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21 16:05:29

산화수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7CEFA> 기본 정보 원소(할로젠 · 금속 · 준금속 · 비활성 기체 · 동위원소) · 원자(양성자 · 중성자 · 전자) · 분자 · 이온
물질 순물질(동소체 · 화합물) · 혼합물(균일 혼합물 · 불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이성질체
화학 반응 · (앙금) · 작용기 · 가역성 · 화학 반응 속도론(촉매 · 반감기) · 첨가 반응 · 제거 반응 · 치환 반응 · 산염기반응 · 산화환원반응(산화수) · 고리형 협동반응 · 유기반응 · 클릭 화학
화학양론 질량 · 부피 · 밀도 · 분자량 · 질량 보존 법칙 · 일정 성분비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열화학 법칙 엔트로피 · 엔탈피 · 깁스 자유 에너지(화학 퍼텐셜) · 열출입(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총열량 불변의 법칙 · 기체 법칙 · 화학 평형의 법칙(르 샤틀리에의 원리 · 동적평형)
용액 용질 · 용매 · 농도(퍼센트 농도· 몰 농도 · 몰랄 농도) · 용해도(용해도 규칙 · 포화 용액) · 증기압력 · 삼투 · 헨리의 법칙 · 전해질
총괄성 증기압 내림 · 끓는점 오름 · 어는점 내림 · 라울 법칙 · 반트 호프의 법칙
전기화학
·
양자화학
수소 원자 모형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유효 핵전하 ·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전기음성도 · 극성 · 무극성 · 휘켈 규칙 · 분자간력(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수소 결합) · 네른스트 식
전자 배치 양자수 · 오비탈(분자 오비탈 · 혼성 오비탈) · 전자껍질 · 쌓음원리 · 훈트 규칙 · 파울리 배타 원리 · 원자가전자 · 최외각 전자 · 옥텟 규칙 · 우드워드-호프만 법칙
화학 결합 금속 결합 · 진틀상 · 이온 결합 · 공유 결합(배위 결합 · 배위자) · 공명 구조
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 분광학
분석기법 적정 · 기기분석(크로마토그래피 · NMR)
틀:양자역학 · 틀:통계역학 · 틀:주기율표 · 틀:화학식 · 틀:화학의 분과 · 틀:산염기 · 화학 관련 정보 }}}}}}}}}

1. 개요2. 규칙3. 활용법4. 화학Ⅰ에서

1. 개요

산화수(, oxidation number)는 화학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되는 개념으로, 물질 속 원자에 걸리는 상대적 전하량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복잡한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를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온 결합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분명하지만 공유 결합에서는 그렇지 않으므로, 공유 결합에서는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완전히 차지한다고 가정하고 산화수를 구한다. 예컨대 H2O의 경우, 전기음성도가 큰 산소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독차지한다고 가정하면 2[H+][O2-]가 되며, 따라서 수소의 산화수는 +1, 산소의 산화수는 -2이다.

그러나 실제 화학결합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전자쌍을 완전히 차지하는 것은 아니므로 산화수는 어디까지나 가상의 수치이다. 이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화수에 여러 규칙이 존재한다.

2. 규칙

산화수 결정에는 기본 규칙과 보조 규칙이 사용된다. 아래의 4개 기본 규칙은 절대적으로 성립하므로 보조 규칙보다 우선하여 적용한다.
  • 기본 규칙
  • 홑원소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는 0이다.

    1. ex. C, Cl2, P4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는 모두 0이다.
  • 단원자 이온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와 같다.

    1. ex. Na+, Cl-, Mg2+, O2-의 산화수는 각각 +1, -1, +2, -2이다.
  • 다원자 이온의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은 다원자 이온의 전하와 같다.

    1. ex. OH-에서 (O의 산화수) + (H의 산화수) = (이온의 전하) ((-2)+(+1)=(-1))이다.
  • 화합물을 구성하는 모든 원자의 산화수의 합은 0이다.

    1. ex. H2O에서 (H의 산화수) × 2 + (O의 산화수) × 1 = 0 ((+1)×2+(-2)×1=0)이다.

다음으로, 아래의 보조 규칙은 화합물에서 자주 나오는 원소의 산화수를 결정할 때 알아 두면 편리하다. 규칙끼리 상충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부터 따르는데, A, B, C 순으로 우선 순위가 높다.
  • 보조 규칙
  • 화합물에서,
    • 알칼리 금속(1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1이다.
    • 알칼리 토금속(2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2이다.
    • Al의 산화수는 +3이다.
    • F의 산화수는 -1이다.[1] 물론, 위의 기본 규칙을 고려하면 F2에서의 경우 0이다. 이는 아래의 H와 O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1이다. 단, 금속의 수소 화합물에서는 -1이다.[2]
  • 화합물에서 O의 산화수는 -2이다. 단, F와 결합할 때에는 +2이다.[3] 또한 과산화물에서는 -1이다.[4]

3. 활용법

어떤 원자나 이온이 전자를 잃으면(산화) 산화수가 증가하고, 전자를 얻으면(환원) 산화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 전과 후의 산화수를 비교하여 특정 원소가 산화됐는지 환원됐는지, 산화제로 작용했는지 환원제로 작용했는지 따질 수 있다.

실제로 산화수를 이용해서 산화제와 환원제를 파악해 보자. 아래의 반응은 굳이 산화수를 계산하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예시이므로 계산해 보기로 한다.
  • Fe2O3 + 3C → 2Fe + 3CO
이 반응에서 반응 전에는 Fe2O3와 3C가 있고, 탄소의 산화수는 0이다. 산소의 경우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산화수는 -2이다. 화합물 내의 원소들의 산화수 총 합은 0이다. 따라서 철의 산화수는 +3이다. 반응 후에는 2Fe와 3CO가 있고, 철의 산화수는 0이다. 산소의 산화수는 -2이다. 따라서 탄소의 산화수는 +2이다. 산화수의 변화를 정리해 보면
  • Fe: +3 → 0
  • O: -2 → -2
  • C: 0 → +2
철의 산화수가 감소하였으므로 철은 이 반응에서 환원되었다. 그리고 탄소의 산화수는 증가하였으므로 이 반응에서 산화되었다. 따라서 산화제는 Fe2O3이고, 환원제는 C이다.

4. 화학Ⅰ에서

산화수는 산화·환원 반응을 파악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래 선지를 예로 들어 보자.
  • 이 반응식은 산화·환원 반응식이다.
    ☞ 반응 전과 후에 원자 1개라도 산화수의 변화가 있으면 산화·환원 반응식이며, 그렇지 않다면 산화·환원 반응식이 아니다.[5]
  • 이 화합물은 산화되었다. (= 이 화합물은 환원제이다.)
    ☞ 역시 산화수의 변화를 통해 파악한다. 화합물을 이루는 원자 각각이 산화수가 바뀌었는지 확인한 뒤, 바뀐 산화수의 합으로 산화·환원을 판단한다.

[1]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이므로 언제나 전자를 얻기 때문이다.[2] 금속의 전기 음성도가 수소의 전기 음성도(2.1)보다 작기 때문이다.[3] 산소보다 전기음성도가 큰 물질이 플루오린 뿐이기 때문이다.[4] H2O2의 경우, 화합물에서 산화수의 총합은 항상 0이라는 기본 규칙과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 A, B에 의해 O의 산화수가 -1이 된다.[5] 중화 반응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