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be673> | 延安 金氏 연안 김씨 | }}} | |
관향 | 황해도 연안군 (現 황해도 연백군)[1] | |||
시조 | 김섬한(金暹漢) | |||
파조 | ||||
| ||||
집성촌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산유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1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수촌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장산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원산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 |||
인구 | 93,382명(2015년, 통계청) | |||
링크 | 연안김씨대종회 연안뉴스[25] |
1. 개요
황해도 연안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해 국자감 사문박사를 지낸 김섬한(金暹漢)이다.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연안 김씨는 총 93,382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잘 알려진 인물로는 조선 중종대의 권신 김안로와 조선 선조의 장인, 계비이자 영창대군의 외할아버지, 어머니인 김제남-인목왕후 부녀가 있다.2. 역사
2.1. 기원
연안 김씨의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다. 문헌에 의하면 신라의 왕족인 두 형제가 왕에게 직간을 하다 형은 북빈경(北濱京, 지금의 강릉)에, 아우는 시염성(豉鹽城, 지금의 연안)으로 유배되었는데[26] 이 아우의 후손이 김섬한이다. 김섬한은 송나라로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고려 명종 때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내고 가세가 번창하였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일세조로 하고 본관을 연안으로 하여 세계를 계승해왔다.후손들을 기준으로 세대 간격을 고려하여 역산한 김섬한의 생년은 12세기 중반인데, 명종의 재위 기간이 12세기 후반(1170 ~ 1202)이므로 비록 김섬한이 고려사 등의 사료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내려오는 전승은 대체로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 조선 명종대 편찬된 야사집인 삼한습유기(三韓拾遺紀)에는 연안의 김씨는 백제에서 나왔으며([ruby(延,ruby=연)][ruby(安,ruby=안)][ruby(之,ruby=지)][ruby(金,ruby=김)][ruby(出,ruby=출)][ruby(百,ruby=백)][ruby(濟,ruby=제)]), 광주의 김씨는 고구려에서 나왔다([ruby(光州之金出高句麗,ruby=광주지김출고구려)])는 기록이 있다.
2.2. 고려 시대
2.3. 조선 시대
2.4. 현대
3. 다른 본관과의 관계
3.1. 조상형제지간설(祖上兄弟之間說)
연안김씨와 강릉 김씨의그러나 강릉 김씨 족보에 나오는 강릉 김씨의 시조 발상[27]이 연안 김씨의 시조 발상과는 차이가 있기에 옳다 그르다 말하기 어렵다.
3.2. 분적
고려 공민왕 때에 최영과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한 파평 김씨의 시조 김장수와 조선 태종 시기의 관리이자 평양 김씨의 시조 김여하는 본래 연안김씨라 한다.4. 계파와 종중
4.1. 분파
1세 | 2세 | 계(系)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파(派) |
김섬한 金暹漢 | 김준구 金俊龜 [28] | [戶] 호부원외랑공계 戶部員外郎公系 | 묘성 昴成 | 유간 裕簡 [30] | 대의 大義 [31] | 백 伯 [32] | 신검 信劍 [33] | {{{#e40001 김안주}}} 金安柱 [34] |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e40001 김안보}}} 金安寶 [35] | 한림학사공파 翰林學士公派 | ||||||||
실 實 [36] | 승석 勝碩 [37] | {{{#670000 김선}}} 金善 [38] |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
{{{#670000 김을진}}} 金乙珍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
준룡 俊龍 [無] | |||||||||
김준린 金俊麟 | [大]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 시조 김섬한의 삼남 김준린의 자손으로, 작은집이다. 당진현감공파, 경시서령공파, 대장군공계 大將軍公系 | 경성 景成 | 비 禆 | 관의 寬義 | 억 億 | 성철 成喆 [無] | |||
성흡 成洽 | 맹문 孟文 [無] | ||||||||
익문 益文 [無] | |||||||||
[女] | |||||||||
언충 彦忠 | 수 粹 | {{{#EA6026 김귀생}}} 金貴生 | 당진현감공파 唐津縣監公派 | ||||||
[女] | |||||||||
[女] | |||||||||
우 祐 | 광택 光澤 | 연 淵 | [女] | ||||||
손 遜 | 흥주 興霔 | 익신 益新 | 중근 仲斤 [無] | ||||||
익보 益寶 [無] | |||||||||
흥우 興雨 | 구강 九江 [無] | ||||||||
흥달 興達 [無] | |||||||||
흥말 興末 | [女] | ||||||||
흥간 興潤 | 효동 孝僮 [無] | ||||||||
[女] | |||||||||
[女] | |||||||||
[女] | |||||||||
광후 光厚 | 완 浣 | [女] | |||||||
도 濤 | 자지 自知 | {{{#006494 김위}}} 金偉 | 경시서령공파 京市暑令公派 | ||||||
{{{#006494 김경}}} 金俓 | 觀察使公派 [절손] | ||||||||
{{{#006494 김잉}}} 金仍 |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
{{{#006494 김유}}} 金攸 | 중추부사공파 中樞府事公派 | ||||||||
{{{#006494 김하}}} 金何 | 靖宣公派 [절손] | ||||||||
{{{#006494 김해}}} 金侅 [65]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
{{{#006494 김비}}} 金備 | 사정공파 司正公派 | ||||||||
{{{#006494 김수}}} 金脩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
{{{#006494 김구}}} 金俱 | 좌군사정공파 左軍司正公派 | ||||||||
[女] | |||||||||
여지 汝知 | {{{#c00d45 김준}}} 金晙 | 고원군사공파 高原郡事公派 | |||||||
{{{#c00d45 김구}}} 金昫 | 연안부사공파 延安府公派 | ||||||||
{{{#c00d45 김승}}} 金昇 | 직강공파 直講公派 | ||||||||
[女] | |||||||||
치지 致知 | {{{#2e8b57,#fedc89 김혼}}} 金混 | 郡守公派 [절손] | |||||||
{{{#2e8b57,#fedc89 김순}}} 金洵 | 敎授公派 [절손] | ||||||||
{{{#2e8b57,#fedc89 김숙}}} 金淑 | 縣監公派 [절손] | ||||||||
{{{#2e8b57,#fedc89 김지}}} 金漬 | 사간공파 司諫公派 | ||||||||
[女] | |||||||||
[女] | |||||||||
[女] | |||||||||
[女] | |||||||||
[女] | |||||||||
학지 學知 | {{{#0a50a1 김황}}} 金滉 | 참판공파 參判公派 | |||||||
{{{#0a50a1 김저}}} 金泞 | 구례현감공파 求禮縣監公派 | ||||||||
[女] | |||||||||
[女] | |||||||||
[女] | |||||||||
[女] | |||||||||
[女] |
5. 항렬자
연안 김씨는 크게 두 가지의 항렬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장파계통인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에서 쓰고 있는 항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호부원외랑공계 일부와 대장군공계에서 쓰고 있는 대종 항렬체계이다. 이 외에 제주도의 한림학사공파등도 항렬체계를 가지고 있다.공통 항렬 | 호부원외랑공계 항렬 | ||||||||
대수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
항렬자 | ○漢(한) | 俊○(준) | ○成(성) | 示边[邊] | ○義(의) 光○(광) | 壽(수) | - | 休(휴) | |
… | |||||||||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항렬 (17世 ~ 43世) | |||||||||
대수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항렬자 | 大○(대) | 鼎○(정) | 世○(세) | 是○(시) | 南○(남) | 泰○(태) | 宗○(종) 致○(치) | ○燮(섭) ○(철) | ○(환) ○(묵) |
대수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항렬자 | ○(지) | ○(전) ○(주) ○(진) | ○鈞(제) ○鎬(기) | ○渽(식) ○(즙) ○(규) ○(병) | ○渽(희) ○(병) ○(엽) ○(형) | ○渽(재) ○(기) ○(균) ○(준) | ○渽(석) ○(건) (호)○ (용)○ | ○渽(순) ○(점) ○(영) ○(수) | ○渽(표) (상) (채) (동) |
대수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항렬자 | ○渽(도) (훈) (훈) (열) | ○渽(규) (돈) (배) (효) | ○鈞(진) (용) (종) (흠) | ○澈(준) (흡) (원) (연) | ○澈(근) (도) (모) (춘) | ○澈(찬) (용) (혁) (경) | ○澈(곤) (은) (원) (요) | ○澈(옥) (명) (현) (경) | ○澈(흥) (윤) (준) (태) |
공통 항렬 | 대장군공계 항렬 | |||||||||
대수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
항렬자 | ○漢(한) | 俊○(준) | ○成(성) | 示边[⺬] | ○義(의) 光○(광) | 水边(氵) | ○知(지) | 人边(亻) | 日部 | 水边(氵) |
대종 항렬 (17世 ~ 34世) | ||||||||||
대수 | 항렬자 | 오행 | 대수 | 항렬자 | 오행 | 대수 | 항렬자 | 오행 | ||
25세 | 鍾○(종) | 金 | 35세 | ○鎭(진) | 金 | |||||
26세 | ○泳(영) | 水 | 36세 | ○澤(택) | 水 | |||||
17세 | 相○(상) | 木 | 27세 | ○柱(주) | 木 | 37세 | ○根(근) | 木 | ||
18세 | 火边[邊] | 火 | 28세 | ○性(성) | 火 | 38세 | ○熙(희) | 火 | ||
19세 | 載○(재) | 土 | 29세 | ○重(중) | 土 | 39세 | ○培(배) | 土 | ||
20세 | 金边(釒) | 金 | 30세 | ○鉉(현) | 金 | |||||
21세 | ○淵(연) | 水 | 31세 | ○源(원) | 水 | |||||
22세 | ○秀(수) | 木 | 32세 | ○植(식) | 木 | |||||
23세 | 思○(사) | 火 | 33세 | ○憲(헌) | 火 | |||||
24세 | ○基(기) | 土 | 34세 | ○圭(규) | 土 | |||||
대종 항렬 (35世 ~ 43世) | ||||||||||
대수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
항렬자 | ○鈞(균) ○鎬(호) | ○澈(철) | ○杓(표) | ○桓(환) ○容(용) | ||||||
오행 | 金 | 水 | 木 | 火 | 土 |
6. 인물
이름 | 이명 | 생몰년도 | 계파 | 비고 |
분파[분파] 이전 | ||||
7세 | ||||
김자지 金自知 [知] | [시호] 문정공(文靖公) | 1367 ~ 1435 | [大] [88] | 여말선초의 문신 |
분파[분파] 이후 | ||||
8세 | ||||
9세 | ||||
김로 金輅 | [군호] 연성군(延城君) [시호] 공경공(恭頃公) | 1355 ~ 1416 | [戶]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여말선초의 문신[공신][94] |
[작호] 양원군부인 梁源郡夫人 | 1429 ~ 1482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의창군의 부인, 自知의 손녀[97] | |
10세 | ||||
김효성 金孝誠 [孝] | [군호] 연산군(延山君)[100] [시호] 양효공(襄孝公) | ? ~ 1454 | [戶]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조선의 무신[공신][104] |
김전 金詮 [訁] | [시호] 충정공(忠貞公) | 1458 ~ 1523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109], 自知의 증손[110] |
김감 金勘 | [군호] 연창부원군 延昌府院君 [시호] 문경공(文敬公) | 1466 ~ 1509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조선의 문신, 自知의 증손[114] |
11세 | ||||
김처의 金處義 [處] | 연산군(延山君) [삭훈] | ? ~ 1465 | [戶]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조선의 무신 김처의의 난 모의자 효성의 차남 |
김근사 金謹思 [思] | 1466 ~ 1539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125], 自知의 현손(4대손)[126] | |
김안로 金安老 [127] | 1481 ~ 1537 | [128]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130], 自知의 현손(4대손)[131] | |
12세 | ||||
김희 金禧 [⺬礻] | [봉호] 연성위(延城尉) | ? ~ 1531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중종의 부마, 안로의 차남 |
김시 金禔 [⺬礻] | 1524 ~ 1593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화가, 안로의 3남 | |
13세 | ||||
김제남 金悌男 [男] | [군호] 연흥부원군 延興府院君 [시호] 의민공(懿愍公) | 1562 ~ 1613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선조의 장인, 전의 증손[141] |
14세 | ||||
[시호] 인목왕후 仁穆王后 [존호] 소성대비 昭聖大妃 | 1584 ~ 1632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선조의 계비, 광해군의 계모,제남의 차녀 | |
15세 | ||||
16세 | ||||
17세(相○) | ||||
18세(火边) | ||||
김익 金熤 | [시호] 문정공(文貞公) | 1723 ~1790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148], 제남의 내손(來孫, 5대손)[149] |
19세(載○) | ||||
김재찬 金載瓚 | [시호] 문충공(文忠公) | 1746 ~ 1827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공신][154], 익의 장남 |
20세(金边) | ||||
21세(○淵) | ||||
김유연 金有淵 | [시호] 정익공(貞翼公) | 1819 ~ 1887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정승][158] 제남의 운손(雲孫, 8대손)[159] |
22세(○秀) | ||||
김기수 金綺秀 | 1832 ~ 1894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 |
23세(思○) | ||||
金思轍 | 1847 ~ 1935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귀족남작] | |
김사준 金思濬 | 1855 ~ 1917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독립운동가 | |
24세(○基) | ||||
金奭基 | 1874~1956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귀족남작][168], 사철의 아들 | |
김숙 金淑 / 김덕수 金德修 | [작호] 연원군부인 延原郡夫人 → 의친왕비 義親王妃 | 1880 ~ 1964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의친왕의 비 사준의 딸 |
김원기 金元基 | 1924 ~ 2001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경제관료[장관][173] | |
김봉기 金鳳基 | 1929 ~ 1990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기업인, 언론인, 정치인[국회의원] | |
25세(鍾○) | ||||
김의준 金意俊 | [보명] 김종환(金鍾煥) | 1909 ~ 1985 | [大]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법조인, 정치인[국회의원] |
김종운 金鍾云 | 1929 ~ 2000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영문학자 | |
26세(○泳) | ||||
김중업 金重業 | 1922 ~ 1988 | [戶]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건축가 | |
김인영 金仁泳 | 1939 ~ | [大] 경시서령공파 京市暑令公派 | 정치인[국회의원] | |
김각영 金珏泳 | 1943 ~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법조인[검찰총장] | |
27세(○柱) | ||||
김우전 金祐銓 | 1922 ~ 2019 | [戶]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독립유공자, 기업인 | |
김덕주 金德柱 | 1933 ~ 2023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법조인[대법원장] | |
김성주 金成柱 | 1964 ~ | [大]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기업인, 정치인[국회의원] | |
김도아 金鍍我 | 2003 ~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가수, 배우 | |
28세(○性) | ||||
김은제 金恩濟 | [보명] 김은제(金殷濟) | 1906 ~ 1936 | [戶]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김빛내리 金- | 1969 ~ | [大] 직강공파 直講公派 | 생명과학자 | |
김현아 金賢雅 | [예명] 김정난(金靜暖) | 1971 ~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배우 |
김보민 金甫珉 | [예명] 쓰복만 | 1990 ~ | [大] 경시서령공파 京市暑令公派 | 성우 |
김인성 金仁性 | [활동명] 인성 | 1993 ~ | [戶]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가수, 배우 |
김윤지 金潤知 | [활동명] 김바다 | 2000 ~ | [大]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유튜버 |
29세(○重) | ||||
김용담 金龍潭 [202] | 1947 ~ | [戶]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법조인[대법관] | |
김정원 金正元 | 1965 ~ | [戶]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법조인[헌법재판소사무처장] | |
김현중 金賢重 | 1986 ~ | [大]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가수 | |
김유빈 | [예명] 김예원(金叡園) | 1987 ~ | [大]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배우 |
30세(○鉉) | ||||
31세(○源) | ||||
32세(○植) | ||||
33세(○憲) | ||||
34세(○圭) |
6.1. 계보 불명
[1] 연백(延白)이라는 지명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延安郡)과 배천군(白川郡)이 통합되며 두 군의 앞 글자 한 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지명이다. 연백군 대부분의 지역이 8.15 광복 이후 그어진 38선 이남에 있었고, 이남의 연백군은 벽성군 동부 지역을 편입한 후 황해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북한은 38선 이북의 연백군을 폐지하지 않고, 평산군과 금천군의 일부 지역을 편입시켜 연백을 존치했다. 연백은 이렇게 한동안 두 연백군이 공존하는 모양새로 유지되다가, 한국전쟁 중 북한에 점령된 38선 이남 연백군에 설치된 남연백군과 이북의 연백군을 거쳐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다시 연안군과 배천군으로 분리된다. 이후 1954년 북한이 황해도를 분할함에 따라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 대한제국의 행정구역을 따르면 황해도 연안군, 일본제국 치하 조선의 행정구역에 따르면 황해도 연백군,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 따르면 경기도 연백군, 북한의 행정구역에 따르면 황해남도 연안군으로 반 세기가 안되는 기간 동안 도와 군이 게속해서 바뀐, 어둡고 굴곡진 한국근현대사의 단면을 보여주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겠다. 비록 연안은 대한민국이 연백평야 일대를 실효지배하던 한국전쟁 직전에는 경기도에 속했던 지역이지만, 광해군 때 해주목의 벽성현 강등으로 황해도가 황주와 연안에서 이름을 딴 황연도(黃延道)로 개칭되는 등 전통적으로 황해도로 분류되는 지역이고, 연안이 경기도에 속하게 된 연유도 헌법으로 보장된 대한민국의 영토를 불법으로 점거한 무장세력 때문에 연백을 황해도에 잔류시키기 어려웠던 상황에 있으며, 대한민국은 북한의 행정구역을 인정하지 않는만큼, 여기서는 황해도로 적는다.[2] 시조 8세, 김신검(金信劍)의 장남. 개성부윤상호군(開城府尹 上護軍).[3] 시조 8세, 김신검(金信劍)의 차남.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4] 시조 8세, 김승석(金勝碩)의 장남.[5] 시조 8세, 김승석(金勝碩)의 차남.[6] 시조 8세.[7]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장남.[8]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차남.[9]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삼남.[10]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사남.[11]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오남.[12] 시조 8세, 김자지(金自知)의 육남. 조선 내자시윤(內資寺尹).[13]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칠남.[14]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팔남.[15] 시조 8세, 조선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자지의 구남.[16] 시조 8세.[17] 시조 8세.[18] 시조 8세.[19] 시조 8세.[20] 시조 8세.[21] 시조 8세.[22] 시조 8세.[23] 시조 8세.[24] 시조 8세.[25] 연안 김씨 대종회 인터넷 신문[26] 이 때문에 강원도 강릉시를 관향으로 하는 강릉 김씨와 조상이 형제 사이가 아니냐는 설도 있다. 연안으로 간 아우의 자손들이 연안 김씨가 되었다면, 강릉으로 간 형의 자손들은 강릉 김씨가 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27] 신라 왕족이었던 김주원이 진골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후사 없이 죽은 선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려 했으나, 수도 금성(현 경상북도 경주시) 북쪽의, 홍수로 범람한 알천을 건널 수 없어 화백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왕위는 원성왕 김경신에게 돌아갔고, 원성왕은 김주원을 달래기 위해 명주(溟州, 현 강원도 강릉군)를 봉토로 주며 명주군왕에 봉했다. 강릉 김씨 시조 김주원의 윗대 세계와 그의 봉호 명주군왕은 다른 기록과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 불명확하긴 하나, 어쨌든 이상이 강릉 김씨의 시조 발상이다.[28] 고려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郎)[戶] 호부원외랑공계(戶部員外郎公系). 시조 김섬한(金暹漢)의 장남 김준구(金俊龜)의 자손으로, 큰집이다. 개성부윤공파, 한림학사공파, 공부전서공파, 밀직제학공파가 여기에 속한다.[30] 고려 금자광록대부, 지문하성사(金紫光祿大夫 知門下省事)[31] 고려 밀직부사(密直府事)[32]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33] 고려 좌우위중랑장(左右衛中郞將)[34] 고려 봉익대부 개성부윤 상호군(奉翊大夫 開城府尹上護軍), 시호 신효(愼孝).[35]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 여말선초 사람인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의 충절을 지키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제주도로 낙향했다. 현대에도 많은 한림학사공의 후손들이 제주에 세거하고 있고, 이 때문에 제주도는 연안 김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36] 고려 호군(護軍)[37] 고려 정순대부대호군(正順大夫大護軍)[38] 음력 1359년공민왕 8년, 기해년 생. 고려 봉익대부 공부전서(奉翊大夫工部典書), 조선 태종조 정헌대부 공조판서. 음력 1419년 10월 21일세종 1년, 기해년 졸. 향년 61세.[無] 무후. 후손이 없음.[大] [절손] 관찰사공파, 정선공파, 군수공파, 교수공파, 현감공파는 자손이 끊겼다.[절손] [절손] [절손] [절손] [無] [無] [無] [女] 딸. 기록되지 않아 족보에 이름이 없음[女] [女] [女] [無] [無] [無] [無] [女] [無] [女] [女] [女] [女] [절손] [절손] [65] 조선 통정대부[산계] 행[行] 내자시윤(通政大夫 行內資寺尹). 증[贈] 숭정대부[산계]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贈 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女] [女] [절손] [절손] [절손]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邊] 항렬이 '○边'이라 적혀있는 것은 항렬자에 맞춰 이름을 쓰려면 ○자를 변(边/邊, 한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으로 삼는 글자를 정해 외자 이름을 쓰라는 의미이다. 즉, 부수를 항렬자로 여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목변(木边) 항렬이라면 校(교), 樹(수), 林(림), 板(판), 橋(교), 村(촌) 權(권), 柳(류), 송(松)등의 글자를 이름으로 쓸 수 있다.[⺬] 보일시(示)변은 두 가지의 형태(⺬, 礻)를 가지며, 두 형태가 병용된다. 한국의 인명용 한자표에는 표에 따로 실려 있지 않더라도 礻/⺬ 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조항도 있다.[邊] [분파] 연안 김씨는 시조의 7대손인 8세 23분을 파조(派祖)로 하여 23파로 분파하였다.[知] 동생 여지(汝知), 치지(致知), 학지(學知)와 知 돌림[시호] [大] [88] 아홉 아들 위(偉), 경(俓), 잉(仍), 유(攸), 하(何), 해(侅), 비(備), 수(脩), 구(俱)가 각각 경시서령공파(京市暑令公派), 관찰사공파(觀察使公派)[절손], 재령군수공파(載寧郡守公派), 중추부사공파(中樞府事公派), 정선공파(靖宣公派)[절손], 내자시윤공파(內資寺尹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도관찰사공파(都觀察使公派), 좌군사정공파(左軍司正公派)의 파조이다.[분파] 연안 김씨는 시조의 7대손인 8세 22분을 파조(派祖)로 하여 22파로 분파(分派)하였다.[군호] [시호] [戶] [공신] [94] 1392년 조선개국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 추충익대개국공신(推忠翊戴開國功臣), 1398년 무인정사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 추충협찬정난정사공신(推忠協贊靖難定社功臣)[작호] [大] [97] 自知→수(脩)→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孝] [군호] [100] 중종반정으로 폐위된 연산군(燕山君) 이융과는 한자가 다르다. 김효성의 군호는 그의 관향인 황해도 연안군(延安郡)에서, 이융의 군호는 오늘의 세종특별자치시인 연기군(燕岐郡)의 별호 연산(燕山)에서 따온 것이다.[시호] [戶] [공신] [104] 1453년 계유정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訁] 내자시윤공파 동항(同行)인 형 심(諶), 흔(訢), 숙부 제신(悌臣)의 아들인 사촌형제 눌(訥)과 함께 訁(言邊, 말씀언변)항렬[시호] [大] [정승] [109] 중종조의 영의정(56대), 우의정(86대)[110] 自知→해(侅)→우신(友臣)→전(詮)[군호] [시호] [大] [114] 自知→수(脩)→원신(元臣)→감(勘)[處] [군호] [삭훈] 역모죄로 삭훈[戶] [공신] [] [삭훈] [思] [大] [정승] [125] 중종조의 영의정(61대), 좌의정(81대), 우의정(93대)[126] 自知→수(脩)→원신(元臣)→면(勉)→근사(謹思)[127] 내자시윤공파 동항(同行)인 형 안정(安鼎), 안세(安世), 숙부 전(詮)의 아들들인 사촌형제 안도(安道), 안우(安遇), 안수(安遂), 안달(安達)과 함께 安 항렬[128] 大[정승] [130] 중종조의 좌의정(82대), 우의정(94대)[131] 自知→해(侅)→우신(友臣)→흔(訢)→안로(安老)[⺬礻] [봉호] [大] [⺬礻] [大] [男] [군호] [시호] [大] [141] 전(詮)→안도(安道)→오(祦)→제남(悌男)[시호] [존호] [大] [시호] [大] [정승] [148] 정조조의 영의정(208대, 210대), 우의정(86대)[149] 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석(相奭)→익(熤)[시호] [大] [정승] [공신] [154] 순조조의 영의정(219대, 222대), 좌의정(314대, 316대), 우의정(321대, 323대, 324대), 종묘 배향공신(宗廟 配享功臣)[시호] [大] [정승] [158] 고종조의 우의정(377대)[159] 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석(相奭)→구(煹)→재옥(載玉)→횡(鑅)→유연(有淵)[大] [大] [조선귀족남작] [大] [조선귀족] 남작[박탈] 1910년 조선귀족남작 남작 작위 수작, 1915년 고종 망명 시도 발각으로 작위 박탈, 투옥[大] [조선귀족남작] [168] 1935년 아버지 김사철의 사망 후 김사철의 조선귀족 남작작위 승작[작호] [大] [大] [장관] [173] 제26대 재무부장관,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大] [국회의원] [보명] 족보에 올라간 이름[大] [국회의원] [大] [戶] [大] [국회의원] [大] [검찰총장] [戶] [大] [대법원장] [大] [국회의원] [大] [보명] [戶] [大] [예명] [大] [예명] [大] [활동명] [戶] [활동명] [大] [202] 공부전서공파-평양 종중-강서 문중 29세 용(龍) 항렬.[戶] [대법관] [戶] [헌법재판소사무처장] [大] [예명] [大] [210] 본명은 김지영으로, 본관은 연안 김씨라고 밝혔다.[211] 이름 뒷글자의 柱자가 항렬자를 따른 것이라면 27세손인 것으로 보인다.[212] 이름 뒷글자의 性자가 항렬자를 따른 것이라면 28세손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