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1F2023><colcolor=#808000> 본편 | <colbgcolor=#F0E68C>발매작 : 왕좌의 게임 | 왕들의 전쟁 | 검의 폭풍 | 까마귀의 향연 | 드래곤과의 춤 미발매작 : 겨울의 바람 | 봄의 꿈 | |||||||
외전 | 덩크와 에그 이야기 | 얼음과 불의 세계 | 불과 피 | ||||||||
미디어믹스 | 왕좌의 게임 | 하우스 오브 드래곤 | ||||||||
세계관 | 세계관 | 등장 세력과 인물 | 지역 | 생물 | 종교 및 신화 | 마법 | 노래 | ||||||||
기타 | 영감 및 실제 역사와의 유사점 | 비판 | }}} }}} }}} |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rowcolor=#fff> 제8회 (1978년) | 제10회 (1980년) | 제11회 (1981년) | 제12회 (1982년) | 제13회 (1983년) |
『실마릴리온』 J. R. R. 톨킨 | Harpist in the Wind 퍼트리샤 A. 맥킬립 | Lord Valentine's Castle 로버트 실버버그 | The Claw of the Conciliator 진 울프 | The Sword of the Lictor 진 울프 | |
<rowcolor=#fff> 제14회 (1984년) | 제15회 (1985년) | 제16회 (1986년) | 제17회 (1987년) | 제18회 (1988년) | |
『아발론의 안개』 매리언 짐머 브래들리 | Job: A Comedy of Justice 로버트 A. 하인라인 | Trumps of Doom 로저 젤라즈니 | Soldier of the Mist 진 울프 | Seventh Son 오슨 스콧 카드 | |
<rowcolor=#fff> 제19회 (1989년) | 제20회 (1990년) | 제21회 (1991년) | 제22회 (1992년) | 제23회 (1993년) | |
Red Prophet 오슨 스콧 카드 | Prentice Alvin 오슨 스콧 카드 | 『테하누』 어슐러 K. 르 귄 | Beauty 셰리 S. 테퍼 | Last Call 팀 파워스 | |
<rowcolor=#fff> 제24회 (1994년) | 제25회 (1995년) | 제26회 (1996년) | 제27회 (1997년) | 제28회 (1998년) | |
The Innkeeper's Song 피터 S. 비글 | Brittle Innings 마이클 비숍 | Alvin Journeyman 오슨 스콧 카드 | 『왕좌의 게임』 조지 R.R. 마틴 | Earthquake Weather 팀 파워스 | |
<rowcolor=#fff> 제29회 (1999년) | 제30회 (2000년) | 제31회 (2001년) | 제32회 (2002년) | 제33회 (2003년) | |
『왕들의 전쟁』 조지 R.R. 마틴 |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J. K. 롤링 | 『검의 폭풍』 조지 R.R. 마틴 | 『신들의 전쟁』 닐 게이먼 | 『상흔』 차이나 미에빌 | |
<rowcolor=#fff> 제34회 (2004년) | 제35회 (2005년) | 제36회 (2006년) | 제37회 (2007년) | 제38회 (2008년) | |
Paladin of Souls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 Iron Council 차이나 미에빌 | Anansi Boys 닐 게이먼 | The Privilege of the Sword 엘런 쿠시너 | Making Money 테리 프래쳇 | |
<rowcolor=#fff> 제39회 (2009년) | 제40회 (2010년) | 제41회 (2011년) | 제42회 (2012년) | 제43회 (2013년) | |
『라비니아』 어슐러 K. 르 귄 | 『이중 도시』 차이나 미에빌 | Kraken 차이나 미에빌 | 『드래곤과의 춤』 조지 R.R. 마틴 | The Apocalypse Codex 찰스 스트로스 | |
<rowcolor=#fff> 제44회 (2014년) | 제45회 (2015년) | 제46회 (2016년) | 제47회 (2017년) | 제48회 (2018년) | |
『오솔길 끝 바다』 닐 게이먼 | The Goblin Emperor 사라 모네트 | 『업루티드』 나오미 노빅 | All the Birds in the Sky 찰리 제인 앤더스 | 『석조 하늘』 N. K. 제미신 | |
<rowcolor=#fff> 제49회 (2019년) | 제50회 (2020년) | 제51회 (2021년) | 제52회 (2022년) | 제53회 (2023년) | |
Spinning Silver 나오미 노빅 | Middlegame 섀넌 맥과이어 | 『우리는 도시가 된다』 N. K. 제미신 | Jade Legacy 폰다 리 | Babel R. F. 쿠앙 | |
<rowcolor=#fff> 제54회 (2024년) | 제55회 (2025년) | 제56회 (2026년) | 제57회 (2027년) | 제58회 (2028년) | |
Witch King 마샤 웰스 | - | - | - | - |
검의 폭풍 A Storm of Swords | |
<nopad> | |
장르 | 하이 판타지 |
작가 | 조지 R.R. 마틴 |
번역가 | 이수현 |
출판사 | |
발행일 |
1. 개요
얼음과 불의 노래의 3부.2001년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 부문 수상작이며, 네뷸러상과 휴고상 후보 작품이기도 하다. 휴고상에 노미네이션된 것은 시리즈에서 처음이다.
3부에서 처음으로 POV를 맡은 캐릭터들은 제이미 라니스터와 샘웰 탈리이다. 프롤로그는 밤의 경비대 대원 체트, 에필로그는 프레이 가문의 메렛 프레이의 시점에서 진행된다.
2. 줄거리
현재 나온 책들 중 가장 평이 좋은 권이다. 피의 결혼식, 조프리 바라테온의 결혼식과 죽음(일명 Purple wedding), 티리온의 결투 재판과 오베린 마르텔의 죽음, 캐슬 블랙 전투와 존 스노우의 총사령관 선출, 대너리스의 노예상의 만 정복과 통치의 시작, 티리온의 타이윈 살해, 에필로그의 캐틀린의 부활과 복수에 이르기까지 극적인 사건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독자들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한다.3. 챕터별 요약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의 폭풍/챕터별 요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의 폭풍/챕터별 요약#|]][[검의 폭풍/챕터별 요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오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의 폭풍/오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의 폭풍/오역#|]][[검의 폭풍/오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기타
- 소설 출판 한 달 후인 2000년 12월에, 이 책의 대너리스 타르가르옌 챕터가 SF 잡지 아시모프의 사이언스 픽션(Asimov's Science Fiction)에 '드래곤의 길'(Path of the Dragon)이라는 중편 소설로 수록되었다.
- 실질적으로 '1부 완결'의 느낌이 나는 권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지 마틴이 이 책과 다음 책 사이에 작중 시간으로 몇 년의 공백기를 넣으려 한 적도 있을 정도.
- 국내에서 최초 번역본 발매 당시에는 "성검의 폭풍"으로 번역되었다. 물론 책에 성검 따위는 안 나온다.[1] 대체 어떻게 Swords를 성검으로 번역했는지 미스테리. 이쯤되면 번역가의 역량이 의심되는 수준. 결국 2018년 7월 발매된 전면 개정판에서는 검의 폭풍으로 고쳐나왔다.
[1] 보는 관점에 따라 스타니스의 라이트브링어를 성검으로 볼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오역임은 변함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