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1:54:59

빅토리아선

빅토리아 선에서 넘어옴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런던 지하철의 노선
파일:베이컬루선 아이콘.svg
베이컬루선
파일:센트럴선 아이콘.svg
센트럴선
파일:서클선 아이콘.svg
서클선
파일:디스트릭트선 아이콘.svg
디스트릭트선
파일:해머스미스 앤 시티선 아이콘.svg
해머스미스 앤 시티선
파일:주빌리선 아이콘.svg
주빌리선
파일:메트로폴리탄선 아이콘.svg
메트로폴리탄선
파일:노던선 아이콘.svg
노던선
파일:피카딜리선 아이콘.svg
피카딜리선
파일:빅토리아선 아이콘.svg
빅토리아선
파일:워털루 앤 시티선 아이콘.svg
워털루 앤 시티선
크로스레일 | DLR | 오버그라운드 | 트램
파일:빅토리아선 아이콘.svg{{{#!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0098D9> 런던 언더그라운드 빅토리아선
London Underground Victoria Line
}}} ||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3743841879_ca8c7180f2.jpg
런던 언더그라운드 2009년식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월섬스토 센트럴
종점 브릭스턴
역 수 16개
구성 노선 빅토리아선
개업일 1968년 9월 1일
소유자 런던
운영자 런던교통공사
사용차량 런던 지하철 2009년식 전동차
차량기지 노섬블랜드 파크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21㎞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직류 630V 제4궤조
신호방식 ATO
최고속도 100km/h
(62mph)
표정속도 38.2km/h
(23.7mph)
지상구간 없음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1968. 09. 01. 월섬스토 센트럴하이버리 & 이즐링턴
1968. 12. 01. 하이버리 & 이즐링턴 ↔ 워렌가
1969. 03. 07. 워렌가 ↔ 빅토리아
1971. 07. 23. 빅토리아 ↔ 브릭스턴
1972. 09. 14. 핌리코

1. 개요2. 역사3. 특징4. 차량5. 역 목록6. 운행 영상

[clearfix]

1. 개요


영국의 흔한 지옥철.

런던 지하철의 노선. 노선색은 연청색. 배차 간격은 평시 2분~2분 30초, 첨두시 1분 30초.[1]

노선명은 런던 빅토리아 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빅토리아 여왕 이름을 따 온 빅토리아 선이 되었다. 런던 지하철에서 최초로 CTC를 도입한 노선이기도 하다. 차량기지는 노섬블랜드 파크 차량기지를 이용하며, 인입선이 세븐 시스터즈 역에서 분기한다. 때문에 낮 시간에 차량기지로 입고하는 브릭스턴 발 세븐 시스터즈 행 열차가 종종 등장한다. 대략 열대가 오면 여섯대는 세븐 시스터즈에서 끊는다. 그렇다고 그거 타고 차량기지 들어가진 말고

2. 역사

런던은 1863년 첫 지하철이 개통한 이후 계속해서 확장해 왔고, 1930년대에 다다르자 용량의 한계를 맞이했다. 그리하여 기존에 있는 노선들 사이로 지나가며 수송량을 분담해줄 새 노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그 사이에 북쪽의 이즐링턴, 토트넘, 월섬스토와 남쪽의 브릭스턴 등 새 주거단지가 개발되어 도심으로 들어가는 수요가 생겨났다.

따라서 1943년 런던 개발계획에는 도심에서는 기존의 피카딜리선베이컬루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함과 동시에 주요 간선역 세 곳을[2] 직선에 가깝게 이어주는 역할을, 외곽에서는 새로 개발되는 구역의 배후교통 역할을 하는 노선의 개념안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선형을 놓고 지루한 공방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 노선은 실제 시공이 이뤄진 1960년까지 20년에 가까운 세월을 설계도 위에서만 보냈다.

1968년 9월 1일, 60년만에 새로운 노선인 빅토리아 선이 월섬스토 센트럴 역에서 하이버리 앤 이즐링턴 역까지 개업하기 시작했다.# 같은해 12월 1일, 하이버리 앤 이즐링턴 역에서 워렌가 역까지 연장되었으며, 1969년 3월 7일 빅토리아 역까지 연장개통하였다. 1971년 7월 23일, 다시 브릭스턴 역까지 연장되었으며 1972년 9월 14일 핌리코 역이 개업하였다.

2016년 8월 19일, 전구간 주말 24시간 운행을 시작하였다.

3. 특징

세계 최초로 전 노선에서 ATO를 실시하였다. 개통 당시부터 자동운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과거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선처럼 문 여닫는것 외에는 전부 자동운전을 하고 있다. 2012년 현재 새로운 버전의 ATO를 도입을 진행하였고, 빗자루질 배차를 기존 시간당 29대에서 시간당 33~35대로 증대시켜서 수송량을 증가시켰다.

여기에 붙였다 저기에 붙였다 해서 연혁이 복잡한 다른 노선과 달리, 이 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때 기획되어 한번에 공사를 진행한 노선이다. 따라서 타 노선과의 숨겨진 연결선이 없고 기존 노선과의 환승역이 엄청나게 많다. 만약 런던 지하철 자동안내방송에 환승 안내음악이 있었다면 역 출발할 때마다 음악이 나와야 할 듯. 런던판 도쿄메트로 한조몬선[3]

특이하게도 역 장내에 험프가 있다.[4] 험프는 주로 조차장에서 쓰는 얕은 언덕인데, 빅토리아 선을 건설할 때 역 장내의 높이를 터널보다 살짝 높여서 장내를 험프로 만들었다. 험프가 있기 때문에 열차가 진입할 때 언덕을 올라가면서 감속하여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고, 출발할 때에는 언덕을 내려가면서 가속하여 저장된 위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해서 타 노선 대비 전기 에너지를 9% 정도 절약할 수 있다고.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면 구형 저항제어 전동차는 열이 덜 나는 효과도 있어 쾌적한(?) 승강장 온도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왜 에너지가 절약되는지 이해가 안 되면 물리Ⅰ 교과서를 보자(...)

버킹엄 궁전 지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다.[5]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가 버킹엄 궁전의 지하 통과를 허용해줘서 빅토리아 선이 궁전 지하를 고대로 통과할 수 있게 됐다.

4. 차량

파일:30440196572_7894af14dd_b.jpg
런던 지하철 2009년식 전동차 내부

2009년형은 1967년형을 대체하고 있으며, 최고시속이 50마일로 올라갔다. 봄바디어 사의 더비 공장에서 만든 제품으로 전 설비 자동화가 되었다.

개통시에는 1967년식 차량과 1972년식 차량을 운영하다가, 2009년에 전량 퇴역시키고 새로운 2009년식 차량으로 교체했다. 해당 항목 참조.

5. 역 목록

파일:victoria-line-v-2022.png

전 구간 주말 24시간 운행한다.
구역 역명 환승노선
3 월섬스토 센트럴
Walthamstow Central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리 벨리(칭포드 구간)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가스펠 오크 ~ 바킹 선(월섬스토 퀸즈 로드 역)
블랙호스 로드역
Blackhorse Road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가스펠 오크 ~ 바킹
토트넘 헤일역
Tottenham Hale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레이터 앵글리아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스탠스테드 익스프레스
세븐 시스터즈역
Seven Sisters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리 벨리(엔필드 타운/체스넛 구간)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가스펠 오크 ~ 바킹(사우스 토트넘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레이터 앵글리아(혼잡시간대 한정운행)
2 핀스버리 파크 역
Finsbury Park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피카딜리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레이트 노던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템즈링크
하이버리 & 이즐링턴 역
Highbury & Islington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노스 & 웨스트 런던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이스트 & 사우스 런던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레이트 노던
1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역
King's Cross St. Pancras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메트로폴리탄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해머스미스 & 시티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서클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노던(뱅크 구간)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피카딜리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헐 트레인(킹스크로스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런던 노스이스턴 레일웨이(킹스크로스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랜드 센트럴(킹스크로스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그레이트 노던(킹스크로스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템즈링크(킹스크로스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이스트 미들랜드 레일웨이(세인트 판크라스 인터네셔널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사우스이스턴(세인트 판크라스 인터네셔널 역)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템즈링크(세인트 판크라스 인터네셔널 역)
파일:유로스타 로고.svg 유로스타(세인트 판크라스 인터네셔널 역)
유스턴 역
Euston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메트로폴리탄(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해머스미스 & 시티(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서클(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노던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 왓포드DC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칼레도니안 슬리퍼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런던 노스웨스턴 레일웨이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아반티 웨스트 코스트
워렌가 역
Warren Street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메트로폴리탄(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해머스미스 & 시티(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서클(유스턴 스퀘어 역)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노던(채링 크로스 구간)
옥스포드 서커스 역
Oxford Circus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센트럴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베이컬루
그린 파크 역
Green Park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피카딜리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주빌리
빅토리아 역
Victoria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디스트릭트(업민스터 구간)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서클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사우스이스턴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서던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개트윅 익스프레스
핌리코 역
Pimlico
1/2 복스홀역
Vauxhall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사우스 웨스턴 레일웨이
2 스톡웰역
Stockwell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 노던(모든 구간)
브릭스턴역
Brixton
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 사우스이스턴

6. 운행 영상

월섬스토 센트럴 → 브릭스턴 운행 영상
브릭스턴 → 월섬스토 센트럴 운행 영상


[1] 첨두시간대에는 시간당 35대(!)씩 밀어닥치고 평시에도 시간당 25대(!!)씩 밀어닥친다. 서울 2호선이 첨두시간대 시간당 25대 수준인 거를 생각해보면 무시무시한 수치.[2] 빅토리아, 유스턴,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3] 빅토리아 선이 핌리코 역을 제외한 전 노선 역이 환승역인 것처럼, 한조몬선도 한조몬역을 제외한 전 노선 역이 환승역이다.[4] 사실 빅토리아선이 처음 한건 아니고 센트럴 선부터 이미 도입했다.[5] 상술했듯 도쿄메트로 한조몬선과 역 1개를 제외하고 모두 환승역이라는 점이 같은데, 우연히 한조몬선도 원 계획에서는 황거 지하를 통과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 2세와 달리 쇼와 덴노는 황거 통과를 허가해주지 않았다. 정확히는 쇼와 덴노는 아무런 실권이 없으므로 당시 일본 내각궁내청이 거부한 것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