위 |
| 1.9% | 낙선 | |
7 | 김경진(金京鎭) | 19,02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1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0,943 | 투표율 50.44% |
투표 수 | 66,046 | ||
무효표 수 | 698 |
2.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오치1동, 오치2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정준호(鄭俊鎬) | 21,673 | 2위 |
| 23.34% | 낙선 | |
3 | 김경진(金京鎭) | 65,721 | 1위 |
[[국민의당(2016년)|]] | 70.80% | 당선 | |
5 | 장세레나(張세레나) | 2,924 | 3위 |
[[민중연합당|]] | 3.15% | 낙선 | |
6 | 박대우(朴大雨) | 2,50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8,844 | 투표율 59.16% |
투표 수 | 93,968 | ||
무효표 수 | 1,148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6241><bgcolor=#006241> 20대 총선 광주 북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정준호 | 김경진 | ||
득표수 (득표율) | 21,673 (23.34%) | 65,721 (70.80%) | -44,048 (▼47.46) | 93,968 (59.16%) |
중흥1동 | 22.15% | 72.43% | ▼50.28 | 49.89% |
중흥2동 | 21.45% | 73.18% | ▼51.73 | 58.12% |
중흥3동 | 22.20% | 72.29% | ▼50.09 | 55.57% |
중앙동 | 22.64% | 72.93% | ▼50.29 | 50.11% |
임동 | 24.41% | 70.90% | ▼46.49 | 57.29% |
신안동 | 24.13% | 69.80% | ▼45.67 | 51.30% |
우산동 | 19.61% | 75.48% | ▼55.87 | 55.20% |
풍향동 | 21.22% | 73.19% | ▼51.97 | 52.99% |
문화동 | 22.74% | 71.66% | ▼48.92 | 58.82% |
문흥1동 | 22.07% | 71.68% | ▼49.61 | 63.22% |
문흥2동 | 22.92% | 70.78% | ▼47.86 | 60.99% |
두암1동 | 19.89% | 75.18% | ▼55.29 | 64.87% |
두암2동 | 19.95% | 74.93% | ▼54.98 | 62.51% |
두암3동 | 23.12% | 71.74% | ▼48.62 | 63.58% |
오치1동 | 23.35% | 69.92% | ▼46.57 | 59.54% |
오치2동 | 25.28% | 68.55% | ▼43.27 | 62.02% |
석곡동 | 21.63% | 73.35% | ▼51.72 | 66.26% |
후보 | 정준호 | 김경진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2.18% | 54.78% | ▼22.60 | |
관외사전투표 | 32.26% | 59.83% | ▼27.57 | |
재외투표 | 52.38% | 34.92% | △17.46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국민의당 김경진 후보가 상대인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후보의 삽질과 호남 국민의당 돌풍, 2번의 낙선에 따른 동정론의 시너지 효과로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2.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오치1동, 오치2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오섭(曺五燮) | 59,001 | 1위 |
| 57.79% | 당선 | |
2 | 범기철(範基哲) | 2,423 | 3위 |
[[미래통합당|]] | 2.37% | 낙선 | |
6 | 이승남(李承男) | 1,786 | 4위 |
[[정의당|]] | 1.75% | 낙선 | |
7 | 박현두(樸賢鬥) | 480 | 5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47% | 낙선 | |
8 | 김경진(金京鎭) | 38,39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6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5,882 | 투표율 66.33% |
투표 수 | 103,390 | ||
무효표 수 | 1,293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21대 총선 광주 북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조오섭 | 김경진 | ||
득표수 (득표율) | 59,011 (57.79%) | 38,397 (37.60%) | +20,614 (△20.19) | 103,390 (66.32%) |
중흥1동 | 63.41% | 32.62% | △30.79 | 58.20% |
중흥2동 | 53.87% | 40.55% | △13.33 | 63.46% |
중흥3동 | 52.72% | 42.44% | △10.27 | 60.65% |
중앙동 | 65.90% | 28.67% | △37.23 | 55.91% |
임동 | 63.49% | 32.69% | △30.80 | 65.08% |
신안동 | 63.19% | 31.14% | △32.05 | 57.60% |
우산동 | 52.22% | 43.71% | △8.51 | 63.22% |
풍향동 | 59.17% | 35.71% | △23.46 | 62.38% |
문화동 | 56.28% | 39.28% | △17.00 | 64.69% |
문흥1동 | 55.06% | 41.05% | △14.02 | 70.12% |
문흥2동 | 56.25% | 39.69% | △16.57 | 64.91% |
두암1동 | 53.40% | 43.22% | △10.18 | 64.87% |
두암2동 | 53.63% | 42.38% | △11.26 | 62.51% |
두암3동 | 57.21% | 39.10% | △18.11 | 63.58% |
오치1동 | 58.20% | 36.22% | △21.98 | 59.54% |
오치2동 | 60.93% | 34.34% | △26.59 | 62.02% |
석곡동 | 53.91% | 41.63% | △12.28 | 66.26% |
후보 | 조오섭 | 김경진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5.66% | 34.00% | △21.67 | |
관외사전투표 | 63.22% | 30.87% | △32.35 | |
재외투표 | 72.28% | 15.66% | △56.63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소속으로 당선된 김경진 전 의원은 이번에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최종적으로 미래통합당, 정의당, 국가혁명배당금당 이 3개의 정당 후보들이 추가되어 이로써 5개의 후보가 경쟁을 하게 된다.
호남 전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이 예상되었던 선거임에도 결과를 쉽게 가늠할 수 없었던 지역구였다. 상술했듯이 북구 갑 지역구는 국민의당의 근간을 이루는 동교동계의 세가 강한 데다가, 김경진은 부장검사 출신에 종편 패널로도 인지도가 높았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70%대로 광주광역시 최고 득표율을 올렸기 때문이다. 걔다가 '쓰까요정'이라고 불렸던 국회에서의 활약도 있었기 때문에, 광주광역시에서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이 다 쓸려나가도 김경진은 살아남을거라는 관측이 많았었다.
반면에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후보는 강기정이 정무수석이 된 이후 지역위원장 대행을 맡았고, 광주광역시의원 재선에[5], 북구청장 경선에서 떨어진 이력이 전부였다. 그러나 지난 후보자였던 정준호 변호사가 경선에서 패배한 뒤[6], 과거의 비호감 이미지와 다르게 경선 결과에 깔끔하게 승복하고 조오섭 후보의 선대위원장을 맡은 덕분에 여타 광주광역시 지역구들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7]
이런 사연이 있는 만큼 김경진은 인물론을 내세웠고, 당선되면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겠다고 선언했다.[8] 그러나 20대 국회 내내 호남 정당의 난맥상을 본 유권자들의 선택은 차가웠고, 인물론이 그나마 먹히고 보수세가 강한 이 지역구에서도 득표율 20%를 넘는 표차로 조오섭 후보에게 승리를 안겨주었다. 김경진은 여론조사부터 쭉 밀리고 있었는데, 그보다 훨씬 큰 표 차이로 졌다.
그나마 김경진 후보에게 위로가 될 만한 점이라면 국민의당에 있던 후보들이 광주광역시는 물론 호남권 전체에서 처참히 몰살당한 것에 비하면 훨신 나은 성적이라는 것이다.[9]
2.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중흥1동, 중흥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오치1동, 오치2동, 석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준호(鄭俊鎬) | 86,713 | 1위 |
| 83.45% | 당선 | |
2 | 김정명(金晶明) | 8,856 | 2위 |
| 8.52% | 낙선 | |
7 | 김주업(金柱業) | 6,396 | 3위 |
| 6.15% | 낙선 | |
8 | 장경수(張景洙) | 1,93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8,463 | 투표율 66.52% |
투표 수 | 105,423 | ||
무효표 수 | 1,521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2대 총선 광주 북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정준호 | 김정명 | ||
득표수 (득표율) | 86,713 (83.45%) | 8,856 (8.52%) | +77,857 (△74.93) | 105,423 (66.52%) |
중흥1동 | 83.93% | 7.86% | △76.07 | 55.95% |
중흥동 | 79.51% | 10.70% | △68.81 | 58.82% |
중앙동 | 83.39% | 7.49% | △75.90 | 58.88% |
임동 | 83.97% | 8.99% | △74.98 | 63.02% |
신안동 | 83.29% | 8.77% | △74.52 | 54.72% |
우산동 | 81.97% | 9.95% | △72.02 | 64.24% |
풍향동 | 83.68% | 9.23% | △74.45 | 62.18% |
문화동 | 83.29% | 8.32% | △74.97 | 64.09% |
문흥1동 | 83.84% | 7.45% | △76.39 | 68.49% |
문흥2동 | 85.01% | 7.37% | △77.64 | 64.99% |
두암1동 | 86.48% | 7.32% | △79.16 | 63.64% |
두암2동 | 86.02% | 7.79% | △78.23 | 61.55% |
두암3동 | 85.28% | 8.14% | △77.14 | 63.78% |
오치1동 | 82.56% | 9.01% | △73.55 | 58.93% |
오치2동 | 84.34% | 8.53% | △75.81 | 62.23% |
석곡동 | 83.96% | 7.63% | △76.33 | 67.39% |
후보 | 정준호 | 김정명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76.80% | 12.16% | △64.64 | |
관외사전투표 | 82.14% | 8.71% | △73.43 | |
재외투표 | 82.95% | 8.52% | △74.43 |
북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정준호 | 김정명 | 격차 |
전체 | 79.3% | 14.6% | 64.7%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예상대로 정준호 변호사가 83.4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8년 전 낙하산 공천에 대한 반발과 후보의 삽질로 23.34%라는 처참한 득표율을 기록했던 때와 비교해보면 격세지감.[11]
[1] 1997년 풍향동으로 통합되었다.[2] 1996년에 문흥1동, 문흥2동이 분리되었다.[3] 1995년에 두암3동이 분리되었다.[4]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은 1998년 석곡동으로 통합되었다.[5] 물론 지방자치의 관점에서 이 경력이 빈약한 것은 아니나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6]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절대 더불어민주당의 주류가 된 친문성향 지지자들에게 응원받을 수 없는 인물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광주광역시에서 쓸려나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최저 득표를 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중 유일하게 밀리는게 나올 정도.[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워낙 높아서 경선 = 본선이라는 공식이 성립해서인지, 20대 국회 유일한 현역이었던 송갑석 의원이 단수 공천을 받은 서구 갑 빼고는 문자 그대로 전 지역에서 공천 갈등을 겪었다.[8] 하지만 김경진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검경 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해왔고, 돈봉투 만찬 사건 때 우병우 사단 멤버에 대한 인사조치는 모욕적이었다고 주장하는 등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 기조에 꾸준히 각을 세우는 행보를 보여왔으므로, 만약 복당했다면 당원들과 잦은 마찰이 빚어졌을 게 뻔하다. 물론 더불어민주당 또한 이러한 여파를 예상 못할 리 없으므로, 설령 김경진이 무소속으로 당선된다 한들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후보가 내린 대사면 이전까지는 이낙연이나 이해찬 전 대표가 이용호 의원처럼 복당을 불허했을 가능성이 높다.[9] 득표율은 거물급이고 김경진보다 정치 경력도 훨씬 긴 박지원보다도 높았다.[10] 걔다가 21대 총선에서 광산구 갑 경선 결과 이석형이 경선에서 승리해서 공천장을 받았으나 부정 행위에 따른 검찰 수사로 박탈하고 차점자인 이용빈을 공천했지만 결국 관련 법안이 개정되면서 면소 판결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이 사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11] 한편 8년 전 같은 지역구에서 자신을 상대로 무려 70.80%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찍어눌렀던 김경진 전 의원과도 완전히 희비가 엇갈렸다. 김경진 전 의원은 4년 전 바로 직전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재출마해 재선에 도전했다가 비록 낙선하기는 했지만 37.60%라는 상당한 득표율을 올렸다. 그 후 김경진 전 의원은 윤석열 지지를 선언하며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그리고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는 김경진 전 의원이 호남에 비하면 그나마 당선 가능성이 있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에 출마했지만 45.37%의 득표율을 얻어서 장경태 의원에게 밀리며 또 다시 패전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