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7:27:39

브레이커스(최강야구)

<colcolor=#fff> 파일:브레이커스.png
<colbgcolor=#011171> 브레이커스
BREAKERS
창단 2025년 9월 22일([age(2025-09-22)]주년)
홈구장 목동 야구장
연고지 서울특별시
구단주 홍정도(JTBC 부회장)
사장 제찬웅(JTBC 사장)[1]
단장 성치경(JTBC PD)[2]


<colbgcolor=#ee4820><colcolor=#fff> 감독 이종범
코치 장성호, 심수창, 김형진
주장 김태균
선수
[ 펼치기 · 접기 ]
김태균, 윤석민(투수), 이대형, 오주원,
나지완, 이학주, 윤길현, 윤희상,
이현승, 오현택, 문성현, 나주환,
윤석민(타자), 권혁, 강민국, 최진행,
허도환, 조용호, 김우성[3]

1. 개요2. 캐치프레이즈3. 마스코트4. 선수단
4.1. 감독·코칭스태프4.2. 투수4.3. 포수4.4. 내야수4.5. 외야수4.6. 중계·해설진
5. 선수단 배번
5.1. 2025 시즌
6. 유니폼7. 응원8. 기록
8.1. MVP
8.1.1. 2025 시즌
8.2. 선수별 기록
8.2.1. 2025 시즌
8.3. 구단 1호 기록
8.3.1. 구단 기록8.3.2. 투수 기록8.3.3. 타자 기록8.3.4. 선수별 기록
9. 여담


1. 개요

JTBC의 야구 예능 프로그램 최강야구의 2번째 주연 구단.

최강 몬스터즈를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팀명을 리브랜딩하고 팀 운영 컨셉도 완전히 바꾸며 역사를 단절하고[4] 일종의 '2기' 개념으로 발족했다.

최강 몬스터즈와 달리 팀명 앞에 '최강'이 붙지 않는데, 공식 보도 자료에서도 '최강 브레이커스'라는 명칭은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2025 시즌의 목표가 아마추어 야구 최강 3팀과의 토너먼트 컵 대회에서 우승하여 '최강'이라는 칭호를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

2. 캐치프레이즈

BREAK IT AGAIN
한계를 부수는 자들

3. 마스코트

4. 선수단

2025 시즌 인물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0250918_144200_8642.jpg
}}}}}}}}} ||
  • 기본적으로 현역 시절 상징적인 등번호를 달고 있다. 그러나 상징 번호가 겹칠 경우 1군에서 사용했던 다른 번호를 사용하기도 하고, 그마저도 안 될 때는 후배가 선배에게 양보하여 최강 몬스터즈 시절의 전통을 이어갔다. 다만 오주원의 경우 몬스터즈 시절에는 15번을 달았으나 브레이커스에서는 11번으로 바꿔 달며 15번이 오현택에게 돌아갔고, 나지완의 경우 몬스터즈 시절 임대 선수였을 때 직접 99번을 선택했지만 브레이커스에서는 현역 시절 상징 번호인 29번을 달았다.
  • 2025시즌은 토너먼트 컵 시스템으로 운영하는데, 모자란 경기 수와 선수진 보강은 아마추어 선수진 영입을 위한 특별 경기를 3번 치르는 것으로 벌충한다. 이를 아마추어 선수영입전으로 지칭하며, 브레이커스의 2025년 첫 경기가 선수영입전으로 진행된다. 선수영입전에서 승리하면 상대했던 팀에서 선수 1명을 지목해 해당 시즌 동안 임대 선수로 받아오며, 패배하면 상대했던 팀의 요청을 하나 들어준다.[5]

4.1. 감독·코칭스태프

파일:브레이커스이종범.jpg 파일:브레이커스장성호.jpg 파일:브레이커스심수창.jpg 파일:브레이커스김형진.jpg
이종범 장성호 심수창 김형진
감독·코칭스태프
<rowcolor=#FFF> 직책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감독 이종범 7 우투우타 1970년 8월 15일
175cm, 73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6시즌 1706경기 1797안타 .297 194홈런 1100득점 730타점 510도루

파일:NPB 로고.svg 4시즌 311경기 286안타 .261 27홈런 174득점 99타점 53도루

[[KBO MVP|
MVP
]] 1회 | [[KBO 골든글러브|
GG
]] 6회 | 파일:KBO 40주년 레전드 TOP4 로고.svg 3위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영구 결번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7.svg
1993 한국시리즈 MVP
|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
1997 한국시리즈 MVP
수석코치 장성호 1 좌투좌타 1977년 10월 18일
183cm, 93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20시즌 2064경기 2100안타 .296 221홈런 1108득점 1043타점 99도루
파일:KBO 40주년 레전드 TOP4 로고.svg 41위
투수코치[6] 심수창[M] 67 우투우타 1981년 7월 9일
185cm, 80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5시즌 390경기 926.1이닝 42승 68패 ERA 5.37 14세이브 24홀드 536탈삼진
트레이닝
코치
김형진

4.2. 투수

파일:브레이커스윤길현.jpg 파일:브레이커스이현승.jpg 파일:브레이커스권혁.jpg 파일:브레이커스오주원.jpg
윤길현 이현승 권혁 오주원
파일:브레이커스윤희상.jpg 파일:브레이커스오현택.jpg 파일:브레이커스윤석민투수.jpg 파일:브레이커스문성현.jpg
윤희상 오현택 윤석민 문성현
투수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투수 윤길현 51 우투우타 1983년 9월 23일
183cm, 8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6시즌 635경기 800.2이닝 44승 41패 ERA 4.31 30세이브 111홀드 676탈삼진
투수 이현승 48 좌투좌타 1983년 10월 11일
179cm, 87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5시즌 671경기 827.2이닝 47승 44패 ERA 4.47 56세이브 88홀드 610탈삼진
투수 권혁 47 좌투좌타 1983년 11월 6일
192cm, 100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8시즌 781경기 874이닝 58승 47패 ERA 3.79 32세이브 159홀드 762탈삼진
투수 오주원[M] 11[9] 좌투좌타 1985년 3월 31일
186cm, 9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6시즌 583경기 789이닝 41승 57패 ERA 4.68 25세이브 84홀드 523탈삼진
[[KBO 신인왕|
신인왕
]]
투수 윤희상 66 우투우타 1985년 5월 17일
193cm, 96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3시즌 216경기 803이닝 42승 44패 ERA 4.82 1세이브 7홀드 552탈삼진
투수 오현택 15 우사우타 1985년 7월 17일
180cm, 73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0시즌 390경기 392이닝 19승 13패 ERA 4.20 5세이브 61홀드 312탈삼진
투수 윤석민 21 우투우타 1986년 7월 24일
185cm, 8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2시즌 398경기 1270이닝 77승 75패 ERA 3.29 86세이브 18홀드 1072탈삼진

파일:MILB 심볼(2008~2021).svg 1시즌 23경기 95.2이닝 4승 8패 ERA 5.74 67탈삼진
투수 문성현[10] 17 우투우타 1991년 11월 9일
180cm, 89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2시즌 280경기 606.2이닝 25승 37패 ERA 5.00 16세이브 18홀드 461탈삼진
파일: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엠블럼.png화성 코리요 소속

4.3. 포수

파일:브레이커스허도환.jpg
허도환 김우성
포수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포수 허도환 30 우투우타 1984년 7월 31일
176cm, 90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5시즌 886경기 316안타 .209 13홈런 134득점 142타점 2도루
포수 김우성 22[11] 우투우타 2006년 3월 21일
182cm, 85k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포수

4.4. 내야수

파일:브레이커스김태균.jpg 파일:브레이커스나주환.jpg 파일:브레이커스윤석민타자.jpg
김태균 나주환 윤석민
파일:브레이커스이학주.jpg 파일:브레이커스강민국.jpg
이학주 강민국
내야수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1루수 [[주장|
C
]]
김태균 52 우투우타 1982년 5월 29일
185cm, 122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9시즌 2015경기 2209안타 .320 311홈런 1024득점 1358타점 28도루

파일:NPB 로고.svg 2시즌 172경기 167안타 .265 22홈런 75득점 106타점

[[KBO 골든글러브|
GG
]] 3회 | 파일:KBO 40주년 레전드 TOP4 로고.svg 14위 |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영구 결번
유틸리티[12] 나주환 3 우투우타 1984년 6월 14일
180cm, 84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7시즌 1506경기 1018안타 .262 89홈런 524득점 496타점 83도루
3루수 윤석민 13 우투우타 1985년 9월 4일
180cm, 88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4시즌 941경기 805안타 .285 103홈런 372득점 466타점 13도루
유격수 이학주 16 우투좌타 1990년 11월 4일
187cm, 87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6시즌 486경기 276안타 .233 23홈런 154득점 116타점 29도루

파일:MILB 심볼(2008~2021).svg 8시즌 678경기 689안타 .269 23홈런 408득점 209타점 169도루

파일: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로고.svg 1시즌 29경기 35안타 .347 2홈런 21득점 13타점 6도루
유틸리티 강민국 6 우투우타 1992년 1월 10일
178cm, 78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8시즌 197경기 63안타 .229 1홈런 32득점 22타점 2도루

4.5. 외야수

파일:브레이커스이대형.jpg 파일:브레이커스나지완.jpg 파일:브레이커스최진행.jpg
이대형 나지완 최진행
파일:브레이커스조용호.jpg 파일:브레이커스노수광.jpg
조용호 노수광
외야수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외야수 이대형 53 좌투좌타 1983년 7월 19일
187cm, 78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5시즌 1603경기 1414안타 .278 9홈런 807득점 361타점 505도루
외야수 나지완 29[13] 우투우타 1985년 4월 1일
182cm, 10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5시즌 1493경기 1265안타 .277 221홈런 668득점 862타점 35도루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0.svg
2009년 한국시리즈 MVP
외야수 최진행 25 우투우타 1985년 8월 17일
188cm, 100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5시즌 1104경기 886안타 .264 152홈런 429득점 551타점 17도루
외야수 조용호 23 우투좌타 1989년 9월 9일
170cm, 7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8시즌 695경기 553안타 .275 3홈런 286득점 173타점 52도루
외야수 노수광 57 우투좌타 1990년 8월 6일
180cm, 80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10시즌 770경기 631안타 .269 28홈런 387득점 220타점 123도루

4.6. 중계·해설진

파일:브레이커스정민철.jpg 파일:브레이커스한명재.jpg
정민철 한명재
중계·해설진
<rowcolor=#FFF> 포지션 이름 등번호 투타 생년월일, 신장, 체중 비고
해설 정민철 -[14] 우투좌타 1972년 3월 28일
187cm, 95kg
파일:KBO 로고(세로형).svg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16시즌 393경기 2394.2이닝 161승 128패 10세이브 ERA 3.51 1661탈삼진

파일:NPB 로고.svg 2시즌 12경기 59.1이닝 3승 2패 44탈삼진

파일:KBO 40주년 레전드 TOP4 로고.svg 13위 |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영구 결번
캐스터 한명재 - - 1972년 1월 12일
172cm
-

5. 선수단 배번

5.1. 2025 시즌

브레이커스 2025 시즌 배번
<keepall>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코칭 스태프
<rowcolor=#fff,#fff> 번호 선수명 번호 선수명 번호 선수명 번호 선수명 번호 선수명
<colbgcolor=#011171><colcolor=#fff> 1 장성호 <colbgcolor=#011171><colcolor=#fff> 21 윤석민 <colbgcolor=#011171><colcolor=#fff> 41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61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81 -
2 - 22 김우성 42 - 62 - 82 -
3 나주환 23 조용호 43 - 63 - 83 -
4 - 24 - 44 - 64 - 84 -
5 - 25 최진행 45 - 65 - 85 -
6 강민국 26 - 46 - 66 윤희상 86 -
7 이종범 27 - 47 권혁 67 심수창 87 -
8 - 28 - 48 이현승 68 - 88 -
9 - 29 나지완 49 - 69 - 89 -
10 - 30 허도환 50 - 70 - 90 -
11 오주원 31 - 51 윤길현 71 - 91 -
12 - 32 - 52 김태균 72 - 92 -
13 윤석민 33 - 53 이대형 73 - 93 -
14 - 34 - 54 - 74 - 94 -
15 오현택 35 - 55 - 75 - 95 -
16 이학주 36 - 56 - 76 - 96 -
17 문성현 37 - 57 노수광 77 - 97 -
18 - 38 - 58 - 78 - 98 -
19 - 39 - 59 - 79 - 99 -
20 - 40 - 60 - 80 - 0 -

6. 유니폼

7. 응원

8. 기록

8.1. MVP

<rowcolor=#fff,#000> ⭐️ 개수 MVP 수상자
1개 강민국

8.1.1. 2025 시즌

||<rowbgcolor=#011171><rowcolor=#FFF><tablealign=center><width=25%><tablebgcolor=#fff,#1f2024> 경기 ||<width=25%> MVP 선수 ||<width=25%> 횟수 ||<width=25%> 비고 ||
동원과기대 강민국 ⭐️ 브레이커스 첫 번째 MVP

8.2. 선수별 기록

8.2.1. 2025 시즌

8.3. 구단 1호 기록

8.3.1. 구단 기록

구단 기록
<rowcolor=#FFF> 기록명 대상 팀 혹은 인원 비고
1호 공식 경기 및
1호 선수영입전 팀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브레이커스 공식 첫 경기
1호 공식 시즌 경기 팀 2025년 컵 토너먼트 첫 경기
1호 시구 김응용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시구자에게 브레이커스 유니폼 및 배번(70) 지급
1호 연장 경기
1호 승리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승리 투수 , 최종 스코어 8:10
1호 무실점 승리
1호 콜드게임 승리
1호 시리즈 콜드게임 승리
1호 끝내기 승리
1호 패배
1호 끝내기 패배
1호 완투패
1호 콜드게임 패배
1호 임대선수 김우성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선수영입전 승리 보상
1호 우천 취소
1호 벤치 클리어링
1호 퇴장[15]

8.3.2. 투수 기록

투수 기록
<rowcolor=#FFF> 기록명 대상 인원 대상 경기 비고
1호 선발 투수 오주원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호 승리 투수
1호 선발승
1호 퀄리티 스타트
1호 완투승
1호 완봉승
1호 홀드 윤석민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호 세이브
1호 견제사
1호 탈삼진 오주원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초 2사 1루 김우성 타석에서
5구 헛스윙 삼진
1호 교체 투수 윤석민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4회초 선발 투수 오주원과 교체
1호 패전 투수
1호 완투패
1호 폭투
1호 피안타 오주원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초 2사 무주자 박준형 타석에서 3유간 안타
1호 피홈런 오주원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4회초 무사 1루 박민구 타석에서 2점
1호 피볼넷 권혁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7회초 선두타자 스트레이트 볼넷
1호 헤드샷

8.3.3. 타자 기록

타자 기록
<rowcolor=#FFF> 기록명 대상 인원 대상 경기 비고
1호 출루 이대형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말 1사 무주자, 투수 수비 실책,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도루
1호 더블 스틸
1호 볼넷 윤석민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회말 선두타자, 스트레이트 볼넷,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대타 및
고의사구
김태균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5회말 2사 2루 나지완의 대타로 교체,
상대 투수 고준혁
1호 몸에 맞는 공 최진행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말 1사 1루,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머리에 맞는 공
1호 안타 및
2루타
나주환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회말 무사 1루, 좌측 파울라인쪽 장타,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3루타
1호 홈런 강민국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8회말 1-2루, 좌측 3점, 상대 투수 배시준
1호 그랜드슬램
1호 타점 허도환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회말 무사 만루 내야 땅볼,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끝내기
1호 끝내기 안타
1호 끝내기 홈런
1호 삼진 조용호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말 선두타자, 3구 루킹 삼진,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병살타 나지완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1회말 1사 1-2루, 2루수-유격수-1루수,
상대 투수 어윤성
1호 실책 윤석민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6회초 1사 무주자,
1루 포구 미스로 타자 주자 1루 진루
1호 대주자
1호 보살
1호 득점 취소

8.3.4. 선수별 기록

  • 강민국: 1호 홈런
  • 권혁: 1호 피볼넷
  • 김우성: 1호 임대선수
  • 김태균: 1호 대타 및 고의사구
  • 나주환: 1호 안타 및 2루타
  • 나지완: 1호 병살타
  • 오주원: 1호 선발 투수, 1호 탈삼진, 1호 피안타, 1호 피홈런
  • 윤석민(투수): 1호 교체 투수, 1호 홀드
  • 윤석민(타자): 1호 볼넷, 1호 실책
  • 이대형: 1호 출루
  • 조용호: 1호 삼진
  • 최진행: 1호 몸에 맞는 공
  • 허도환: 1호 타점

9. 여담

  • 최강 몬스터즈와의 완전한 단절을 선언한만큼 몬스터즈와는 구단 운영을 비롯한 모든 것이 다르다. 은퇴한 야구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특정한 승률 목표 없이 특별한 체제로 진행하는 야구 예능이라는 점에서는 빽 투 더 그라운드를 계승했고,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칭호를 획득하고 기부가 이루어지는 야구 예능이라는 점에서는 천하무적 야구단의 '꿈의 구장 건립 기금' 컨셉을 일부 계승했다. 덧붙여 브레이커스의 선수진을 발표하면서 빽 투 더 그라운드가 공식적으로 종영되었음이 확정[16]되었고, 동시에 크보졸업생 리터너즈의 공식 활동 종료도 확정되었다.
  • 공식적으로 리브랜딩을 천명하고 선수진과 스태프 명단까지 새로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몬스터즈 시절 데이터인 김성근 감독과 장시원 단장 체제의 명단이 9월 14일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있었던지라, 기본적인 데이터 관리도 제대로 못 하면서 스포츠 예능을 어떻게 하냐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었다.[17] 결국 9월 15일에 119회(=브레이커스 1회) 예고편을 올리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팀 소개 페이지를 아예 삭제했다가, 18일에 포맷을 새로 만들어 올리며 데이터 갱신을 확정지었다.
  • 119회에서 브레이커스 선수들을 인터뷰할 때 자료화면이 많이 나왔는데, 나지완의 2009년 한국시리즈 끝내기 홈런이 '기아 우승 버전'이라서 좋지 못한 평가를 듣기도 했다. 한명재 캐스터의 우승콜 버전을 가져왔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말도 나왔는데, 나지완이 첫 타석에 들어설 때는 한명재 버전을 썼다.
  • 안타 세리머니로 가슴팍의 로고를 가리키고 막대기를 부러트리는 듯한 제스처를 한다.


[1] 경영, 콘텐츠 담당.[2] 뭉쳐야 찬다 4의 CP. 2025시즌부터 최강야구 CP 담당. 최강 몬스터즈의 장시원과 달리 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3]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포수[4] 팀 창단과 함께 공식 단절을 선언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심수창의 선수 티저 영상에서 몬스터즈 모자를 벗고 브레이커스 모자를 쓰는 동안 유니폼을 완전히 교체하는 캐비넷 연출을 보여 주며, 브레이커스의 창단 목적 자체가 몬스터즈라는 팀을 말소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사살했다.[5] 첫 선수영입전 상대인 동원과기대 야구부와의 경기에서 브레이커스 측은 2025 시즌 동원과기대 클린업 트리오 일원이자 포수인 김우성을 목표로 삼았고, 동원과기대 측은 브레이커스의 1일 밀착 지도를 요청했다.[6] 플레잉코치[M] 최강 몬스터즈 출신.[M] [9] 최강 몬스터즈때는 15번을 달았었다.[10] 유일하게 현역 프로 선수이다. FA 미계약 상태일 뿐.[11] 원래 허도환과 동일한 30번을 사용하지만, 임대선수로 영입되면서 22번을 직접 선택했다.[12] 주로 2루수와 유격수.[13] 최강 몬스터즈 임대 선수로 들어왔을 때는 임시 번호 99번을 직접 선택했었다.[14] 브레이커스 공식 명단 발표 당시 코치진으로 발표되지 않았고 공식 홈페이지의 감코진 명단에도 등록되지 않아, 최강 몬스터즈에서 명목상으로나마 투수코치로 이름을 올렸던 김선우와 달리 번호를 달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었다.[15] 직구 헤드샷, 판정 항의 포함.[16] 사실 2024시즌에 더스틴 니퍼트최강 몬스터즈에 소속되면서 종영된 것이 간접적으로 암시되긴 했으나, 공식적으로 종영이 확정된 것은 JTBC 측에서 브레이커스 선수진을 확정 공개한 시점이다. 안 그래도 니퍼트가 불꽃야구로 이적하여 불꽃 파이터즈 소속으로 계속 출연하게 되면서 반쯤 확인사살격 행보를 보였는데 거기에 공인 정보로 확정을 내려 준 셈.[17] 연예인 야구단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천하무적 야구단조차도 방영 중에는 스포츠 팀으로서 데이터 관리를 비교적 양호하게 했었기에, 이를 기억하고 있는 야구 팬덤 사이에서는 당연히 쓴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애초에 같은 CP 제작의 뭉쳐야 찬다 시리즈도 4기에 들어서야 관리가 잘 들어가고 있었지, 3기까지는 신입 선수들이 명단에 한참 동안 추가가 안 되거나 하차 선수들의 개별 관리가 전혀 안 되는 등 데이터 관리가 엉망진창이었기 때문에 이럴 걸 미리 예상했다는 반응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