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0:42:09

솔안터널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1206271101030103011.gif[1]
동해청량리ITX-마음 솔안터널 운전실 시점 주행 영상(41분 43초부터 54분 30초까지)
1. 개요2. 건설 배경3. 특이사항4. 관련 문서

1. 개요

영동선환형궤도 터널(똬리굴). 영동선 동백산역도계역 사이에 있으며, 터널 내에 솔안신호장이 있다.[2] 이 터널로 삼척시태백시가 나눠진다.

2. 건설 배경

솔안터널 개통 이전의 영동선 동백산-도계 구간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중에서도 가장 험한 축에 속하는 구간으로, 큰 고저차로 인해 빙 돌아가는 코스에 급구배와 스위치백까지 있는 등 선형이 아주 나빴다.[3] 당연히 표정속도와 선로용량은 크게 제한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 게다가 워낙 지어진 지 오래된 구간이라 물이 새고 터널의 콘크리트가 금이 가는 등 위험 징후가 하나 둘씩 나타나고 있었다. 그래서 "어차피 뜯어고쳐야 할 거, 선형 개량도 할 겸 화끈하게 새로 하나 만들어 버리자!"는 취지로 2001년 7월에 해당 구간을 착공 후, 2006년 12월에 터널을 관통하고 2012년 6월 27일 선로와 시설 공사를 마치고 개통하였다.

3. 특이사항

길이는 16.2km이다. 개통 당시에는 대한민국의 철도 터널 중 경부고속선 금정터널에 이어 두 번째로 긴 터널이었으며, 일반철도 터널 중에서는 압도적인 1위였다. 2020년 현재에는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경강선 대관령터널이 관통되면서 전체 4위, 일반철도 2위로 밀려난 상태.[4] 물론 KTX가 운행하지 않는 터널 중에서는 여전히 1위이다. 이 터널의 개통 덕분에 동백산역도계역 사이의 터널 16곳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었다. 또, 스위치백이나 30퍼밀에 달하는 급경사 역시 없어지고 24.5퍼밀 정도로 안정화되어 선로용량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다고.

태백종합경기장 인근과 나한정역 인근에는 비상용 사갱(# #)이 있어 응급 상황 발생시 차량과 인력 등이 드나들 수 있으며, 솔안신호장에는 길이 235m짜리[5] 환기용 수직터널이 있어서 유사시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터널 속으로 들어가면 끝날 것 같은데 끝나지 않는 터널의 길이에 놀라게 된다. 무궁화호를 기준으로 동백산역에서 도계역 사이는 대략 18분 거리인데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솔안터널은 동백산역에서 출발하여 나오자 마자 바로 도계역이다. 즉 거의 15분 넘게 터널 안을 구경하게 된다는 소리.

솔안터널은 추후 영동선 복선화에 대비하여 복선 전제의 단선 터널로 건설되었다. 이는 복선이 아니라 단선 철도를 부설하지만, 부분적으로 대구경 터널 구간이 존재하거나 반대방향 선로를 위한 단선 터널을 뚫기 좋도록 공간을 마련해놓는 등의 준비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복선화 공사시 반대방향 터널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단 이 구간뿐만 아니라 최근에 건설되는 단선철도의 대부분은 복선화를 할 부지를 마련해두고 건설된다.

지하철처럼 양 방향 선로를 모두 놓을 수 있는 대구경 터널 하나를 뚫는 방법도 있으나, 안전을 고려하여 단선 터널 두 개로 이루어진 쌍굴터널을 만들기로 결정된 것이다. 예컨대 터널 안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객들은 반대편 터널을 통해 대피할 수 있다. 대구경 터널은 터널이 하나뿐이므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할 곳이 없다. 그래서 복선이 되면 단선 터널 두 개로 이루어진 쌍굴 터널이 된다.

솔안터널을 처음으로 통과한 열차는 2012년 6월 27일 0시 이후 첫 열차, 즉 출발지 기준 첫 열차가 아니라 해당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 기준으로의 첫 열차이다. 그래서 이 구간을 이용한 첫 여객열차는 26일 #1641 열차이다. 27일 첫 열차가 아니다. 덕분에 1641 열차가 스위치백을 통과하는 마지막 열차라 믿고 열차에 탄 철도동호인들은 엄청난 충격에 휩싸였다고 한다.[6]

2021년 1월 4일 이후 서원주~제천 간 복선화가 완공됨에 따라 금대2터널과 대강터널의 똬리굴이 사라지면서 남은 똬리굴은 함백터널과 솔안터널 둘 뿐이다.

[7]위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2015년 1월 현재 터널 내 일부 구간(1분 26초~31초, 2분 34초~38초)을 제외하고 조명이 소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절전 차원에서 소등했을 것으로 추정.

4. 관련 문서


[1] 사진 상에는 16.2km라고 되어 있지만 도계역 쪽에 있는 짧은 터널을 포함하면 16.7km이다.[2] 위 동영상의 46분 46초~47분 36초 구간[3] 예전에는 강삭철도(인클라인)까지 있던 구간이었다. 솔안터널 개통 전까지 운행하던 구불구불한 선로는 이 강삭철도를 대체하기 위해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한 것.[4] 참고로 다섯 번째로 긴 터널은 중앙선 원주~운학신호장 구간에 위치한 백운터널(14.24km)이다.[5] 참고로 63빌딩의 높이가 249m, 트레이드타워의 높이는 225m 이다.[6] 정식으로 스위치백 통과 마지막열차는 동대구발 강릉행 1674열차로 기록되었다.[7] 참고로 역재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