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나이 畿内 | ||||
도산도 東山道 | ||||
[가] 무츠국에서 분리: | ||||
[나] 데와국에서 분리: | ||||
산인도 山陰道 | ||||
산요도 山陽道 | ||||
율령국 외 | ||||
율령국 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1. 개요
도산도([ruby(東山道, ruby=とうさんどう)])는 전근대 일본의 오기칠도 중 하나이다. 시가현에서 아오모리현까지 산을 따라 혼슈 내륙과 도호쿠 지방에 이르는 지역이다.2. 율령국
- 오미국(近江国)
- 미노국(美濃国)
- 히다국(飛騨国)
- 시나노국(信濃国)
- 코즈케국(上野国)
- 시모츠케국(下野国)
- 무츠국(陸奥国)
- 이와키국(磐城国)
- 이와시로국(岩代国)
- 리쿠젠국(陸前国)
- 리쿠추국(陸中国)
- 리쿠오국(陸奥国)
- 데와국(出羽国)
- 우젠국(羽前国)
- 우고국(羽後国)
3. 역사
대체로 도산도에 속한 율령국들이 다른 도에 속한 율령국보다 영역이 넓은데, 그 중에서 무츠국과 데와국은 더 광대하다. 이는 원래 율령국 제정 당시에 상당부분이 에미시 영역이라 일본 중앙정부의 힘이 잘 미치지 못했고, 에미시를 몰아내며 무츠와 데와의 영역이 계속 확장했지만 인구가 적은 변방이라 오랫동안 구역재편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거기다가 이 지역에 인구가 구역 재편이 필요할 정도로 많아졌을 쯤인 무로마치 시대에 율령국이 행정 기능을 사실상 상실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로마치 막부에서 무츠와 데와국만은 특별히 슈고(守護, 수호) 대신에 단다이(探題, 탐재)라는 더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받은 지방관을 임명해 통치했다. 일반적으로 단다이는 규슈, 주고쿠, 시고쿠 등 여러 국을 묶어서 통솔하는 상위 지방관이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무진전쟁이 종결된 이후에야 분할되었고, 이후 폐번치현때 개편되면서 단 2년 동안 사용된 구분이다. 다만 노부나가의 야망 등 일본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게임에서 무츠, 데와를 그대로 사용하기에 개별 영역이 너무 크기 때문에, 무진전쟁 이후 분할된 영역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718년 음력 5월 2일부터 720년 또는 724년까지 무츠국에서 이와키국([ruby(石城國,ruby=いわきのくみ)])과 이와세국([ruby(石背國,ruby=いわせのくに)])이 분리되었다 다시 통폐합되었다. 721년 음력 6월 26일부터 731년 음력 3월 7일까지 시나노국이 반분되어 서부에 따로 중국로 분류된 스와국([ruby(諏方國,ruby=すわのくに)] 또는 [ruby(諏訪國,ruby=すわのくに)])이 설치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