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8:46:12

서민석(e스포츠)

서민석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단장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김성훈
Kim Seonghoon
이지훈
Jihun
정회윤
Becker
김동규
Kim Dongkyu
최현준
Choi Hyunjoon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김해찬
Harry
신현석
Sin Hyunsuk
차민규
Cha Minkyu
서민석
BIGfafa
박정석
Reach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01725> 시즌 대회 우승팀 코치진
LMSLST의 재합병으로 PCS 출범.
2020 시즌 스프링 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 Bigfafa · Saroo
서머 파일:Machi E-Sports no text.png파일:Machi E-Sports no text white.png Mountain · Gengar · Leo · Dreamer · Dee · SoCool 
2021 시즌 스프링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Helper · Winged · Yuwan
서머
2022 시즌 스프링 CorGi · Tom · Maru · Yuwan
서머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KMT · Achie
2023 시즌 스프링 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 CorGi · Zero · Maru
서머
2024 시즌 스프링 CorGi · Zero · Ale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2094F> MSS Mid-Season Showdown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373a3c> 연도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Sub_icon.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02094F> 2020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대만 국기.svg
Hanab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iv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ndy
파일:홍콩 국기.svg
Unified
파일:홍콩 국기.svg
Kaiwing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igfaf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aroo
2020 MSI의 취소로 VCS와 PCS 스프링 상위 2팀을 초청해 개최된 대체격 대회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역대 감독
}}}
{{{#!wiki style="color: #de2027;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시경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희근
SoulStrikes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민석
Bigfafa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지훈
sBs

(2020~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영철
irean

(2022~2024)
<rowcolor=#fff> 5대 6대
감독 대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진
Chelly

(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진
Chelly

(2024~)
}}}}}}}}} ||

파일:Bigfafa.jpg
<colbgcolor=#1102a3><colcolor=#fff> DRX 단장
BIGfafa
[1]
서민석 (Seo Min-Seok)
출생 1988년 12월 10일 ([age(1988-12-10)]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 펼치기 · 접기 ]
Midas FIO 감독
(2013.12 ~ 2014.04.27)
Xenics ModsLook 감독[2]
(2014.04.27 ~ 2015.01.05)
2144 Gaming 코치
(2015.01 ~ 2015.03)
2144 Danmu Gaming 코치
(2015.03 ~ 2015.05)
Team WE Future 감독
(2015.05 ~ 2015.07)
Royal Never Give Up 코치
(2015.07 ~ 2015.09)
MF Gaming 감독
(2015.09 ~ 2016.01)
Thor Gaming 코치
(2016.01 ~ 2016.05)
Storm Gaming 코치
(2016.11.17 ~ 2016.11.20)
Now or Never 감독
(2017.01 ~ 2017.04)
MEGA 감독
(2019.03.14 ~ 2019.05.09)
Team Dynamics 감독
(2019.05.27 ~ 2019.10.01)
PSG Talon 감독
(2020.01.08 ~ 2020.10.27)
Thunder Talk Gaming 단장
(2022.12.16 ~ 2023.06.08)
DRX 단장
(2024.06.28 ~)
1. 개요2. 2025년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現 DRX 단장.

2014년 두 한국팀[3], 2019년 농심 레드포스의 전신인 팀 다이나믹스에서 감독으로 활동한 것 이외엔 중국과 대만에서 감독직으로 활동하다[4] 2024년 DRX의 새로운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2. 2025년

2.1. LCK 스토브리그/2024

DRX 단장으로서의 실질적인 첫 시즌.

스토브리그 개시 전에는 2020년과 2022년으로의 복귀를 선언하며 DRX가 다시 과거의 선수들에게 접촉한다는 찌라시가 나왔고, 에펨코리아와 디시인사이드 DRX 마이너 갤러리 등에 당당하게 나타나서 디스코드를 통해 소통하는 단장 이미지를 구축하는가 했으나 첫 소통부터 킹겐, 표식등의 옛 선수들에게 전부 거절당했다는 말이 나오며 평가가 떨어졌다. 이후 월즈 경험자가 무려 4명이나 되는 엔트리를 구축할 것이라고 하고 넌지시 베릴 영입을 암시하며[5] 어떻게든 민심을 다시 돌려놓았다.

하지만 결국 베릴은 친정팀 디플러스 기아로 떠났고, 과거의 영광을 강조한거 치고는 결국 결과치가 반 시즌 휴식한 리치를 탑으로, 중국에서도 인상적이지 않았던 유칼을 미드로[6], 화룡점정으로 베릴이 아니라 사실 1996년생 이그나로 서포터 자리를 매꾼다는[7] 처참한 로스터가 썰로 들리질 않나. 칸을 복귀시키려 했다가 군 문제로 정중하게 거절당하고[8], 심지어 징계를 받은 클리드의 영입 시도를 했다는 말까지 들리면서 DRX 팬들에게 평가가 상당히 떨어지고 말았다.[9][10] 오죽하면 최상인이 그립다는 말까지 나올 지경. 표식 접촉건도 2배를 불렀는데 영입에 실패했다고 밝혔지만 진상은 2024년 KT로 들어가면서 상당한 페이컷을 한 표식의 연봉에다가 2배를 불러 8억으로 오퍼했고, 광동이 12억을 불러 표식은 고민 끝에 광동으로 향했다는 찌라시가 돌면서 결국 돈을 안 쓴 거 아니냐며 DRX 팬들에게 더더욱 욕을 먹고 있다.

로스터 공개 후에도 평가가 여전히 반전되지 못하고 있다. 리치-주한-유칼-테디-안딜/플레타로 확정되며 고점만 보면 충분히 강팀이 될 수 있지만, 선수들이 저점을 무시할 수 없는 스쿼드이며, 단장 본인이 했던 많은 말들과 반대되는 행보를 보이며 민심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또한, 여전히 커뮤니티와 인스타그램을 남발하는 것에 대해서도 입만 신나게 털 줄 알지 실속은 없다는 점에서 일명 찐빠라고 불리우며 비난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그렇게나 자신만만했던 서포터 자리를 이그나도 못 사오고 안딜을 이적료까지 주고 사온게 드러나고, 정작 서머 시즌에 재계약했고 어느 정도 테디의 후계자로 낙점받던 파덕은 정황상 FA로 보낸게 드러나면서 더더욱 욕을 먹고 있다.

이후 LCK 컵에서 보여준 DRX의 경기력이 꽤나 괜찮은지라 여론 반전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여론은 아직은 용서받을 수준이 아니라는 평이다. 오히려 입을 안 털었으면 지금쯤 DRX 팬덤에게 찬양받고 있었겠지만 이를 걷어찬 게 본인이라는 냉정한 여론이 대다수.

3. 여담

  • PCS와 LPL에서 근무할 때는 에펨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게시판에 '서감독'이라는 닉네임으로 자주 출몰했다. 해외 소속 관계자로서 겪는 썰을 종종 풀기도 해서 인기가 좋았는데, 25년엔 국내 팀인 DRX로 오다보니 해외 소속일때와는 다르게 국내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것은 자중해야해서 펨코를 탈퇴했다.


[1] 前 SEOK[2] Xenics Storm 단일팀 이전
(2014.04.27 ~ 2014.11.17)
[3] Midas FIO, 제닉스[4] 2020년 PSG의 감독으로 스프링 우승 커리어 및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진출 경력을 보유하였다.[5] 옛 선수의 리턴, 월즈 경험자, 오더 되는 서포터라고 설명했다.[6] 사실 팀이 맛이 갔으니 잘하다가도 무너질 수밖에 없긴 했다.[7] 거짓말은 안 했다. 월즈 경험이 있긴 하고 오더도 되긴 하고 롱주-IM 시절 있었으니 리턴은 맞기 때문.[8] 이번에 디플러스 기아로 복귀할 때 코치가 아닌 어드바이저로 영입된 이유도 언제 군입대를 할 지 모르기 때문이다.[9] 솔랭 성적은 좋으나 징계가 2월에 풀린다. 2월 이전에 열릴 LCK컵이나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는 포기한다는 말이나 다름없는 셈. 거기다 방송이 성공했다지만 여전히 성희롱 논란도 차치할 수 없으며 클리드 본인은 예상 외로 방송이 대성공한 덕에 방송인으로 남을 생각이 커 보인다.[10] DRX 마이너 갤러리는 클리드 소식을 듣자마자 소통하자고 찾아왔던 서단장의 고닉을 바로 차단해버렸다. 차단 사유는 소통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