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정종의 왕자 순평군 | 順平君 | |||
순평군묘 전경 | |||
출생 | 1392년 | ||
사망 | 1456년 9월 29일[1] (향년 65세) | ||
묘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대능골마을 산150-1 순평군 이군생 묘[2] | ||
재위기간 | 조선 부정윤 | ||
1412년 6월 11일 ~ 1414년 2월 6일 | |||
조선 원윤 | |||
1414년 2월 6일 ~ 1417년 10월 21일 | |||
조선 순평군 | |||
1417년 10월 21일 ~ 1461년 9월 16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군생(羣生, 群生)[3] | ||
부모 | 부왕 정종 모친 숙의 기씨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15남 8녀 중 차남 모친 기준 4남 2녀 중 장남 | ||
배우자 | 군부인 순창 설씨 (郡夫人 淳昌 薛氏) | ||
자녀 | |||
군호 | 부정윤(副正尹) → 원윤(元尹) → 순평군(順平君) | ||
시호 | 충간공(忠簡公) |
[clearfix]
1. 개요
조선 초기의 왕족. 정종의 차남이다. 어머니는 숙의 기씨이다. 친형제로는 남동생 금평군과 정석군, 그리고 무림군이 있다.2. 생애
1412년(태종 12년)에 부정윤이 되었고#, 1417년(태종 17년)에 순평군에 봉해졌다.# 1425년(세종 7년)에는 형 의평군이 태조 이성계의 도장을 베껴서 사패를 위조할 때 공모했던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442년(세종 24년)에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파직되었고#[4] 이듬해인 1443년(세종 25년)에 복권된 뒤 그 다음해인 1444년(세종 26년)에 종2품 중의대부로 승격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는 처형과 간통했다는 죄로 탄핵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3. 사망과 이후
1456년(세조 2년) 9월 29일에[5] 사망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다. 한 때 위치가 잊혔다가 14세손 이발원(李發源)이 백방으로 수소문하여 찾아냈다고 한다.#1872년(고종 9년)에 영종정경(領宗正卿)으로 추증되었다.
4. 여담
- 《용재총화》에 따르면, 순평군은 나이 40이 되도록 글을 깨치지 못했다. 종친이 무슨 글을 모르겠냐고 할 수 있지만, 의외로 왕족들 중에서 저런 경우가 더러 있었다. 그리고 순평군처럼 글 한 자도 모르는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학식과 교양이 부족한 경우 역시 꽤 많았다. 똑똑하다거나 열심히 공부한다거나 하면 왕위를 노린다는 괜한 의심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순평군은 40이 넘어서 종친들을 교육하는 학교인 종학(宗學)에 입학했다. 그리고 첫 수업 때 《효경(孝經)》을 배웠다. 교수관이 효경의 첫 장 제목인 ‘개종명의장 제일(開宗明義章 第一)’이란 일곱 글자를 가르쳤지만 순평군은 아무리 노력해도 도저히 외우지를 못했다. 나이 들어 배우려니 암기가 잘 안되는 게 당연했다.
그리고 “내가 지금 늙고 둔하니 ‘개종(開宗)’ 두 글자만 알면 됐다.”라 하고는 집에 돌아갈 때 말 위에서도 그 글자를 계속 생각하면서 외웠다. 노비들에게도 “너희들도 ‘개종’ 두 자를 외워두었다가 내가 막히면 알려다오.” 하고 일러두었다. 글공부가 어지간히 힘들었는지 순평군은 죽을 때 식구들에게 “영원히 종학과 이별하는 것이 아주 통쾌하다.”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5. 가족관계
- 부 : 조선 제 2대 왕 정종(定宗, 1357 ~ 1419)
- 모 : 숙의 기씨(淑儀 奇氏, ? ~ 1457)
- 남동생 : 금평군 의생(錦平君 義生, ? ~ 1435)
- 남동생 : 정석군 융생(貞石君 隆生, 1409 ~ 1464)
- 남동생 : 무림군 선생(茂林君 善生, 1419 ~ 1475)
- 여동생 : 숙신옹주(淑愼翁主)
- 여동생 : 상원옹주(祥原翁主)
- 정부인 : 군부인 순창 설씨(郡夫人 淳昌 薛氏) - 판사재감사 설존(判司宰監事 薛存)의 딸
- 장남 : 의성군 이백평(義城君 李伯平)
- 손자 : 이하포(李夏宲)
- 차남 : 의신부정 이숙평(義新副正 李叔平)
- 며느리 : 진천 송씨(鎭川 宋氏) - 판중추 송흥(判中樞 宋興)의 딸
- 손녀 : 김윤(金崙)의 처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서손자 : 회도령 이우(懷道令 李佑)
- 서손자 : 청계령 이척(靑溪令 李倜)
- 서손자 : 의래령 이신(宜來令 李伸)
- 서손자 : 이성묵(李性黙)
- 장녀: 연안 김씨 김구(金昫)의 처
- 외손자: 김수조(金守祖)
- 차녀: 양천 허씨 허준(許峻)의 처
- 외손자: 허후형(許後亨)
- 외손녀: 강양정 이숙[6](江陽正 李潚)의 처
- 첩부인 : 성씨 미상
5.1. 후손
유명인으로는 MBC 코미디언 출신 몸짱 배우 이정용이 있다. KBS 대하 사극 불멸의 이순신, 징비록 등에 일본군 대장 가토 키요마사로 출연해 잘 알려져 있는 배우다.전주 이씨 순평군파는 2015년 현재 약 3000여명으로 추산된다.
6. 미디어에서
노빈손 시리즈의 한국사 시리즈 2번째 작품인 <노빈손 세종대왕의 화포를 지켜라>에서 비중 있게 등장한다. 해당 작품에서는 원역사에서 보였던 바보 그 자체의 모습이 역모에 엮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연기한 것이라는[7] 설정이며, 살인 사건 등과 엮인 작품 속 사건을 해결하는 데 활약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정황상 원역사에서 지나치게 평면적으로 바보 모습을 보였던 캐릭터라 역으로 이렇게 변주해서 써먹기 좋았기에 이렇게 그려진 듯.[1] 음력 세조 2년 8월 21일[2] 부인의 묘 없이 단분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묘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심하게 훼손되어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3] 둘 다 '무리 군'자로, '羊' 의 위치가 '君' 아래에 있느냐 오른쪽에 있느냐의 차이만 있다.[4] 직책과 사유는 나와있지 않다. 파직 사실만 기록되어있다. 파직 사유가 다른 신료들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모양이다. 장령 이겸지가 이유를 물었으나 세종은 알 바 아니라며 끝내 말해주지 않았다.#[5] 음력 8월 21일.[6] 계양군의 아들[7] 제안대군은 당시에도 저 바보 짓거리 연기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다. 제안대군의 정통성은 순평군 따위와는 비교도 안 되는 수준으로 막강했던 데다가, 그 바보같던 인간이 유교 예법을 따를 때는 예법을 완벽하게 지키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