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9 02:22:29

불화살-3-31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ed1c27,#c00000><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jp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전략순항미싸일《불화살-3-31》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화살 계열 순항미사일
파일:불화살-3-31.jpg
2024년 1월 24일, 1차 시험발사 때의 모습
발사 플랫폼 지상, 김군옥영웅함(추정)
최대사거리 2,000km[A]

1. 개요2. 명칭3. 1차 시험 발사
3.1. 상세3.2. 평가
4. 2차 시험 발사
4.1. 상세4.2. 평가

[clearfix]

1. 개요

북한이 북한이 2024년 1월 24일 첫 시험 발사한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겸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SLCM). 조선인민군 2023년 공개 SLCM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며, 기존 화살-1, 화살-2와 달리 '불화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 명칭

  • 미사일의 명칭이 화살에서 화살로 변경되고 코드번호도 기존 -1, -2가 아니라 날짜를 연상케 하는 -3-31로 변경되었다. 1주일 전인 1월 19일 북한이 동해상에서 시험했다고 주장한 신형 해일(수중드론)도 명칭을 기존과 달리 《해일-5-23》으로 발표한 것과 비슷하여 북한이 미사일 분류 방법을 변경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2차 시험발사에서 잠수함 발사 순항미사일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지상발사 순항미사일은 화살, 잠수함발사 순항미사일은 불화살로 불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 화산-31 핵탄두의 '-31'인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도 나왔다. 즉, 화살-3에 화산-31을 탑재하면 불화살-3-31이 된다는 식. #
  • 가지번호 읽는법에 관하여, 조선의 소리 음성으로 '불화살 삼 삼십일형'으로 읽는 것이 확인되었다. # 이후 리춘히도 그렇게 읽었다.
    • 반면 KBS에서는 '불화살 삼의(에) 삼십일형'으로 읽었다. #

3. 1차 시험 발사

파일:불화살-3-31.jpg
불화살-3-31 1차 시험 발사

3.1. 상세

2024년 1월 24일 서해상으로 시험발사를 시행하였다.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미싸일총국은 이번 시험이 무기체계의 부단한 갱신과정이며 총국과 산하 국방과학연구소들의 정기적이며 의무적인 활동이라고 설명했다."라고만 발표하고 발사 장소, 비행시간, 고도, 경로 등은 발표하지 않았다. 처음으로 불화살-3-31이라는 제식명이 공개되었으나 이 당시까지만 해도 SLCM 임을 발표하지 않았다.

이후 합참은 서해상에서 원형 궤도를 그렸다고 밝혔다. 또한 화산-31과 동일한 무게의 모형 탄두를 탑재해 단거리가 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내 놓았다. # #

3.2. 평가

  •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과거에 발사했던 것과 비교해 비행거리가 다소 짧았던 점을 고려할 때 기존 순항미사일의 성능 개량을 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외라고 한다. #
  •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연합뉴스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불화살-3-31'은 기존 화살형보다 전체적인 길이가 짧고 뭉툭해 보인다"며 "단거리용인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군은 중거리[2] 전략 순항미사일라고 말했다.#

4. 2차 시험 발사

파일:불화살-3-31 잠수함발사.jpg
불화살-3-31 2차 시험 발사
보호 캡이 벗겨지는 사진도 공개했다.

4.1. 상세

2024년 1월 28일 오전 8시경 동해 신포 해군기지 앞바다 잠수함에서 2발이 시험발사되었으며, 김정은이 참관했다고 한다.
북한 로동신문에 따르면 순항미사일들은 7421초(2시간3분41초), 7445초(2시간4분5초)간 동해 상공에서 비행하여 섬 목표를 명중 타격했다고 하였고 비행거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4.2. 평가

  • 한미 정보 당국은 이 미사일이 김군옥영웅함에서 발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 최일 잠수함연구소 소장은 러시아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처럼 지상, 잠수함 동시 발사가 가능한 미사일로 평가하였다.[A]

[A] #[2] 본 미사일은 순항 미사일이므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중거리'와는 다른 맥락인 것으로 보인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