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9 20:41:35

브론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
Brontosaurus
파일:Brontosaurus_excelsus_remount_in_the_Peabody_Museum.jpg
쥐라기 후기 킴머리지절~티토누스절
1억 5630만 년 전~1억 4680만 년 전
북아메리카
학명 Brontosaurus
Marsh, 1879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상과 †디플로도쿠스상과Diplodocoidea
†디플로도쿠스과Diplodocidae
아과 †아파토사우루스아과Apatosaurinae
브론토사우루스속Brontosauru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브론토사우루스 엑켈수스 (B. excelsus)모식종
    Marsh, 1879
  • †브론토사우루스 파르부스 (B. parvus)
    Peterson & Gilmore, 1902
  • †브론토사우루스 야흐나핀 (B. yahnahpin)
    Filla & Redman, 1994[1]
파일:Brontosaurus_NT_small.jpg
복원도 (출처)

1. 개요2. 특징3. 연구사4. 대중문화5. 기타

1. 개요

중생대 쥐라기 후기 약 1억 5,630만년 전[2] ~ 1억 4,680만년 전[3]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용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천둥 도마뱀". 어원을 따라 "뇌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석은 주로 모리슨층 등 미국 서부에 발견된다.

2. 특징

가장 거대했던 종인 모식종은 몸길이가 21~23m에 몸무게가 15~20t에 달한다고 추정되며, 나머지 종들은 몸길이가 19m에 몸무게는 14톤에 달한다고 추정된다.[4][5][6] 두개골 화석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고생물학자들은 가까운 친척인 아파토사우루스의 두개골과 비슷했을 것으로 보고있다.

1999년 연구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와 브론토사우루스 뼈[7]를 토대로 나이를 측정한 결과 8년 ~ 10년에 성체가 된 것으로 추정했고,[8][9] 1999년에 조사한 뼈 나이 연구를 토대로 조사한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아파토사우루스가 15년 만에 25t씩 성장해 매년에 5t 성장이 정점에 달했고, 대체 방법으로는 아파토사우루스가 매년에 520kg씩 성장해 70년 정도에 신체적 성숙에 도달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표본이 같이 사용된 브론토사우루스도 아파토사우루스와 같은 성장기를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연구에 따르면 브론토사우루스의 경추가 튼튼한 것을 토대로 개체 간의 싸움에 목을 싸우는 용도로 사용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3. 연구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patosaurus_Yale_Peabody_cropped.jpg
2020년 재조립 전 브론토사우루스 골격
파일:external/i.livescience.com/brontosaurus-illustration.jpg
2015년 복원도

원래 브론토사우루스는 아파토사우루스와 비슷하나 천골의 융합부위 개수가 다르다는 이유로[10] 오스니얼 찰스 마시에 의해 새 속명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1903년, 아파토사우루스의 일종이었다는 주장이 다시금 인정받으면서 2년 먼저 붙여진 이름인 아파토사우루스가 선취권을 갖게 되어 아파토사우루스속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2015년 4월에 나온 논문에 의해 속명이 말소된 지 112년 만에 아파토사우루스속과는 별개의 속으로 또 다시 인정받게 되었다. 다만 이 논문은 다른 고생물학자들의 비판에 부딪혔고 여전히 브론토사우루스를 아파토사우루스의 일종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1980년대 이전에는 해당 그림의 복원도처럼 "무거운 체중을 근력만으로 지탱할 수 없어 물속에서 수초를 뜯어먹고 살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었다. 그러나 브론토사우루스의 신체 구조는 철저히 육상 생활에 적응한 형태로 결론지어져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

한동안 브론토사우루스와 아파토사우루스의 머리 모양이 지금처럼 주둥이 끝으로 갈수록 좁다랗고 길쭉한 형태가 아니라 이 모형처럼 카마라사우루스의 것을 연상시키는 뭉툭한 형태였으리라고 여겨지기도 했다.

추가로 브론토사우루스는 꼬리를 무기로 사용했다고 여겨지는데, 아파토사우루스아과의 휘둘리는 꼬리 속도를 몇몇 학자들은 초음속으로 휘둘러지는 그 꼬리의 속도는 최대 1296km/h까지 달했다고 주장한다. 다만 실제로 무기로 사용해 상대를 타격했을 경우 아파토사우루스아과의 꼬리도 결코 무사할 수 없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무엇보다 친척인 디플로도쿠스가 2022년 연구에서 꼬리를 휘두를 때의 속도가 음속에 다다들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4. 대중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브론토사우루스/창작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론토사우루스/창작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론토사우루스/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 2024년 11월 26일부터 12월 3일까지 1122명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공룡이라는 온라인 투표에서 1위인 티라노사우루스와 2위인 벨로키랍토르 다음으로 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내기도 했다(...).출처 아파토사우루스와 동일속으로 간주되어 속명이 말소된 후 영화 쥬라기 공원으로 큰 인지도를 얻으며 창작물에서 그 인기를 넘겨받은 7위인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물론이고 그 유명한 트리케라톱스보다도 인기가 많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1] 한때는 에오브론토사우루스(Eobrontosaurus)라는 별개의 속으로 있었다.[2] Oxfordian U/Pb ages from SHRIMP analysis for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of southeastern Wyoming with implications for biostratigraphic correlations[3] The Morrison Formation: An Interdisciplinary Study p. 59.[4] Paul, Gregory S. (2010).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3720-9.[5] Molina-Pérez, R.; Larramendi, A. (2020). Dinosaur Facts and Figures: The Sauropods and Other Sauropodomorph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56. ISBN 978-0691190693.[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3nd ed. p. 238.[7] 논문에서는 아파토사우루스 엑켈수스로 나와 브론토사우루스의 뼈도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다.[8] Ontogenetic Histology of Apatosaurus (Dinosauria: Sauropoda): New Insights on Growth Rates and Longevity[9] #[10] 아파토사우루스는 3개, 브론토사우루스는 5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