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3863>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ffb9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로버트 커틀러 | 딜런 앤더슨 | 로버트 커틀러 | 고든 그레이 | |
<rowcolor=#ffb900>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맥조지 번디 | 월트 휘트먼 로스토 | 헨리 키신저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
<rowcolor=#ffb900>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 리처드 V. 앨런 | 윌리엄 클라크 주니어 | 버드 맥팔레인 | |
<rowcolor=#ffb900>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존 포인덱스터 | 프랭크 칼루치 | 콜린 파월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
<rowcolor=#ffb900>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앤서니 레이크 | 샌디 버거 | 콘돌리자 라이스 | 스티븐 해들리 | |
<rowcolor=#ffb9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제임스 L. 존스 | 토마스 E. 도닐론 | 수전 라이스 | 마이클 플린 | |
<rowcolor=#ffb9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H. R. 맥마스터 | 존 볼턴 | 로버트 오브라이언 | 제이크 설리번 | |
<rowcolor=#ffb900> 제29대 | 제30대 | |||
마이클 왈츠 | 마르코 루비오 |
| |
<colbgcolor=#002e48> 이름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Brent Scowcroft |
국적 |
|
출생일 | 1925년 3월 19일 |
출생지 | 유타주 오그던 |
사망 | 2020년 8월 6일 (향년 95세) |
장지 | 버지니아 주 폴스처치 |
학력 | 미국 육군사관학교 (B.A)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관계학 / M.A)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관계학 / Ph.D ) |
소속 정당 | |
경력 | 미국 공군 중장 미국 국가안보 부보좌관 제8·16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대통령실 정보위원회 고문 |
1. 개요
미국의 군인, 정무직 공무원.2. 생애
1925년 3월 19일 미국 유타주 오그덴에서 태어났다. 1947년 6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항공대 소위로 임관, 같은 해 9월 육군 항공대가 공군으로 분리 독립하자 그대로 공군으로 소속을 전환했다. 전투기 조종사를 꿈꿨으나 비행기 사고를 겪은 이후 정책통으로 커리어를 전환했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한동안 합참, 국방부 등지에서 근무하다 1973년 재선된 리처드 닉슨의 2기 백악관에서 헨리 키신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발탁돼 국가안보 부보좌관에 임명되었고,[1]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사임하자 후임 제럴드 포드 대통령에 의해 1975년 국가안보보좌관[2]으로 발탁되어 약 2년간 재직했다.[3] 당시 스코크로프트는 공군 중장이었는데, 현역 군 장성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맡는 드문 사례로 남았다.[4]
1977년 1월 지미 카터가 당선된 뒤 국가안보보좌관에서 퇴임했지만 곧 카터 행정부의 군축자문위원회에 들어갔다. 이 위원회는 1979년 6월 카터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서명한 전략무기제한협정에 영향을 미쳤다.
조지 H. W. 부시가 취임하자 다시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았다.[5] 그리하여 부시의 재임기간(1989년 ~ 1992년) 동안 걸프 전쟁 승리, 냉전 종식을 비롯한 미국의 외교 안보 정책에 기여하였다. 특히 걸프전 당시 연합군을 구축한 공으로 1991년 '대통령 자유의 메달'을 받았다. 아버지 부시 행정부 이후로도 미국 외교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공화당 내에서는 온건 성향으로 분류되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반대 입장을 나타낸 것이 대표적인 사례.
또한 공화당 네오콘들과 달리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란 핵합의를 지지했다. #
[1] 대한민국으로 치면 국가안보실 차장으로 재직했던 셈이다. 여담으로 키신저는 닉슨 2기 행정부에서 국무장관까지 겸직하였다.[2] 한국의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 해당.[3] 그동안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아온 키신저는 국무장관직에 전념하게 되었다.[4] 스코크로프트 외에는 1980년대 말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콜린 파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초기인 2017~2018년의 H. R. 맥마스터 등이 현역 군인 신분으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임명되었다. 이 둘은 모두 당시 육군 중장이었다.[5] 부시는 닉슨-포드 행정부에서 주유엔대사, 중앙정보국장을 역임하며 스코크로프트와 함께 일했던 인연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