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3:03:41

금천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에 대한 내용은 금천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장단군
}}}}}}}}}

금천군
金川郡 / Kŭmchŏn County
국가 북한(실질적)
대한민국(명목적)
인구 68,216명
광복 당시 면적 959㎢
현재 면적 497.67㎢
광역시도 황해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12면
시간대 UTC+9

1. 개요2. 지리3. 역사4. 교통5. 출신 인물6. 북한 기준 행정구역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7.1. 구 금천군 지역7.2. 구 토산현 지역

[clearfix]

1. 개요

북한 황해북도의 군. 이북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황해도.

한국의 시·군 단위 지명에서 '(쇠 금)'으로 시작하는 시·군명은 대개 '김'으로 읽어야 하는(김천시, 김포시, 김제시, 김해시, 김화군 등) 것과 달리 여기는 '금'이라 읽어야 한다.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금'자는 옷깃 금(衿)자이므로 이 곳과 한자가 다르다.

2. 지리

군의 서부 중앙을 예성강이 흐른다. 이북5도상 행정구역 기준으로 군 동쪽에는 임진강이 흐르는데, 대체로 강원도와의 경계를 이루지만 토산면 내리, 외리, 부압리 지역은 임진강을 건넌 월경지이다.

3. 역사

삼국시대 중기 고구려가 이 땅을 차지한 후 우잠군(牛岑郡)과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후 차지한 뒤 신라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우잠군은 우봉군(牛峯郡), 오사함달현은 토산군(兎山郡)으로 개칭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금천군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중기까지 군의 서쪽은 강음, 중앙은 우봉, 동쪽은 토산으로 불렸으나, 강음과 우봉은 효종대에 합쳐져 금천군이 되었고, 토산군1914년에 편입되었다.

광복 당시 면적 959.5km², 하위행정구역은 12면으로 되어 있었다. 경의선 철도가 지나가며, 개성시에서 남천, 사리원시 방면으로 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 곳이다. 개성인삼이라고 불리는 인삼이 이 곳에서도 재배되었다.

4. 교통

개성평양간 고속도로가 여기를 지나며, 평의선 혹은 경의선금천역이 시가지 근처에 있다. 남북통일 이후에는 평양개성간 고속도로와 경의선을 끼고 있어서 교통거점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5. 출신 인물

우봉 최씨우봉 이씨의 발상지가 이 군 우봉면이다. 고려 말 무인정권의 지배자 최충헌과 4대에 이르는 최씨 무인정권은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최씨이다. 똑같이 우봉을 본관으로 삼은 우봉 이씨 출신 인물 중에서는 을사오적 중 한명인 이완용이 있다.

6. 북한 기준 행정구역

총 1읍 14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읍: 금천읍
  • 리: 백양리, 신강리, 백마리, 남정리, 용성리, 현내리, 원명리, 문명리, 월암리, 계정리, 덕산리, 강북리, 강남리, 양합리

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45b96>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파일:송림시 상징.png
송림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
파일:벽성군 상징.png
벽성군
파일:연백군 상징.png
연백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파일:평산군 상징.png
평산군
파일:신계군 상징.png
신계군
파일:장연군 상징.png
장연군
파일:송화군 상징.png
송화군
파일:은율군 상징.png
은율군
파일:안악군 상징.png
안악군
파일:신천군 상징.png
신천군
파일:재령군 상징.png
재령군
파일:황주군 상징.png
황주군
파일:봉산군 상징.png
봉산군
파일:서흥군 상징.png
서흥군
파일:수안군 상징.png
수안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 파일:곡산군 상징.png
곡산군 ||<width=50%> 파일:옹진군 상징.png
옹진군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해주시
}}}}}}}}} ||

파일:금천군기.png
파일:황해도 휘장.svg 황해도미수복지구(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金川郡
Geumcheon County
}}}
파일:금천군.jpg
<colbgcolor=#ffc663><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금천면 금릉리
광역자치단체 황해도
하위 행정구역 12 111
면적 959.46㎢
인구 72,281명[1]
인구밀도 75.33명/㎢
명예읍·면장 12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금천군 소개
남쪽은 경기도 개풍군·장단군, 황해도 연백군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도 평산군, 북쪽은 신계군과, 동쪽은 강원도 이천군·철원군, 경기도 연천군과 접한다.

7.1. 구 금천군 지역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금천군이었던 곳이다.
  • 금천면(金川面)
    • 관할 리 : 금릉(金陵), 가덕(加德), 갈현(葛峴), 마전(馬前), 문명(文明), 소학(巢鶴), 영파(映波), 용인(龍仁), 월암(月巖), 잠성(岑城), 중산(中山), 학현(鶴峴)
    • 1929년 금교면(金郊面)[2]에서 개칭되었다. 면사무소와 군청 소재지는 금릉리이며, 경의선 철도가 지나는 곳으로 금천역이 있다.
  • 고동면(古東面)
    • 관할 리 : 송현(松峴), 강정(江亭), 구성(鷗城), 구읍(舊邑), 구현(九峴), 나성(羅城), 덕산(德山), 지동(紙洞)
    • 1914년 현면(縣面)과 면(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경의선 철도가 개성시개풍군 방면에서 이 면을 지나 금천면, 평양 방면으로 이어져 있고, 계정역이 있다. 구읍리에 임꺽정의 배경이 되는 청석골이 있다.
  • 구이면(口耳面)
    • 관할 리 : 덕안(德安), 관문(冠門), 무릉(武陵), 문성(文成), 송천(松川), 미당(美堂), 월전(月田)
    • 원래 금천군 지역이었으나 1952년 토산군에 편입되었다.
  • 산외면(山外面)
    • 관할 리 : 신명(新明), 설학(雪鶴), 영청(永淸), 오봉(梧鳳), 황룡(黃龍)
    • 군의 가장 서쪽에 있다. 예성강 서쪽에 있는 2개 면 중 하나로(다른 하나는 서북면) 현재는 북한의 봉천군에 속한다.
  • 서북면(西北面)
    • 관할 리 : 조읍(助邑), 강음(江陰), 광신(廣新), 노홍(鷺鴻), 백석(白石), 용진(龍津), 원산(圓山), 전포(典浦), 화암(花巖)
    • 1914년 서면(西面)과 북면(北面), 평산군 금암면 이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 조선 중기까지 강음현의 중심지였다.
    • 예성강 서쪽에 있어 현재는 북한의 봉천군에 속한다. 하지만 원산리 부근에 설치된 댐 때문에 면소재지인 조읍리를 포함하여 대부분 평야 지역은 수몰되고 만 비운의 지역.
  • 우봉면(牛峰面)
    • 관할 리 : 송정(松亭), 남정(南亭), 대오(大烏), 마산(馬山), 묘암(猫巖), 삼산(三山), 용성(龍城), 우봉(牛峰), 원명(圓明), 장릉(長陵), 장지(長芝)
    • 1939년 현내면(縣內面)과 백마면(白馬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조선 중기까지 우봉현의 중심지였다. 대둔산 기슭에 고찰 원명사(圓明寺)가 있다.
  • 웅덕면(雄德面)
    • 관할 리 : 백양(白陽), 고릉(古陵), 고성(古城), 매남(梅南), 매서(梅西), 문탄(文灘), 법천(法川), 벽파(碧波), 봉탄(鳳灘), 신강(新江), 어양(漁陽), 용천(龍川)
    • 1939년 호현면(好賢面)과 동화면(冬火面)[3]을 병합하여 신설한 면이다. 면의 북쪽으로 청년이천선 철도가 있지만, 현재 기탄역 일대가 북한 행정상 평산군에 편입되어 있다.
  • 좌면(左面)
    • 관할 리 : 구성(龜城), 고산(高山), 백화(白花), 북산(北山), 송세(松細), 암사(巖寺), 장현(墻峴)
    • 원래는 백빈면(白蘋面)이었다가 1914년에 개칭되었다. 이름과는 달리 금천군 중북부에 있다.

7.2. 구 토산현 지역

과거 토산현에 속했던 미원면(美原面)은 신계군 수면(水面)의 6개 리와 병합되어 신계군 다미면(多美面)으로 재편되었다.
  • 서천면(西泉面)
    • 관할 리 : 시변(市邊), 냉정(冷井), 두석(豆石), 봉불(烽佛), 상사(上舍), 성빈(聖濱), 유정(楡井), 율(栗), 이구(梨邱), 하남(下南), 홍묘(洪墓)
    • 1914년 서가면(西加面)과 천동면(泉洞面), 석적면(石積面)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토산군 소재지. 면소재지인 시변리는 과거부터 장터가 서는 지역 상권의 중심지였다.
  • 외류면(外柳面)
    • 관할 리 : 석두(石頭), 대북포(大北浦), 마우(馬友), 문수(文修), 소북포(小北浦), 실어(實於), 안봉(安鳳), 청항(靑項)
    • 1914년 외현면(外峴面)과 유촌면(柳村面)를 병합하여 신설된 면이다. 임진강을 경계로 강원도 이천군과 접한다.
  • 토산면(兎山面)
    • 관할 리 : 당관(堂官), 결운(結雲), 내(內), 두모(頭毛), 부압(浮鴨), 상(上), 세읍(細邑), 양사(陽寺), 연암(輦巖), 외(外), 장포(長浦), 학산(鶴山), 행정(杏亭)
    • 옛 토산군의 중심지. 1938년 월성면(月城面, 당관·내·부압·상·연암·외·학산리)과 숙인면(宿仁面, 결운·두모·세읍·양사·장포·행정리)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임진강을 경계로 강원도 이천군, 철원군과 접하는데, 일부 면역(面域)은 임진강 동쪽에 있다.
    • 임진강 동쪽에 있는 3개 리(내, 외, 부압)는 현재는 북한의 철원군(북한)에 속한다.
  • 합탄면(合灘面)
    • 관할 리 : 매후(梅後), 구량(九良), 도천(桃川), 마전(麻田), 미산(尾山), 송탄(松灘), 수원(水源), 수합(水合)
    • 1914년 석적면(石積面) 일부를 편입하였다.

[1] 1944년 호구조사[2]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구수면(九水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던 면[3] 광복 직후에 면이 복구되었다가 1952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