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된 나무위키의 사랑방에 대한 내용은 나무위키:보존문서/사랑방 문서
, 사탕에 대한 내용은 사랑방선물 문서
참고하십시오.방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gray> 생활공간 | 거실 · 침실(안방 · 건넌방 · 작은방 · 게스트룸) · 사랑방 · 서재 · 응접실 · 다실 · 부엌 · 욕실 · 화장실 · 파우더룸 · 다용도실 · 골방 · 다락방 · 문간방 · 옥탑방 | |
업무공간 | 사무실 · 회의실 | ||
공공시설 | 다목적실 · 세탁실 · 탈의실 | ||
학교 | 교실 · 연구실(과학실/실험실) · 컴퓨터실 · 교무실 · 보건실 | ||
병원 | 병실 · 수술실 · 응급실 · 중환자실 · 분만실 | ||
기타 | 경비실 · 계단실 · 기계실(보일러실 · 서버실 · 알람밸브실 · 전기실 · 전산실 · 통신실) · 방재실 · 온실 · 지하실 · 차고 · 창고 | }}}}}}}}} |
[clearfix]
1. 개요
사랑방(舍廊房)의 모습 |
청송 한옥마을 한옥체험관의 구조. |
한국식 전통 가옥에 존재하는 공간.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취미를 즐기거나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다. 사랑채나 외당이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 문화에서는 손님이 숙박할 수 있도록 사랑방이 안채와 별도로 존재할 정도로 접대의 관습에 매우 친화적이었다.
초가집 정도에서는 당연히 볼 일이 없고, 나름 규모가 있는 기와집은 되어야 마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한옥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주거는 폐쇄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대문을 열고 들어오면 마당과 생활공간 사이에서 시야에 걸리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이 때문에 손님을 맞이하는 곳 같은 대외적 공간과 사적공간인 안방을 분리하는 용도로 사랑채가 존재한다.
중국 북경의 전통적 주거형태인 사합원에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자연친화적이지만,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을 분리하면서 중간적 역할을 하는 곳을 두는 것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