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3 18:47:59

세묜 이바노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b1215, #a8181c 20%, #a8181c 80%, #7b1215); color: #f7c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류리크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유리 3세 이반 1세 세묜 이바노비치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반 2세 드미트리 돈스코이 바실리 1세 바실리 2세
제9대 제8대2 제9대2 제10대
유리 드미트리예비치 바실리 2세 유리 드미트리예비치 바실리 유리예비치
제8대3 제11대 제8대4 제11대2
바실리 2세 드미트리 유리예비치 바실리 2세 드미트리 유리예비치
제8대5 제12대 제13대 제14대
바실리 2세 이반 3세 바실리 3세 이반 4세
키예프 · 블라디미르 · 모스크바
차르국 · 제국 · 공화국 · RSFSR · 연방
}}}}}}}}}

Семен Иванович
파일:시에몬.jpg
1317년 ~ 1353년 37세
1340년 ~ 1353년

1. 개요2. 생애

1. 개요

모스크바 대공국 4대 대공.

2. 생애

1340년에 이반 칼리타의 장남인 시메온은 니즈니노브고로드에 주둔했다. 그의 아버지의 사망 소식을 받은 시메온과 그의 형제 안드레이와 이반은 대공의 지위를 물려받은 우즈벡 칸의 특허를 얻기 위해 황금 무리로 떠났다. 트버의 콘스탄틴과 스즈달의 콘스탄틴 또한 모스크바 왕자들보다 연공을 주장하며 칸에게 경의를 표했다. 시메온은 칸의 유지들인 트베르의 왕자들에게 뇌물을 줌으로써 특허를 얻었고 스즈달은 그의 연공에 동의해야 했다. 우즈벡도 시메온의 문제에 그의 자비를 베풀었다. 그는 또한 비잔틴 제국에 의해 느슨하게 귀족 또는 스톨니으로 번역될 수 있는 공식적인 칭호인 에피 트라페스 오피키키오스 (그리스어:ὁ ἐπί τραπέζης ὀφφίκιος)를 받았다.

또한 1340년에 시메온은 벨리키 노브고로드와 첫 군사적 대치에 휘말렸다. 시메온은 노브고로드의 토르조크 마을에서 세금을 징수할 권리를 주장했다. 토르조크 보야르스는 시메온의 세금 징수원들을 가두고 노브고로드의 도움을 요청했다. 시메온과 테오고노스는 노브고로드에 대항하는 왕자들의 연합군을 성급하게 조직하여, 노브고로드의 우스티유즈나와 벨로에 오제로의 노브고로드 침공을 언급하며, "그들(노브고로드인들)은 아무와도 상의하지 않고 누구와도 전쟁과 평화를 만든다. 노브고로드는 모든 러시아를 존중하지 않으며 그녀의 대군주에게 복종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연합군이 노브고로드의 영토에 접근하자, 토르조크의 주민들은 보야르스에 반란을 일으켰고 모스크바군의 편을 들었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은 이 사실을 받아들여 기존 시민 헌장을 존중하기로 동의한 시메온에게 연간 1,000루블로 추정되는 토르조크 지역의 모든 세금을 양보했다.

모스크바 연합군이 퇴위한 직후인 1341년, 알기르다스(당시 비테브스크의 왕자, 스몰렌스크의 왕자와 동맹)는 모하이스크를 포위했다. 게디미나스의 사망 소식은 시메온이 군사적 대응을 준비하기도 전에 알기르다스가 작전을 그만두도록 강요했다. 시메온의 군주였던 우즈베그 칸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그의 후계자 야니 베그는 그의 형제들을 죽임으로써 호드의 통제권을 확보했다. 시메온과 테오고노스투스는 다시 호드로 여행해야 했다. 야니 베그는 그의 권리로 시메온을 안심시키고 그를 풀어주었지만, 테오고노스투스를 인질로 삼아 교회로부터 돈을 갈취했다. 결국, 테오고노스투스는 600 루블을 받고 풀려났다.

1333년, 시메온은 알기르다스의 여동생 아이구스타(아나스타시아)와 결혼했다. 1345년 그녀가 죽은 후, 시메온은 스몰렌스크의 유프라샤와 결혼했지만, 곧 유프라샤가 결혼 이후 저주를 받았고 "매일 밤 죽은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하며 그녀를 가족에게 돌려보냈다. 유프라샤는 포민스키 왕자와 재혼했고, 시메온은 트베르의 마리아와 결혼했다. 그들의 네 아들은 유아기에 죽었다.

1340년대 내내 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의 군사 작전과 내부의 정치적 혼란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영향력을 감소시켰다. 대공이라는 칭호가 그에게 노브고로드를 보호할 의무를 지게 한 시메온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약화된 공화국이 붕괴되기를 기대하는 것처럼 그렇게 하기를 꺼렸다. 1347년 노브고로드 사람들이 스웨덴에 대항하여 도움을 요청하자, 시메온은 그의 형제 이반과 로스토프의 콘스탄틴을 파견했지만, 사절들은 노브고로드 사람들을 위해 싸우는 것을 거부했다. 시메온 자신은 리투아니아 왕권의 잠재적인 요구자로서 두 명의 반란군 리투아니아 왕자들을 숨겨둔 채, 호르데에서 리투아니아인들의 영향력을 상쇄하는 일에 바빴다. 그는 야니 베그를 조종하여, 리투아니아의 영향력 증가가 호르데에게 가장 중요한 위협이 된다고 믿게 만들었다. 야니 베그는 결국 시메온의 (몽골 민족의) 특사들과 동의했고, 리투아니아 특사들을 시메온의 자비로 인도했다. 시메온은 알기르다스와 휴전을 맺고, 죄수들을 풀어주고 리투아니아 왕자들과 러시아 신부들 사이의 결혼을 보장하기를 선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관점에서 불법적인 이교도 알기르다스와 트베르의 정통 울리아나의 결혼은 테오고노스에 의해 승인되었다; 그것은 요가일라를 낳았다.

1351년–1352년 시메온은 스몰렌스크 지역의 작은 마을들의 통제권을 놓고 알기르다스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었다. 알기르다스가 싸움보다 협상을 선호했기 때문에 이 갈등은 다시 열린 전쟁으로 발전하지 않았다. 첫 번째 회담이 리투아니아인들에 의해 깨졌지만, 시메온은 모스크바를 위한 분쟁이 있는 마을들을 확보했다. 이 전쟁은 시메온의 생애 마지막 행동이었다.

흑사병은 일찍이 1346년부터 오늘날의 러시아 남부와 우크라이나에서 기록되었다. 1349년 스칸디나비아, 1352년 초 프스코프, 1352년 8월 노브고로드를 강타하였고, 그해 말까지 프스코프의 3분의 2가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리투아니아와 러시아 북동부에서도 같은 패턴이 반복되었다. 1353년 페스트가 모스크바에 도착하여 테오고노스투스, 시메온, 그의 두 아들 시메온 시메오노비치, 이반 시메오노비치, 그의 동생 안드레이가 6주 차이로 살해되었다.

1353년 그가 사망하기 전, 시메온은 수도원 서약을 했고 소존트의 이름을 얻었다. 그는 고인이 된 테오고노스투스의 후계자인 알렉세이를 모스크바 대교구장으로 임명했고 마리아를 위해 수익성이 있는 유산을 확보했다. 양피지가 이전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메온의 유언은 러시아에서 종이의 첫 번째 사용으로 여겨진다.

시메온은 모스크바 크렘린 대성당에 묻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