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1:41:15

도(행정구역)


1.
1.1. 개요1.2. 한반도1.3. 외국1.4. 둘러보기
1.4.1. 관련 문서
2. 3.

[clearfix]

1.

1.1. 개요

/ Province

대한민국, 북한, 중국, 일본을 비롯한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두거나 두던 행정구역 단위다. 이름의 유래는 어휘 그대로 길(道)로, 어느 목적지로 향하는 중간지점(길목)을 군사적 목적으로 묶으면서 탄생한 행정단위이다. 현재도 도를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하는 곳은 대한민국과 북한, 일본이다.

일반적으로 최상위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현 대한민국에서도 최상위 행정구역 단위 중 하나다.

한국과 일본에서 도의 수도는 지방자치법을 따라 도청 소재지 도시로 한다.

1.2. 한반도

한국사에서 도가 행정구역 명칭으로 사용되는 최초 사례는 부여로 전국을 사출도로 나눴다하며 윷놀이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그러나 고구려백제, 신라, 발해는 대체로 주(행정구역), 부(행정구역), 소경, 담로 같은 명칭을 썼기 때문에 한 동안 도라는 명칭은 쓰이지 않았다가 고려시대 들면서 다시 도라는 명칭이 쓰이게 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진다.

1.2.1. 고려 10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EA%B3%A0%EB%A0%A4_10%EB%8F%84.png

고려초기인 성종 14년에 당나라 제도를 채용하여 10도(十道)를 설치하였다. 이때 행정구역은 교과서 기준으로 이후 시대보다 후기신라 9주 5소경과 흡사하다.

1.2.2. 5도 양계

파일:external/study.zumst.com/%EA%B3%A0%EB%A0%A4%EC%9D%98%EC%A7%80%EB%B0%A9%ED%96%89%EC%A0%95%EC%A0%9C%EB%8F%84.png
이후 고려 현종 때에 5도 양계 체계가 사용되었다. 팔도 체계와 경계선이 일치하지 아니지만 얼추 유사하며, 양계는 교과서 기준으로 북계평안도 남부, 동계함경도 남부 및 강원도 영동지방 등에 해당했다. 고려 말기에 북계(서북면), 동계(동북면)가 여진족의 영토를 확보하면서 좀 더 넓어져, 조선 초기 평안도 및 함경도(함길도)의 영역과 거의 같아졌다. 대신 동계에서 오늘날 강원도 영동지방이 교주도와 교주강릉도로 합쳐지고 조선시대 강원도로 개칭되었다.

당시 5도(五道)는 다음과 같다.
이외에 개경 주변인 경기(京畿), 서경 주변인 서(西)경기, 남경 주변인 남(南)경기, 동경 주변인 동(東)경기가 있었는데 이는 팔도 체제의 경기도에 해당하지만 당시 5도에 포함되지는 않는 존재였다. 서경기는 묘청의 난 이후 폐지되었다. 이후 경기는 양광도와 교주도, 서해도 각 일부를 편입해 확장되고 경기좌도와 경기우도로 갈라졌다.

1.2.3. 조선 팔도

현재 대한민국까지 이어지는 큰 틀은 조선 팔도에서 확립되었으며, 경기를 제외한 7도 이름이 해당 도에서 중요한 도시 두 개에서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였는데, 한마디로 '어디어디 가는 길목'이라는 소리다. 해당하는 도시 이름은 다음과 같다. 물론 여기에 나온 도시들 중 대부분이 현재도 도의 중심도시이기는 하나, 도 이름이 지금과 같이 결정된 고려~조선시대 기준이므로 지금과는 좀 다를 수도 있다. 현재까지 이어져온 도명들 중 전라도경상도는 고려시대에, 나머지는 조선시대에 정해졌다.

조선 시대에 도 아래에 , , 대도호부, 도호부, , 이라는 하위 행정구역을 두었고 중간 단위로 큰 고을(, , 대도호부)에 현재 도청 출장소와 지방법원 (지원), 지방병무청, 관세청 지청을 합친 것과 같은 계수관(界首官)을 두었다 없앴다. 여러가지 이유로 한 도를 좌도와 우도로 구분만 했거나 실제 분도한 적이 있다.

이후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23부제를 시행했다가 1년만에 도 체계로 돌아왔다. 기존 8도에서 일부 도를 남북으로 쪼개 13도 체계가 되었고 오늘날에도 그 틀이 이어져오고 있다.

1.2.4.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 · 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자치구 · · 자치시(도농복합시 · 대도시 특례(특례시))
3단계 행정구 · 행정시
4단계 · (행정면 · 법정면) · (행정동 · 법정동)
5단계 (행정리 · 법정리) ·
6단계 }}}}}}}}}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다. 현재 사용하는 도명 중 전라도경상도고려 5도 양계에서, 강원도, 충청도와 명목도인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는 조선 팔도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제주도()으로서의 제주도, 제주 본섬을 말할 때는 '濟州島'를 쓴다. 처음에는 그냥 전라도에 속한 섬 제주도(島)였다가, 도(道) 단위 행정구역인 '제주도(濟州道)'가 설치되면서 '제주도(道)이자 제주도(島)'가 되었다. 물론 주도의 부속 도서가 있으므로 두 '도'에 해당하는 영역은 약간 다르다. 예를 들어 마라도는 제주도(道)지만 제주도(島)는 아니다.

제주도(道)와 강원도가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특별자치도로 각각 바뀔 때부터 '濟州道', '강원도'가 각각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특별자치도를 줄여 부르는 말로 쓰인다. 강원도 역시 강원특별자치도로 바뀐 이후 강원특별자치도를 줄여부르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도는 이라는 하위 행정구역을 둔다.

전라도를 빼고 남/북도로 나눠진 도들은 그 도 명칭의 유래가 된 지명이 모두 북도 쪽에 있다. 충청도의 유래인 충주시청주시 모두 충청북도에 있고 경상도의 유래인 경주시상주시도 둘 다 경상북도에 있다. 그나마 전라도만 그 명칭의 유래인 전주시가 북도, 나주시가 남도에 각각 있다.

특별시, 광역시와 다르게 상하수도, 택시사업구역, 시내버스면허/노선 결정권을 비롯한 권한이 각 자치시, 자치군이 가지고 있어, 권역 내 통합된 광역행정 구현에 주안을 둔 행정구역이 아니라 각 자치시/자치군 중심 지방행정 구현에 주안을 둔 행정구역이다. 따라서 광역행정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체제가 전근대적이므로 현대 도시 광역행정 측면에서 특별시, 광역시보다 부족하거나 미흡한 편이 많아 도 폐지를 찬성하는 반면에, 광역행정이나 효율성보다 풀뿌리 지방자치나 도농불균형 해소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를 비판하고 도 폐지에 부정적이다.

1.2.5. 북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내각직할 직할시(특별시) ·
2단계 · · 지구
3단계 구역
4단계 · · · 로동자구
5단계 인민반 }}}}}}}}}

분단 후에 북한에서 1949년에 자강도를 설치하고, 1954년에 황해도를 분도하고 량강도를 신설했다. 자강도는 전통적인 작명 방식대로 도내 소속 지역인 자성강계에서 이름을 가져왔다. 량강도는 압록강두만강, 두 개 강이 지난다고 해서 두 량()자에 강 강()자를 합쳐 작명된 특이 케이스다. 한편 강원도는 원산을 포함한 함경남도 최남단과 연천군 잔여 지역 등을 이관한 상태로 존치시켰는데, 도명 유래가 된 강릉과 원주는 모두 남한에 있어 도명 유래가 된 지역이 모두 도내에 없어졌다. 다만 북한도 남측 강원도를 명목상 북측 강원도의 일부로 간주하기는 한다.

1.3. 외국

행정구역 도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쓰였는데 원래는 한나라 시대에 변방 이민족들이 살던 지역에 설치되었다. 이후 사라졌다가 당나라10도로 다시 쓰였으며 이후 북송금나라 시대에 로()로 이름이 바뀌어 쓰였다. 원나라 때에 다시 도로 바뀌었고, 명나라 때에 도를 부(府)로 바꾸며 사라졌다가 청나라 때에 다시 생겨 중화민국 시절까지 () 아래 행정구역으로 존재했지만 1928년에 도제가 폐지되면서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역할로 한정하면 지급시가 도의 후신이라고 할수있다.

일본에서 과거 율령제가 실시될때부터 산인도(山陰道), 산요도(山陽道), 난카이도(南海道), 도카이도(東海道), 호쿠리쿠도(北陸道) 7개 오기칠도[4]가 존재했으나 홋카이도(北海道)가 1869년에 추가되었다. ] 폐번치현 이후 그 기능이 으로 넘어가서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행정구역은 홋카이가 유일하다. 현대 일본의 나머지 행정구역들은 (都), (府), (縣)을 사용한다. 통틀어 도도부현이 된다.

같은 한자문화권인 베트남도 도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사라졌다.

영어로 행정구역 도(道)를 글자 그대로 직역하면 Circuit[5]에 해당되지만 일반적으로 Province로 번역한다. 영미권의 행정구역 중 그나마 한국의 도 개념에 근접한 것은 카운티(county)이다. 지방행정학계의 일부 도서나 논문에서는 영미권의 카운티를 '도'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캐나다는 각 주를 province로 써서 미국의 주(State)와는 달리 '도'로 번역되어야 하지만 미국의 영향 때문인지 ''로 번역된다.

이탈리아의 주(, Regione)의 하위 행정구역인 'Provincia'는 '도'로 번역한다. 흔히 으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탈리아의 Provincia의 기능이 행정구역 체계상 대만의 현과 유사한 것도 있고, 이를 관할하는 관청이 'prefettura'이기 때문인 듯하다.

스웨덴(Län)과 노르웨이fylke가 한국의 '도'에 해당한다.

튀르키예도 마찬가지로 7개의 지방(bölge)에 속한 81개의 'il'을 '도', 영어로는 province 로 번역한다.

1.4.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대한민국 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주한미군 · 해외 주둔 한국군
본부국방부 · 합동참모본부 · 육군본부 · 해군본부 · 공군본부 · 해병대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기타국군 의전서열 · 병역의무 · 국방개혁 · 핵무장 · 모병제 찬반론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1.4.1. 관련 문서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쿄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都는 단음이고 道는 장음이다. 일본어로도 都는 と로 읽으며, 道는 どう로 읽기 때문에 구분된다.

3.

1926년까지 쓰인 일본과 유구(루추)의 행정구역 단위이자 1915년 이후 식민지 조선의 행정구역 단위로 내지(본토) / 육지에서 먼 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이었다. 수장은 도사()였으며 군수(조선, 고대 일본)/군장(郡長, 내지)와 위계가 같았거나 달랐다.

내지(본토)에 1904년과 1908년에 도서정촌제를 시행하며 철폐했고, 남은 도는 과 동급이 되며 산하에 정(町)·촌(村)을 두었고 1926년에 대도지청([ruby(大島, ruby=オホシマ)]支廳), 삼택지청([ruby(三宅, ruby=ミヤケ)]支廳), 팔장지청([ruby(八丈, ruby=ハチヂヤウ)]支廳), 소립원지청([ruby(小笠原, ruby=オガサハラ)])支廳)으로 통폐합되거나 개편되며 사라졌다.#

1915년에 도제가 실시되어 전라남도 제주군[6]경상북도 울도군이 각각 전라남도 제주도경상북도 울릉도로 개칭[7]되어 해방 당시까지 두 도(島)가 존재하였다. 이후 규모가 꽤 되었던 제주도1946년미군정이 위 최상위 행정구역인 제주도(濟州道)로 분리하였고, 규모가 작은 울릉도는 1949년까지 존속하다 그 해 8월 15일부터 시행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도(島)제가 폐지되면서 경상북도 울릉군으로 바뀌었다.

도사(島司)는 행정을 통솔하는 것은 물론, 도령(島令)을 내릴 권한과 함께 경찰서장까지 겸직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사는 행정, 입법, 치안까지 모두 장악하여 식민지 안의 작은 총독이었다.


[1] 제주도는 전라도 소속이었다.[2] 이 도와 접한 바다인 황해한자가 같다.[3] 일제강점기 경성부와는 다르다. 경성부는 서울의 일제강점기 시절 이름이다.[4] 여기서 기는 경기와 비슷한 행정구역으로 수도인 교토 근교지역을 오기로 지정하여 다섯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었고, 칠도는 말 그대로 조선팔도와 비슷하다. 단 한국의 '도'와 같이 'province'라 번역되는 것은 각 도내의 개별 쿠니를 가리킨다. (예: 나가토 국 → Nagato Province)[5] 항소법원, 항소구 혹은 순회교구 등[6] 1914년 3월 1일에 제주군, 대정군, 정의군을 통폐합[7] 일본국회도서관 사이트에 게재된 1915(대정 4)년 4월 30일자 일본제국 관보, 1915(대정 4)년 5월 1일자 일본제국 관보
국립중앙도서관 사이트에 게재된 조선총독부 관보 제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