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일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제트(유희왕 러시 듀얼)| [[갤럭티카(유희왕)| [[곤둔인충| [[괴의| [[기아스(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낙오자(유희왕)| [[네오 스페이시언(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ㄷ]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다이스(유희왕)| [[다이안 켓|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다크매터(유희왕)| [[더☆|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고닉(유희왕 러시 듀얼)| [[드래곤즈| [[등번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ㄹ]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라브(유희왕)| [[라이스테라스| [[라이징 히어로| [[라이트닝(유희왕 러시 듀얼)| [[레온(유희왕)| [[레전드(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로드 매직| [[로드(유희왕 러시 듀얼)| [[로얄데먼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 [[매그넘 오버로드| [[메타리온|메타리온]] [[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몽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ㅂ]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반골(유희왕)| [[밴드그룹| [[버블리| [[베리프레쉬| [[보이드베르그|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비밀수사관(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ㅅ]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사견(유희왕)| [[사영 다크 루커(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사이버스파이스| [[사이킥비트| [[샤먼 밴디트| [[샤인(유희왕)| [[성전기| [[세븐즈로드| [[셀레브로즈| [[소서러(유희왕 러시 듀얼)| [[수기계| [[스타즈핸드| [[스타캣| [[스페이스(유희왕)| [[썬더비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ㅇ]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아츠엔젤| [[악희| [[암석(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애니매지카| [[액셀원더| [[앤틱 기어(유희왕 러시 듀얼)| [[양계(유희왕)|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어시스턴트(유희왕)| [[엑스큐티|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염 마(유희왕 러시 듀얼)|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음양(유희왕)| [[인조인간(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ㅈ]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저주받은 하인(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저지(유희왕)|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조인테크| [[주사위(유희왕 러시 듀얼)| [[주사천사 리리(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ㅊ]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창구| [[천상(유희왕)| [[체어(유희왕)| [[초밥천사| [[최강(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ㅋ]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카오스(유희왕 러시 듀얼)| [[캇파(유희왕 러시 듀얼)| [[케미스트(유희왕)| [[케미스펫| [[케미칼큐어| [[킹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타마(유희왕)| [[투환향| [[트랜잠(유희왕)| [[트론(유희왕 러시 듀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ㅍ]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랑도(유희왕)| [[퍼포머(유희왕)|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프라임(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ㅎ]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하늘의(유희왕 러시 듀얼)| [[하이브리드라이브| [[하이테크드래곤| [[해피(유희왕 러시 듀얼)| [[핸디레이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헤드헌터즈(유희왕)| [[혜뢰| [[화면(유희왕)| [[화아(유희왕)| [[환괴| [[환인(유희왕)|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A~Z, 특수문자]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CAN:D(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
|
사이버스파이스 | |||||
<colbgcolor=#FBE9D1> 한국판 명칭 | 사이버스파이스 | ||||
일본판 명칭 | サイバースパイス | ||||
영어판 명칭 | Cybersepi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화염 | 사이버스족 | 효과 퓨전 |
[clearfix]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2. 설명
각성의 버스트렉스 팩에서 데뷔한 화염 속성 사이버스족의 테마로, 사이버스 + 스파이스의 조어로 이루어진 테마.[1] 처음으로 등장한 빛과 어둠 속성이 아닌 사이버스족 테마이다.[2]디자인은 기본적으로 핫팟과 위트크로스 데메테르를 제외하면 사이버펑크적인 디자인에 화아 테마에서 볼 법한 쿠노이치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 몬스터들의 이름 또한 향신료 이름에서 따온 것이 특징. 카레 + 닌자라는 모티브에 사이버스족이라는 꽤나 독특한 조합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사용자인 바리벨갸 CPT가 "'자신(전자 두뇌)에 카레빵과 류구 페이저의 비늘로 만든 원단이 들어가 뒤섞인 것' 때문에 폭주해서 자아를 얻었다"는 괴상한 설정을 넣었다. 즉 카레는 카레빵, 직물은 원단[3], 사이버스족은 AI로 연결한 것.
분신술 등 닌자 관련 창작물에서 모티브를 가져 온 화아와는 다르게 현실 닌자의 첩보원에 가까운 모습에서 착안해 상대 덱을 확인하거나 조작하며, 퓨전 몬스터나 시나몬, 위트클로스 데메테르 등으로 이를 어드밴티지로 바꾸는 OCG의 SPYRAL과 비슷한 플레이 컨셉을 갖고 있다.
| |
시나몬, 쿠민, 가람마살라 | 데메테르, 가람마살라 |
3. 카드 목록
3.1. 효과 몬스터
3.1.1. 사이버스파이스 핫팟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핫팟,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ホットポット,
영어판명칭=Cybersepice Hotpo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7 이상 / 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 1장 또는 "스파이스클로스 믹스"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소환 시 상급 사이버스파이스나 퓨전 마법인 스파이스크로스 믹스를 회수할 수 있다. 이 카드 자체도 퓨전 소재로 쓰이는지라 이후 처리도 쉽다.
카드명의 유래는 핫팟. 이름 그대로 혼자 닌자 같은 외형이 아니라 카레 냄비와 서빙 로봇이 합체된 디자인이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3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3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1.2. 사이버스파이스 시나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시나몬,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シナモン,
영어판명칭=Cybersepice Cinnam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7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그 카드가 몬스터(레벨 5 이상)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패의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상대 덱 위 카드가 레벨 5 이상이면 노코스트로 패의 몬스터를 전개할 수 있다. 소환할 몬스터에 제약이 아예 없지만 일반적으로 레벨 5 이상은 투입 매수가 많아야 4분의 1 수준이라 덱 조작이 필수적이다.
카드명의 유래는 계피(시나몬). 공격력 / 수비력 스탯 또한 시나몬을 고로아와세로 표현한 시(4) 나(7)에서 따온 것이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4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4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1.3. 사이버스파이스 터메릭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터메릭,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ターメリック,
영어판명칭=Cybersepice Turmeric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600, 수비력=9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자신의 덱의 카드가 10장 이상이고\, 자신 필드에 이 카드 이외의 앞면 표시 몬스터(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뒷면 표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확인한다. 그 카드가 함정 카드였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카드명의 유래는 강황(터메릭).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5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5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1.4. 사이버스파이스 쿠민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쿠민,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クミン,
영어판명칭=Cybersepice Cum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3, 공격력=900, 수비력=3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그 카드가 몬스터였을 경우\, [그 레벨] × 1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카드명의 유래는 쿠민. 공격력 / 수비력 스탯 또한 쿠민을 고로아와세로 표현한 쿠(9) 민(3)에서 따온 것이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6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6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1.5. 사이버스파이스 너트멕
| |
일러스트 1 | 일러스트 2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너트멕,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ナツメグ,
영어판명칭=Cybersepice Nutmeg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7, 공격력=230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이 카드는 몬스터(사이버스족)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없음,
발동효과=서로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은 그 중에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위나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카드명의 유래는 육두구(넛멕).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8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8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1.6. 사이버스파이스 가람마살라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가람마살라,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ガラムマサラ,
영어판명칭=Cybersepice Garam Masal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자신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넘긴 카드 중의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 300 내린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준수한 2400의 공격력에 더해 상대 덱 위 카드를 참조해 그 카드들의 레벨 당 300 수치로 공격력을 내리는 상당한 전투 능력을 갖고 있다. 3장을 넘기기에 효과가 실패할 일도 적으며 퓨전 몬스터인 커리판드라페리의 마법,함정 제거 효과와 연결한다면 안전하게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핫포트로 샐비지하는 것에 더해 스페이스 콜과 카오스 펨트론으로 빠르게 가져올 수도 있어 사이버스파이스 덱을 굴린다면 주력 어태커로 사용되며 스페이스에서도 서브 어태커로 투입되기도 한다.
카드명의 유래는 가람 마살라.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9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9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2. 퓨전 몬스터
3.2.1. 사이버스파이스 퀸시나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퀸시나몬,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クイーンシナモン,
영어판명칭=Cybersepice Queen Cinnam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9, 공격력=2800, 수비력=2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사이버스파이스 시나몬" + "사이버스파이스 핫팟",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양쪽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그 후\, [그 중의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 1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양쪽 플레이어는 자신이 넘긴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사이버스파이스 시나몬이 성장한 형태의 몬스터.
소재는 시나몬인데 정작 효과는 쿠민과 비슷한 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운만 좋으면 2000 이상의 데미지를 주며 압박할 수 있고 사이버스족 특성상 덱고갈이 자주 발생하니 몬스터를 돌리는 코스트도 나름 유용하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46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46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2.2. 사이버스파이스 카리판드라페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카리판드라페리,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カリーパンドラペリー,
영어판명칭=Cybersepice Curry Bread Pandora Draper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9, 공격력=3300, 수비력=2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사이버스파이스 가람마살라" + "위트클로스 데메테르",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그 중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있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덱 위 4장을 확인하고 거기에 마법, 함정이 있다면 상대의 마법, 함정을 쓸어버릴 수 있다. 대부분의 사이버스파이스 몬스터가 몬스터가 상대 덱 위에 있을 것을 요구하다보니 기믹이 충돌하는 감이 있지만 4장이나 확인하다보니 그걸 감안해도 꽤 높은 확률로 효과를 터트릴 수 있다.
퓨전 소재가 상급 몬스터 둘이지만 패융합이 가능한 전용 퓨전 마법 및 데메테르의 효과로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다.
공격명은 '히히히트 인 더 마우스(ヒィヒィヒート イン ザ マウス)'.
악희 테마의 악귀 카드들을 연상시키는 로봇형 디자인의 에이스.[5] 카드명의 모티브는 '카레빵' + '판도라' + '휘장' 또는 '직물'을 뜻하는 영단어 '드레이퍼리(Drapery)'로 추정.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47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47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2.3. 사이버스파이스 퀸터메릭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스파이스 퀸터메릭,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スパイス・クイーンターメリック,
영어판명칭=Cybersepice Queen Turmeric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9, 공격력=2900, 수비력=2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사이버스파이스 터메릭" + "사이버스파이스 핫팟",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그 중에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었을 경우\, 이 턴에\, 이 카드는 2회 공격할 수 있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사이버스파이스 특유의 덱 조작을 이용하면 2회 공격이 확정적인 몬스터이다.
쉬운 조건을 고려하면 보통은 몬스터에 한정해서 2회 공격을 받았을 것을 이 카드는 공격 대상의 제약이 없다. 그러기에 가람마살라로 타점을 낮춘 몬스터에게 공격 후 직공하는 식으로 단숨에 게임을 끝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2024-08-10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8-JP044 | 幻影のダークマター |
2024-11-19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8-KR044 | 환영의 다크매터 |
3.3. 마법 카드
3.3.1. 스파이스클로스 믹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스파이스클로스 믹스,
일어판명칭=スパイスクロース・ミックス,
영어판명칭=Spice Cross Mix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를 소재로 묘지로 보내고\, 퓨전 소환한다. 그 후\, 상대 묘지의 카드 1장을 고르고 덱 위나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사이버스파이스 전용 퓨전 마법.
융합이나 조인테크 조인트처럼 패의 카드로 퓨전할 수 있기에 상급 몬스터 2장이 필요한 커리판드라페리도 쉽게 꺼낼 수 있고 퓨전 몬스터들의 효과 사용에 필요한 덱 조작까지 수행해준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는 쿠민과 터메릭이 퓨전하는 듯한 모습인데 정작 저 둘 조합으로 소환할 수 있는 퓨전 몬스터는 현재 공개되지 않았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55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55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4. 함정 카드
3.4.1. 스파이스클로스 블랙페퍼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스파이스클로스 블랙페퍼,
일어판명칭=スパイスクロース・ブラックペッパー,
영어판명칭=Spice Cross Black Pepp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에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가 3장 이상 있을 경우\, 상대의 덱의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몬스터(레벨 4 이하) 2장을 포함하는 상대 묘지의 카드 5장을 고른다. 상대는 그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카드명의 유래는 후추(블랙페퍼). 일러스트는 후추통 모양의 총.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61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61 | 각성의 버스트렉스 |
3.4.2. 스파이스클로스 시크릿요리법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스파이스클로스 시크릿요리법,
일어판명칭=スパイスクロース・シークレットレシピ,
영어판명칭=Spice Cross Secret Recip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몬스터(사이버스족)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9 이하) 1장을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상대 묘지의 카드 1장을 고르고 덱의 위나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상대의 소환에 반응해 묘지의 사이버스족을 덱으로 돌리고 상대의 레벨 9 이하를 뒷면 수비로 돌려 무력화시킨다. 거기에 상대 묘지의 카드를 덱으로 돌려줄 수 있다. 쓸모없는 카드를 위로 올려 다음 드로우를 방해하거나 묘지에서 나오면 성가신 카드를 밑으로 돌려 쓸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물론 다른 사이버스파이스 몬스터들의 효과를 준비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
돌리는 몬스터에 속성 제약 등이 없기에 스페이스 등 다른 사이버스족 주축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60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60 | 각성의 버스트렉스 |
4. 관련 카드
4.1. 효과 몬스터
4.1.1. 위트클로스 데메테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위트클로스 데메테르,
일어판명칭=ウィトクロース・デメテル,
영어판명칭=Wheatcloth Demet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7, 공격력=2200, 수비력=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자신이 묘지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있지 않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자신은 [그 중의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카드명의 유래는 데메테르.
조건 때문에 사실상 턴 중 한번이지만 거의 노코스트로 몬스터 소생을 시도할 수 있다. 상대 덱탑 상황을 따지지만 몬스터 비율이 절대적으로 적은 덱이 아닌 이상 하급이라도 살릴 수 있고 덱 조작 기믹으로 커버 가능하다.
종족과 속성으로 테마를 나누는 러시 듀얼 특성상 사이버스파이스 지원을 다 받을 수 있지만 사이버스파이스라는 테마명을 공유하지는 않는다. 데메테르가 풍요와 농업의 여신이라는 것과 이 카드로 퓨전 소환할 수 있는 커리판드라페리가 카레빵을 모티브로 한 카드라는 것을 고려하면 밀(wheat)[6]을 모티브로 삼은 카드. 나머지 이름의 크로스(cloth)는 바리벨갸 CPT의 탄생계기인 원단(천)에서 따온 듯하다.
수록 시리즈 |
2024-05-11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17-JP017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
2024-08-23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RD/KP17-KR017 | 각성의 버스트렉스 |
4.2. 퓨전 몬스터
4.2.1. 위트클로스 데메테르 핫팟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위트클로스 데메테르 핫팟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ウィトクロース・デメテル・ホットポット,
영어판명칭=Wheatcloth Demeter Hotpo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9,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위트클로스 데메테르" + "사이버스파이스 핫팟",
조건=없음,
지속효과=이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자신의 몬스터(레벨 7 이상 / 화염 속성)의 공격은 관통한다.)]
데메테르와 핫팟을 통해 퓨전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용기사 가이아마냥 융합했다기보다는 그냥 같이 있는 일러스트가 특징.
데메테르의 효과로 레벨 1만 나온다거나 해서 상급 몬스터를 소환할 수 없다면 핫팟을 소생시킨 뒤 핫팟으로 스파이스클로스 믹스를 회수해 간단히 꺼낼 수 있다. 퀸터메릭의 2회 공격 능력 등과 조합해 상대의 수비벽을 돌파하며 압박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2025-02-08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RD/KP20-JP046 | 悠久のギャラクティカ |
5. 미발매 카드
5.1. 함정 카드
5.1.1. 스파이스클로스 레드페퍼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스파이스클로스 레드페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スパイスクロース・レッドペッパー,
영어판명칭=Spice Cross Red Pepp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화염 속성 / 사이버스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5장을 넘기고\, 서로 확인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넘긴 카드 중의 몬스터의 수] × 500 내린다. 상대는 넘긴 카드를 원래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카드명의 유래는 고추(레드페퍼).
[1] 컨셉을 고려하면 "스파이"도 노린 것으로 추정된다.[2] 공식에서도 기존 카드군과 독립되게 만들려고 했는지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사이버스족 테마인 스페이스에 빛과 어둠만 쓸 수 있게 만드는 제약을 달아 두었다. 다만 수비력 0 몬스터가 많아 카오스 펨트론 등 서포트를 공유하는 카드가 일부 존재한다.[3] 일단 닌자 하면 두루마리라는 이미지가 있고, 억지로 광섬유의 이미지를 사이버스와 엮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4] 인간형 몬스터들이 착용한 바이저는 반투명이라 눈이 비쳐보이는데, 애니에서는 대부분의 장면에서 그냥 불투명한 고글처럼 표현해버리는 등 캐릭터 디자인이 전혀 반영되지 못 했다.[5] 멋진다고 보기 힘들기도 하고 소재들 디자인이나 테마 자체의 컨셉과 동떨어져있다보니 많이 까이는 편이다.[6] 가장 큰 모티브는 카레빵을 만들 때 필요한 밀가루겠지만, 인도에서 카레에 곁들여 먹는 난 또한 빵인 만큼 밀가루로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