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2:17

빅 트러블(198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빅 트러블 (1986)
Big Trouble In Little Chin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Big_Trouble_in_Little_China_Film_Poster.jpg
장르 <colbgcolor=#fff>액션
감독 존 카펜터
스트리밍 파일:Disney+ 로고.svg
파일:TVING 로고.svg

[clearfix]
국내 극장판 작은 팜플렛

1. 개요

1986년에 제작한 존 카펜터의 영화. 원제는 '빅 트러블 인 리틀 차이나'(Big Trouble in Little China)이나, 국내에는 빅 트러블이라는 제목으로 극장 개봉했다. 리틀 차이나는 차이나타운을 부르는 말. 주연은 역시나 커트 러셀. 제작사는 SLM 필름 그룹, 배급은 20세기 폭스가 맡았다. 더불어 존 카펜터는 음악을 알런 하워스와 공동으로 맡았다.

존 카펜터의 영화가 대부분 그렇듯 B급 분위기가 풍기는 액션 영화로(다만 이 영화는 저예산은 아니다), 진지함과는 거리가 멀지만 참신한 캐릭터와 요소들이 등장하는 컬트 영화로 엄청난 반향을 준 작품 중 하나다.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온갖 중국풍 판타지스러운 대결이 벌어진다. 참고로 비디오 게임 모탈 컴뱃에 굉장한 영향을 끼친 작품 중 하나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극장 개봉 흥행은 실패했는데 제작비로 2,000만 달러를 들였으나 미국에서는 1,100만 달러 흥행밖에 못 했다. 존 카펜터와 커트 러셀은 원인 중 하나로 하필이면 제임스 카메론의 <에이리언 2>가 개봉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시기적으로 2주 차이로 개봉, 게다가 이 영화가 <에이리언 2>보다 늦게 개봉한 것도 아니고 더 먼저 개봉했고, 주로 영화는 첫 2주 동안에 천체 극장 수익의 반 이상을 올리기 때문에, <에이리언 2> 개봉에 영향을 받았다고 보긴 어렵다. 그래도 비디오 대여같은 2차 시장에서 꽤 수익을 거둬들였으며 존 카펜터 팬들에게는 컬트물로 꽤 찬양을 받은 작품.

미국 개봉 이후 약 40일이 지난 1986년 7월 12일에 국내에 개봉, 서울 관객 13만을 기록하며 어느 정도 흥행은 했다.

8. 기타

파일:external/www.ferdyonfilms.com/big-trouble-little-china2.jpg

이 영화의 악당들이 모탈 컴뱃의 라이덴을 비롯한 '삿갓을 쓰고 전기를 다루는 동양풍 캐릭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2]

어찌보면 중국인을 무슨 판타지 세계로 만들었다는 오리엔탈리즘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으나 아시아인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여러 악역 및 최종 보스도 중국인이지만 주인공을 충실히 돕고 잘 활약하며 악역들과 싸우는 것도 중국인이다. 그만큼 중국인 조연 비중도 높고 반대로 백인 주인공 커트 러셀은 어리버리하며 때론 중국인 조연 도움으로 겨우 위기를 헤쳐나오기도 한다. 사실 커트 러셀은 스크린 타임상 비중만 주인공일 뿐 의외로 사건 해결에 기여하는 바도 적은데, 기묘한 세계에 뛰어든 외부인으로 관객이 이입할 수 있는 대상을 제공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몇몇 장면에서는 아예 대놓고 웃기는 조연들이 하는 역할을 도맡는다.[3] 그래도 주인공이라고 최종 보스가 자신만만하게 나오던 걸 아주 손쉽게 끝낸다. 너무 순식간에 해치워서 어이가 없을 정도로 말이다.[4]

극중 도움을 많이 주는 중국인 쉰으로 나오는 빅터 윙(1927~2001)은 감독의 다음 영화 <프린스 오브 다크니스>(1987)에서도 비중이 꽤 있는 하워드 교수로 나와 악령에게 빙의된 이에게 연필을 눈에 꽂아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마지막 황제>(1987)에서는 실존인물 첸 바오첸(1848~1935)을 연기했다.

참고로 국내에서도 비디오로 제법 인기가 좋았는데 대우비디오 계열 브랜드 CBS/FOX로 정품 비디오가 나오기 전에 화질이 꽤 좋은 해적판 비디오로 꽤 인기를 끌었다. 다만 정품 비디오가 극장 개봉하고 거의 5년 가까이 지나서야 국내에 나온 점도 있지만. 그리고 SBS에서 1992년 11월 6일 창사 1주년[5] 특선 외화로 밤 9시에 더빙 방영했고 1997년 2월 18일에 재방영했다. 다만 최종 보스 이마에 칼을 꽂아버리는 장면은 잘렸다.

우리말 더빙에선 양지운이 커트 러셀을 연기했으며 권희덕이 킴 캐트럴을 연기했다. 그 밖에 데니스 던은 박기량, 최종 보스(오한조)는 김태훈, 그외에 유민석, 김태연, 성병숙, 김익태, 안종익 등이 더빙했다.

원래는 성룡이 주인공의 파트너 역 출연 제의를 받았지만 홍콩 영화에 집중하고 싶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미 <성룡의 살수호>(1980), <프로텍터>(1985) 같은 할리우드 진출작들이 흥행과 비평 양면에서 참혹했고 <캐논볼>(1981)에서도 엑스트라 수준으로 나왔기 때문이었다. 해당 배역은 결국 홍콩계 미국 배우인 데니스 던이 맡았다.

2015년부터 드웨인 존슨 주연으로 리메이크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2017년에 후속이 나온다는 소식도 나왔고, 2023년 12월 기사를 보면 커트 러셀이 대본이 전작보다 낫고 존 카펜터가 감독을 맡는다면 출연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고 하여 계속 논의가 되고는 있지만 성사가 쉽지 않아 보인다.

디즈니 플러스 한국에서는 빅 트러블 인 리틀 차이나라고 한글로 완역하였다!#


[1] 이들 중 한명인 썬더(인간 풍선 폭탄으로 스스로를 팽창시켜 궁전을 무너트리던 그 악당) 역의 황가달은 모탈 컴뱃 11 한정으로 쿵 라오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이 자가팽창 씬은 훗날 모탈 컴뱃: 디셉션에서 보라이쵸의 하라키리로 오마쥬되었다.[2] 윙콩파 두목이자 본 작품 최종 보스 데이비드 로 판은 모탈 컴뱃의 초대 보스 섕쑹의 모티브가 되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윙콩파 엑스트라 조직원으로 출연한 캐리 히로유키 타가와는 훗날 영화판 모탈 컴뱃에서 섕쑹을 연기한다.[3] 칼을 꺼내다 날려먹고 가서 주워오는 새에 중국인 동료가 적을 다 처리한다든가, 호기롭게 천장을 쏘다 떨어진 파편에 맞아 기절한다던가, 보스로 등장하는 중국인 악역이 마치 거대하게 변신할 것처럼 화를 내며 우스꽝스럽게 부풀어오르다 터져 고깃덩어리로 분해된다. 물론 주인공 일행이 빠져나와 여러 개의 핏기 없는 고깃덩어리가 튀어나오는 것으로 순화되어 잔인하지는 않다.[4] 처음에 던진 나이프는 어이없게 빗나갔지만 최종 보스가 되던진 나이프를 잡은 후 재빨리 던져 이마에 박아버렸다. 최종 보스는 그대로 사망했다.[5] 웃기게도 당시 SBS는 창사 2주년이라고 우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