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00:36:12

사리원급 초계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파일:인민군 해군 선수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정 <colbgcolor=#fefefe,#2d2f34>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어뢰정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경비정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미사일 고속정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해삼급, 신형 미사일 고속정
초계함 사리원급, 트랄급U, 농어급, 신형 대잠 고속정
호위함 서호급R,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구축함 나진급
상륙정 LCM/LCU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LCVP 남포급 LCVP
LCPA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소해함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구조함 고원급
기타 대동-B급 반잠수정, 용도급 연안 고속정, 청진급 공습 어뢰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인간어뢰
※ 윗첨자U: 상태 불명
※ 윗첨자R: 퇴역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attachment/사리원급/Sariwon_class_corvette.jpg
사리원급 초계함

1. 제원2. 개요3. 건조4. 관련 문서

1. 제원

사리원급의 제원
취역 1960 년대
기준 배수량 450 톤
만재 배수량 650 톤
길이 61.5 m
7.5 m
흘수 2.4 m
추진체 2 x 디젤엔진
속력 16 노트
항속거리 5,000 km
무장
함포 4 x 57 mm/80 (2 연장)
4 x 37 mm/6 (2 연장)
기관포 16 x 14.5 mm 기관포 (4 연장)
대잠 2개의 폭뢰투하 장치
30 x RBU-1200 대잠 로켓
(출처)

2. 개요

조선인민군 해군의 초계함 사리원급 초계함.

3. 건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orth_Korean_Navy_ship.jpg
사리원급의 모태가 된 소련 해군의 트랄

소련 해군의 트랄급 호위함을 기초로 하여 조선인민군 해군에서 건조한 초계함이다. 가장 큰 문제는 모델이 된 트랄급 호위함이 1938년(!)에 설계된 배로, 이를 기초로 만들어진 사리원급은 체급에 비해서도 상당히 빈약한 무장과 엔진출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준배수량 480톤에 만재배수량이 650톤으로 작은 편이지만, 북한에서는 압록급 호위함두만급 호위함이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서호급 호위함나진급 구축함 다음으로 3번째로 큰 수상함이었다.

주무장은 57mm 2연장 2기, 14.5mm 4연장 4기, RBU-1200 2기, 대잠폭뢰투하기 2기, 기뢰 30발이다. 미사일 운용능력은 없다. 엔진은 3,000마력 디젤엔진으로 최대속력 16노트~21노트이다.

4. 관련 문서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