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8:36:33

살렘 알 다우사리

살렘 알다우사리에서 넘어옴

파일:알 힐랄 SFC 엠블럼(화이트).svg
알 힐랄 SFC 2024-25 시즌 스쿼드
3 쿨리발리 · 4 K. 알 다우사리 · 5 알 불라이히 · 6 헤낭 로지 · 7 알 간남 · 8 네베스 · 9 미트로비치
11 M. 레오나르두 · 12 알 샤흐라니 · 16 N. 알 다우사리 · 17 알 야미 · 20 주앙 칸셀루21 알 오와이스
22 세르게이 · 24 알 하르비 · 27 카이우ㆍ28 칸노 · 29 S. 알 다우사리 · 32 알 뮤프리지
37 부누ㆍ56 알 카타니 · 60 알 조베야 · 77 마우콩 · 87 알 탐바크티 · 88 알 야미 · 99 알 함단
파일:UEFA EURO POR.png 조르제 제수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살렘 알 다우사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
}}} ||
파일:Salem Al Dawsari 24/25.png
알 힐랄 SFC No. 29
살렘 알 다우사리
سالم الدوسري | Salem Al-Dawsari
<colbgcolor=#0028f0><colcolor=#ffffff> 본명 살렘 모함메드 샤피 알 다우사리
سالم محمد شافي الدوسري
Salem Mohammed Shafi Al-Dawsari
출생 1991년 8월 19일 ([age(1991-08-19)]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사우디아라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2cm / 체중 71kg
포지션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28f0><colcolor=#ffffff> 선수 알 힐랄 SFC (2011~ )
비야레알 CF (2018 / 임대)
국가대표 90경기 23골[1] (사우디아라비아 / 2012~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의 알 힐랄 SFC 소속 축구 선수. 현재 소속팀의 주장, 대표팀의 부주장을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알 힐랄 SFC

2011년 데뷔 이후 2018년 비야레알 CF 임대(1경기 출전)를 제외하고는 계속 알 힐랄에서 뛰었으며, 2021년 AFC 챔피언스리그 MVP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포항을 상대로 67분 더티플레이를 시전하며 시간을 끌기도 하였다.(...) 그런데 웃음포인트는 심판은 이 행동을 보고 경고도 주지 않았다...[2]

2022년에도 알 힐랄에서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다.

클럽 월드컵 4강에서 남미 챔피언이자 브라질의 명문 플라멩구를 만났는데 PK 멀티골을 넣으며 알 힐랄의 3:2 승리라는 이변을 만들었고 사상 첫 결승행을 이뤄냈다. 결승 상대는 유럽 챔피언 레알 마드리드가 될 확률이 매우 높다.
AFC 챔피언스리그 4강에서 카타르의 알 두하일을 상대로 1골 2도움을 올리며 7:0 대승을 이끌었다 [3]

결승전 우라와 레즈 전에서도 1차전에서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막판 퇴장을 당하는 바람에 2차전에서 나오지 못했고, 알 힐랄은 결국 2차전에서 1:0으로 패하면서 우승이 좌절됐다.

현지 시간 2023년 10월 31일, AFC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2년 호주와의 원정 경기를 통해 A대표팀에 데뷔했으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의 개막전에서 개최국 러시아를 상대로 0-5 패배를 당하는 굴욕을 당했음에도 팀의 선봉에서 활약했고, 마지막 경기인 이집트전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역전골을 터뜨리며 월드컵 본선에서 24년 만의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조별예선 C조 1차전 아르헨티나를 상대로도 2-1을 만드는 역전 원더골을 성공시켰다. 그것도 아르헨티나의 내로라 하는 수비수들 4명을 상대로 공을 지켜내며 터뜨린 역전골이었다.[4] 결국 이 골에 힘입어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에서 남미 팀을, 그것도 우승 후보로 꼽히는 팀을[5] 이겨버리는 성과를 거뒀고, 알다우사리 본인은 그야말로 역전의 용사로서의 모습을 보이며 든든하게 팀을 이끌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C조/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 항목에 있다.[6]

그러나 2차전 폴란드를 상대로는 천금같은 페널티킥 기회를 날려버리며 패배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7]

3차전에서는 멕시코를 상대로 95분 만회골을 넣었으나 팀은 16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하고 말았다. 그는 이번 골로 월드컵 통산 3골을 기록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의 최다 월드컵 득점자에 등극하였다.[8]

대한민국과의 2023 아시안컵 16강전에서 1대0으로 승기를 이미 잡은듯 했던 84분에 체력안배 겸 수비강화를 위해 압둘라흐만 가리브와 교체되어 나갔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종료직전에 동점골을 넣고 경기는 승부차기까지 갔는데, 자신 대신 들어간 가리브가 팀의 패배를 사실상 확정짓는 두 번째 실축을 했고, 그렇게 자신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아시안컵에서 씁쓸한 탈락을 했다.

2026월드컵 3차예선에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있다. 1차전 인도네시아 상대 1-1로 팽팽히 맞서던 시점 페널티킥을 얻었으나 실축을 해버려 사우디의 승리를 날려버렸으며 4차전 바레인전 역시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무승부에 일조하였다. 자기손으로 승점 4점을 날려버리며 사우디는 월드컵진출에 노란불이 켜졌다

다행히도 2025년 3월 21일 중국과의 2026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홈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으며 한숨을 돌렸으며 POTM에 선정되었다. #.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

속도가 빠르고 기술적이다. 이뿐만 아니라 유연해서 돌파능력도 좋다.

6. 여담

  • 알 힐랄의 에이스이자 알 힐랄 팬들에게 살만 알파라지와 더불어 인기가 가장 많다.
  • 또한 사우디 축구 국가대표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펼치며 자국 팬들에게 에이스라는 평을 받고있다.
  • 세리머니가 꽤 화려한데, 주변에 사람을 비키게 한 뒤에 그 빈 자리에서 공중제비를 2연속으로 돈다. 알 힐랄에서도, 사우디 국대에서도 이 세리머니를 했다.

7. 같이 보기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흰색).svg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006000;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모하메드 알 야미
(Mohammed Al-Yami)
1997년 8월 14일 ([age(1997-08-14)]세) 5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21 모하메드 알 오와이스
(Mohammed Al-Owais)
1991년 10월 10일 ([age(1991-10-10)]세) 34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파와즈 알 카르니
(Fawaz Al-Qarni)
1992년 4월 2일 ([age(1992-04-02)]세) 10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아민 부카리
(Amin Bukhari)
1997년 5월 2일 ([age(1997-05-02)]세) 0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DF - 야세르 알 샤흐라니
(Yasser Al-Shahrani)
1992년 5월 25일 ([age(1992-05-25)]세) 68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12 사우드 압둘하미드
(Saud Abdulhamid)
1999년 7월 18일 ([age(1999-07-18)]세) 4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모함메드 알 브레이크
(Mohammed Al-Breik)
1992년 9월 15일 ([age(1992-09-15)]세) 34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알리 알 불라이히
(Ali Al-Bulaihi)
1989년 11월 21일 ([age(1989-11-21)]세) 29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술탄 알 간남
(Sultan Al-Ghanam)
1994년 5월 6일 ([age(1994-05-06)]세) 19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하산 알 탐바크티
(Hassan Al-Tambakti)
1999년 2월 9일 ([age(1999-02-09)]세) 1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압둘레라 알 암리
(Abdulelah Al-Amri)
1997년 1월 15일 ([age(1997-01-15)]세) 11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지야드 알 사하피
(Ziyad Al-Sahafi)
1994년 10월 17일 ([age(1994-10-17)]세) 11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 알리 라자미
(Ali Lajami)
1996년 4월 24일 ([age(1996-04-24)]세) 1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MF - 살만 알파라지 파일:주장 아이콘.svg
(Salman Al-Faraj)
1989년 8월 1일 ([age(1989-08-01)]세) 67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살렘 알 다우사리
(Salem Al-Dawsari)
1991년 8월 19일 ([age(1991-08-19)]세) 64 1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압둘라 오타이프
(Abdullah Otayf)
1992년 8월 3일 ([age(1992-08-03)]세) 42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하탄 바헤브리
(Hattan Bahebri)
1992년 7월 16일 ([age(1992-07-16)]세) 33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 모하메드 칸노
(Mohamed Kanno)
1994년 9월 22일 ([age(1994-09-22)]세) 29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압둘라지즈 알 비시
(Abdulaziz Al-Bishi)
1994년 3월 11일 ([age(1994-03-11)]세) 17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 압둘라흐만 가리브
(Abdulrahman Ghareeb)
1997년 3월 31일 ([age(1997-03-31)]세) 13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 SFC
- 사미 알 나지
(Sami Al-Najei)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11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알리 알 하산
(Ali Al-Hassan)
1997년 3월 4일 ([age(1997-03-04)]세) 6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 나세르 알 다우사리
(Nasser Al-Dawsari)
1998년 12월 19일 ([age(1998-12-19)]세) 4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19 압둘라흐만 알 아부드
(Abdulrahman Al-Aboud)
1995년 6월 1일 ([age(1995-06-01)]세) 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17 칼리드 알 간남
(Khalid Al-Ghannam)
2000년 11월 7일 ([age(2000-11-07)]세) 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FW - 피라스 알 부라이칸
(Firas Al-Buraikan)
2000년 5월 14일 ([age(2000-05-14)]세) 20 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파테 FC
- 압둘라 알 함단
(Abdullah Al-Hamdan)
1999년 9월 12일 ([age(1999-09-12)]세) 18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5월 29일
}}}}}}}}}}}} ||

1 알야미 · 2 알간남 · 3 마두 · 4 알암리 · 5 알불라이히 · 6 알브레이크 · 7 알파라지 · 8 알말키 · 9 알부라이칸
10 알다우사리 · 11 알셰흐리 · 12 압둘하미드 · 13 알샤흐라니 · 14 오타이프 · 15 알하산 · 16 알나지 · 17 알탐바크티 · 18 알아비드
19 바헤브리 · 20 알아부드 · 21 알오와이스 · 22 알아키디 · 23 칸노 · 24 알다우사리 · 25 아시리 · 26 샤라힐리

1 알루바이에 · 2 알스쿠르 · 3 알살룰리 · 4 라자미 · 5 알불라이히 · 6 알무왈라드 · 7 알리 · 8 알말키 · 9 알부라이칸 · 10 알다우사리
11 알셰흐리 · 12 압둘하미드 · 13 카데시 · 14 하지 · 15 알하이바리 · 16 알나지 · 17 알탐바크티 · 18 알아가리브비드 · 19 하미드
20 라디프 · 21 알 나자르 · 22 알카사르 · 23 칸노 · 24 알다우사리 · 25 알브레이크 · 26 알감디

[1] 2024년 10월 16일 기준[2] 이 심판이 같은 중동국가인 UAE 출신 이여서 많은 커뮤니티에선 경기내내 알 힐랄을 향한 편파판정 논란이 일었다.[3] 이 경기는 ACL 역대 토너먼트 경기 중 최다 점수 차 경기이다.[4] 해당 골은 FIFA 선정 카타르 월드컵 베스트 골 6위로 선정되었다![5] 아르헨티나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실제로 우승했다.[6] 이 경기로 잠시나마 C조의 1위가 사우디아라비아, 4위가 아르헨티나였다.[7] 이걸 성공시켰다 하더라도 사우디의 4위는 변함 없었겠지만 본인이 멕시코 전에서 추격의 골 까지 넣지 않았더라면 멕시코가 16강에 올라가고 폴란드는 탈락할 뻔했다. 즉 폴란드에게는 영웅이 된 반면 멕시코에게는 역적이 된 꼴이다.[8] 1994, 1998, 2006년 1골씩 득점을 기록한 사미 알 자베르와 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