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00:52:45

이중 도시

《이중 도시》의 수상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휴고상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제1회
(1953년)
제2회
(1955년)
제3회
(1956년)
제5회
(1958년)*
알프리드 베스터
파괴된 사나이
마크 클리프턴, 프랭크 라일리
They'd Rather Be Right
로버트 A. 하인라인
더블 스타
프리츠 라이버
《빅 타임》
<rowcolor=#fff>제6회
(1959년)
제7회
(1960년)
제8회
(1961년)
제9회
(1962년)
제10회
(1963년)
제임스 블리시
《양심의 문제》
로버트 A. 하인라인
스타십 트루퍼스
월터 M. 밀러 주니어
리보위츠를 위한 찬송
로버트 A. 하인라인
낯선 땅 이방인
필립 K. 딕
높은 성의 사나이
<rowcolor=#fff>제11회
(1964년)
제12회
(1965년)
제13회
(1966년)
제14회
(1967년)
클리퍼드 시맥
《여기 별들이 모이다》
프리츠 라이버
The Wanderer
프랭크 허버트
로저 젤라즈니
《내 이름은 콘래드》
로버트 A. 하인라인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rowcolor=#fff>제15회
(1968년)
제16회
(1969년)
제17회
(1970년)
제18회
(1971년)
제19회
(1972년)
로저 젤라즈니
신들의 사회
존 브러너
Stand on Zanzibar
어슐러 K. 르 귄
어둠의 왼손
래리 니븐
링월드
필립 호세 파머
《가라, 흩어진 너희 몸들로》
<rowcolor=#fff>제20회
(1973년)
제21회
(1974년)
제22회
(1975년)
제23회
(1976년)
제24회
(1977년)
아이작 아시모프
신들 자신
아서 C. 클라크
라마와의 랑데부
어슐러 K. 르 귄
빼앗긴 자들
조 홀드먼
영원한 전쟁
케이트 윌헬름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rowcolor=#fff>제25회
(1978년)
제26회
(1979년)
제27회
(1980년)
제28회
(1981년)
제29회
(1982년)
프레데릭 폴
Gateway
본다 N. 매킨타이어
Dreamsnake
아서 C. 클라크
낙원의 샘
조앤 D. 빈지
The Snow Queen
C. J. 체리
《다운빌로 스테이션》
<rowcolor=#fff>제30회
(1983년)
제31회
(1984년)
제32회
(1985년)
제33회
(1986년)
제34회
(1987년)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의 끝
데이비드 브린
스타타이드 라이징
윌리엄 깁슨
뉴로맨서
오슨 스콧 카드
엔더의 게임
오슨 스콧 카드
《사자의 대변인》
<rowcolor=#fff>제35회
(1988년)
제36회
(1989년)
제37회
(1990년)
제38회
(1991년)
제39회
(1992년)
데이비드 브린
The Uplift War
C. J. 체리
Cyteen
댄 시먼스
히페리온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보르 게임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바라야 내전
<rowcolor=#fff>제40회
(1993년)
제41회
(1994년)
제42회
(1995년)
제43회
(1996년)
버너 빈지
심연 위의 불길
코니 윌리스
둠즈데이 북
킴 스탠리 로빈슨
《녹색 화성》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미러 댄스
닐 스티븐슨
《다이아몬드 시대》
<rowcolor=#fff>제44회
(1997년)
제45회
(1998년)
제46회
(1999년)
제47회
(2000년)
제48회
(2001년)
킴 스탠리 로빈슨
《푸른 화성》
조 홀드먼
Forever Peace
코니 윌리스
《개는 말할 것도 없고》
버너 빈지
A Deepness in the Sky
J. K. 롤링
해리 포터와 불의 잔
<rowcolor=#fff>제49회
(2002년)
제50회
(2003년)
제51회
(2004년)
제52회
(2005년)
제53회
(2006년)
닐 게이먼
신들의 전쟁
로버트 J. 소이어
Hominids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Paladin of Souls
수재나 클라크
《조나단 스트레인지와 마법사 노렐》
로버트 찰스 윌슨
Spin
<rowcolor=#fff>제54회
(2007년)
제55회
(2008년)
제56회
(2009년)
제57회
(2010년)
버너 빈지
Rainbows End
마이클 셰이본
유대인 경찰연합
닐 게이먼
그레이브야드 북
파올로 바치갈루피
와인드업 걸
차이나 미에빌
이중 도시
<rowcolor=#fff>제58회
(2011년)
제59회
(2012년)
제60회
(2013년)
제61회
(2014년)
제62회
(2015년)
코니 윌리스
《블랙아웃》
《올 클리어》
조 월턴
《타인들 속에서》
존 스칼지
레드셔츠
앤 레키
사소한 정의
류츠신(저자)
켄 리우(역자)
삼체
<rowcolor=#fff>제63회
(2016년)
제64회
(2017년)
제65회
(2018년)
제66회
(2019년)
제67회
(2020년)
N. K. 제미신
다섯 번째 계절
N. K. 제미신
《오벨리스크의 문》
N. K. 제미신
《석조 하늘》
메리 로비네트 코왈
The Calculating Stars
아르카디 마틴
A Memory Called Empire
<rowcolor=#fff>제68회
(2021년)
제69회
(2022년)
제70회
(2023년)
제71회
(2024년)
제72회
(2025년)
마샤 웰스
Network Effect
아르카디 마틴
A Desolation Called Peace
T. 킹피셔
Nettle & Bone
레트로 휴고상
<rowcolor=#fff>1939년
(2014년)
1941년
(2016년)
1943년
(2018년)
1944년
(2019년)
1945년
(2020년)
T. H. 화이트
The Sword in the Stone
A. E. 밴보트
《슬랜》
로버트 A. 하인라인
Beyond This Horizon
프리츠 라이버
《아내가 마법을 쓴다》
리 브래킷
Shadow Over Mars
<rowcolor=#fff>1946년
(1996년)
1951년
(2001년)
1954년
(2004년)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A. 하인라인
《우주의 개척자》
레이 브래드버리
화씨 451
* 1957년 제4회 휴고상 시상식은 장편 부문을 비롯한 여러 부문들을 제외하고 진행되었다. }}}}}}}}}

역대 로커스상 시상식
파일:로커스상.jpg
판타지 장편 부문
제39회
(2009년)
제40회
(2010년)
제41회
(2011년)
어슐러 K. 르 귄
《라비니아》
차이나 미에빌
《이중 도시》
차이나 미에빌
《Kraken》

}}} ||
이중 도시
The City & the City
파일:이중 도시.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위어드 픽션, 추리
저자 차이나 미에빌
옮긴이 김창규
출판사 파일:영국 국기.svg 맥밀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아작
최초 발행 2009년 5월 15일
국내 출간일 2015년 11월 20일
쪽수 파일:영국 국기.svg 3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76
ISBN 파일:영국 국기.svg 1-4050-0017-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791195628322

1. 개요2. 설정3. 줄거리4. 평가5. 미디어 믹스6. 수상7. 기타8.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영국 작가 차이나 미에빌2009년어반 판타지 추리 소설. 하나의 도시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국가로 분리되고, 두 도시의 시민들은 서로의 모습을 보아서도 소리를 들어서도 안 되는 기묘한 도시국가를 배경으로 한 수사물이다.

2. 설정

  • 베셀(Besźel) & 울코마(Ul Qoma)
    동유럽에 있는 가공의 도시국가.[1] 하나의 도시가 각각 "베셀"과 "울코마"라는 두 개의 국가로 분리되어 있고, 두 도시의 시민들은 다른 도시의 모습을 보아서도 소리를 들어서도 안 된다.[2] 하지만 서로간의 교류가 완전히 막힌 건 아니고, 정식으로 허가를 받으면 왕래가 가능하다. 도시가 언제부터 이런 상태였는지는 과거의 100년 가까이 되는 기록들이 소실되어 알 수 없다.
  • 침범국(Breach)
    베셀과 울코마 사이에 "침범"이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는 존재. 침범국은 베셀도 울코마도 아닌 제3의 세력이다. 때문에 베셀과 울코마는 자신들의 주권이 침해당하는 걸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침범국을 호출하는 일을 피하려고 한다.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도시국가 베셀에서 한 여성의 시체가 발견된다. 살해당한 흔적이 있었기에 강력반의 볼루 경위가 수사를 맡지만 피해자의 신원조차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던 중 익명의 전화가 걸려오고, 살해당한 여성이 울코마 사람이라는 정보를 알려준다. 이후 추가 조사를 통해 이 정보가 사실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이 사건이 침범 사건이라고 생각한 볼루 경위는 사건을 침범국에게 넘기려고 한다.

하지만 이 사건은 침범 사건이 아니었다. 피해자의 시체는 승합차에 실려 울코마에서 베셀로 옮겨졌는데, 이 승합차는 몰래 넘어온 게 아니라 허가를 받고 정식으로 넘어온 것이었다.[3] 사건을 계속 담당하게 된 볼루 경위는 수사를 위해 울코마로 파견된다. 수사를 진행하던 볼루 경위는 피해자가 대학 고고학과 학생으로, 베셀과 울코마 사이에 두 도시를 조종하는 제3의 도시 오르시니(Orciny)가 존재한다는 도시전설에 집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피해자의 친구와 담당 교수를 통해 볼루 경위는 오르시니가 도시 간의 틈새, 베셀 사람들은 울코마라 생각하고 울코마 사람들은 베셀이라 생각해 아무도 보지도 듣지도 않는 지역에 실존하며, 피해자가 오르시니를 위해 일하다가 살해당했다는 정보를 얻는다. 이들은 자기들도 피해자처럼 살해당할까 두려워서 숨어버렸고, 볼루 경위는 이들을 안전한 외국으로 빼주기 위해 자기 연줄이 있는 베셀로 보낸다. 하지만 베셀로 넘어가기 직전 피해자의 친구는 저격수에게 살해당한다.[4] 볼루 경위는 저격수를 쫓지만 경위는 울코마에, 저격수는 베셀에 있었고, 저격수가 경위의 시야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곳으로 가려 하자 경위는 결국 총을 쏜다. 이렇게 저격수는 잡았지만 침범을 저지른 볼루 경위는 침범국에게 붙잡혀 어딘가로 끌려간다.

침범국의 기지에서 정신을 차린 볼루 경위는 자신의 침범 행위를 조사받고, 침범국도 이 사건의 배후에 대해 모른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볼루 경위는 침범국 요원과 함께 다시 한 번 수사를 진행하고 사건의 배후를 알아낸다. 배후는 바로 베셀의 장관으로, 유물 밀수를 위해 오르시니가 존재하는 것처럼 꾸며 피해자를 조종, 발굴 현장의 유물을 빼돌린 것이었다. 장관은 침범국이 진실을 알아내기 전에 달아나기 위해서, 통합주의자[5] 내부에 심어둔 요원들을 통해 아직 안보기와 안듣기에 익숙하지 않는 난민들을 실은 버스를 충돌시켜 큰 소란을 일으키고 침범국의 시선을 분산시킨다. 하지만 결국 볼루 경위와 함께 온 침범국 요원에게 사살당한다.

하지만 이 사건에는 공범자가 하나 있었다. 바로 피해자의 담당 교수. 과거 오르시니 전설의 창시자격인 최고 권위자였으나 직장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전설을 부정해야 했던 교수는 피해자를 속일 겸 다시 한 번 새로운 오르시니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피해자는 누가 가르쳐주지 않았는데도 오르시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스스로의 힘으로 깨달아버렸고, 이에 화가 난 교수가 피해자를 살해한 것이었다. 볼루 경위는 교수를 체포하려 하지만 교수는 베셀인지 울코마인지 알 수 없는 두 도시의 경계에 있었고, 아까의 소란으로 침범국이 계엄령까지 내린 상태라 경찰들은 교수를 체포하긴 커녕 쳐다보지도 못하고 있었다. 교수는 이대로 걸어서 외국으로 탈출할 생각이었지만,[6] 볼루 경위는 교수를 침범국의 영역으로 유도해서 체포하는데 성공했다.

사건이 마무리된 후, 볼루 경위는 침범국에게 붙잡힌 사람들의 운명을 알게 된다. 잡힌 사람들은 침범국의 새로운 일원으로 살아간다는 것.[7] 볼루 경위는 옛 동료들에게 작별인사를 하고, 침범국의 새로운 요원 "타이"가 된다.

4.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e9e5cd><table bgcolor=#FFF><bgcolor=#FFFAF0> 파일:Goodreads 투명 로고.png ||
별점 3.90 / 5

5. 미디어 믹스


2018년에는 영국방송공사(BBC)에서 4부작 미니 시리즈로 만들었다. 데이비드 모리시가 주인공 볼루 경위 역을 맡았다.

6. 수상

7. 기타

작가 차이나 미에빌은 인터뷰에서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어머니를 위해 이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원래는 〈볼루 경위의 마지막 사건〉이라는 부제가 있었지만, 사람들이 시리즈물로 오해하고 있지도 않은 1권부터 찾을까봐 떼버렸다고 한다.

8. 외부 링크



[1] 작중 묘사를 보면 발칸반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2] 작중에서는 이걸 "안보다"(unsee), "안듣다"(unhear)라고 표현한다. 베셀과 울코마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이걸 연습하며, 외국인들도 이걸 어느 정도 익히고 시험에 통과해야만 입국할 수 있다.[3] 정확하게는 허가증이 내부에 방치된 차량을 훔쳐 넘어온 것이다.[4] 총알이 경계를 넘은 게 아니라 베셀과 울코마를 잇는 통로로 넘어온 것이라서 침범이 아니었다.[5] 베셀과 울코마가 하나의 도시로 합쳐져야 한다는 사상의 추종자들.[6] 베셀과 울코마는 작은 도시국가라 가능했다.[7] 침범국에서는 새로 태어나는 사람도 없고 지원자도 없다. 애초에 지원을 한다는 것이 침범국과 맞지 않는 사람이라는 의미라고 한다.[8] The Kitschies. 영국의 SF 문학상[9] Kurd Laßwitz Preis. 독일의 SF 문학상[10] Premio Ignotus. 스페인의 SF 문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