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3:37:10

보신전쟁

무진전쟁에서 넘어옴
에도 막부 말기 주요 사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3400> 1716년 ~ 1735년 교호 개혁
1787년 ~ 1793년 간세이 개혁
1830년 ~ 1843년 텐보 개혁
1853년 7월 8일 쿠로후네 사건
1854년 3월 31일 미일화친조약 체결
1858년 7월 29일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1858년 ~ 1859년 안세이 대옥
1860년 3월 24일 사쿠라다 문 밖의 변
1862년 2월 13일 사카시타 문 밖의 변 (坂下門外の變)
1862년 5월 21일 사쓰마 번 지사 숙청 사건 (薩摩藩志士肅淸事件)
1862년 8월 21일 나마무기 사건
1863년 8월 15일 ~ 1863년 8월 17일 사쓰에이 전쟁
1863년 9월 30일 8월 18일의 정변 (八月十八日の政變)
1863년 ~ 1864년 시모노세키 전쟁
1864년 7월 8일 이케다야 사건
1864년 8월 20일 금문의 변
1864년 8월 24일 ~ 1865년 1월 24일 제1차 조슈 정벌
1866년 3월 7일 삿초 동맹
1866년 7월 18일 ~ 1866년 10월 8일 제2차 조슈 정벌
1867년 11월 9일 대정봉환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
1868년 1월 27일 ~ 1869년 6월 27일 보신전쟁 }}}}}}}}}
보신 전쟁
戊辰戦争
파일:보신전쟁.png
시기
1868년 1월 27일 ~ 1869년 6월 27일
(게이오 4년 1월 3일 ~ 메이지 2년 5월 18일)
장소
일본 전역
원인
쿠로후네 사건 이후, 도막파와 좌막파 간의 갈등
교전 세력
파일:일본 황실.svg 신정부군[1]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구막부군[2]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쓰마 번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파일:야마우치 가몬.svg 도사 번[3]
파일:나베시마 가몬.svg 사가 번[4]
기타 신정부측 제번[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막부 육군
파일:에도 막부 국기.svg 막부 해군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아이즈 번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미토 번
파일:다테 가문 문장.svg 센다이 번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쿠와나 번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마츠야마 번
파일:img-kamon-marunikatabami.png 쇼나이 번
파일:신센구미 깃발.svg 신센구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Seal_of_Ezo.svg.png 에조 공화국
파일:1920px-Flag_of_Ouetsu_Reppan_Domei_or_the_Northern_Alliance_in_Japan.svg.png 오우에쓰 열번 동맹
파일:도다 가몬.svg 오가키 번[6]
파일:Inaba domain.png 요도 번
파일:토도 가몬.svg 쓰 번
지휘관[7]
파일:일본 황실.svg 메이지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 아리스가와노미야 다루히토 친왕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이고 다카모리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이치지 마사하루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구로다 기요타카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나카무라 한지로
파일:모우리 가몬.svg 오무라 마스지로
파일:모우리 가몬.svg 야마다 아키요시
파일:모우리 가몬.svg 야마가타 아리토모
파일:야마우치 가몬.svg 이타가키 다이스케
파일:나베시마 가몬.svg 에토 신페이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도쿠가와 요시노부
파일:일본 황실.svg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가쓰 가이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Seal_of_Ezo.svg.png 에노모토 다케아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Seal_of_Ezo.svg.png 오토리 게이스케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이치카와 신자에몬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마츠다이라 사다아키
파일:다테 가문 문장.svg 다테 요시쿠니
파일:nagaoka domain.jpg 가와이 쓰구노스케†
파일:신센구미 깃발.svg 곤도 이사미
파일:신센구미 깃발.svg 히지카타 토시조
파일:신센구미 깃발.svg 사이토 하지메
병력
120,000명 150,000명
피해
8200명 사망, 5000명 부상
결과
신정부군 승리, 메이지 유신 개막
영향
구 에도 막부 세력의 궤멸 및 일본 제국의 성립

1. 개요2. 전쟁 전의 정치 상황3. 1기 막부군 패주
3.1. 도바-후시미 전투3.2. 요도-야마자키 전투3.3. 고슈가시오(甲州柏尾) 전투3.4. 에도성 무혈개성3.5. 우에노 전쟁3.6. 우츠노미야성 공방전
4. 2기 동북전쟁 - 정토군 북상
4.1. 아사히야마 공방전4.2. 나가오카성 공방전4.3. 아이즈 번 방어전
4.3.1. 시라카와구치 공방전4.3.2. 니혼마츠 전투4.3.3. 보나리 고개 전투4.3.4. 아이즈 성 농성전과 항복
5. 3기 하코다테 전쟁(箱館戦争)
5.1. 마츠마에 번 공격, 에조 공화국의 성립5.2. 미야코만 해전5.3. 에조 공화국의 멸망과 보신전쟁의 종결
6. 참전 군인7. 이야깃거리8. 매체물에서의 보신전쟁

[clearfix]

1. 개요

1868년부터 1869년에 걸쳐 벌어진 일본 제국내전. 1868년무진(戊辰)년이었기 때문에 무진전쟁이라고 불린다. '무진'을 일본식으로 읽어서 '보신전쟁(ぼしんせんそう)'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신전쟁이 일어나기 수 년 전부터 꾸준히 있었던 막부 세력과 존황파 세력 분쟁의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도막파(존황파)와 구 에도 막부 세력[8][9]간의 전쟁에서 도막파가 승리함으로써, 정국을 조슈 번사쓰마 번 세력이 주도하게 되어 메이지 유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즉 일본 구시대 막부의 완전소멸과 근현대사의 개막이라 할 수 있는 전쟁이다. 특히나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큼직한 막부 세력이 이 전쟁을 끝으로 완벽히 몰락하게 되면서 막부는 역사의 한 장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0]

2. 전쟁 전의 정치 상황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The_Emperor_Komei.jpg
파일:904px-Ii_Naosuke.jpg
막부와 대립한 고메이 천황 안세이의 대옥사로 반대파를 무자비하게 찍어누른 이이 나오스케
1853년 미국매튜 페리 제독이 함선을 이끌고 내항한 이른바 흑선내항 사건은 도쿠가와 막부 200년의 국시였던 쇄국양이를 외국의 군사력에 굴복하여 지키지 못했던 사건이자, 일본 제일의 무력 보유자로서 각 번을 힘으로 찍어누르던 막부의 권위를 심각하게 실추시킨 사건이었다. 더불어 막부는 1858년 고메이 천황의 칙허를 받지도 않고 독단적으로 미국과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조인.[11] 덴노를 무시하고 조약도 전형적인 불평등조약이었으므로 당시 일본 각 지방 번에서 왕성하던 국학[12]을 신봉하던 젋은 무사층의 커다란 반발을 가져오게 되었다.

실추된 막부의 권위와 무사층의 반발에 직면한 막부는 다이로(大老) 이이 나오스케가 주도하여 조정과 반발무사층을 무자비하게 찍어누르는 대탄압 안세이의 대옥사를 결행, 국학파의 학자인 요시다 쇼인을 비롯 반막부 세력을 대규모로 처형한다[13]. 이에 미토 번의 탈번무사들은[14] 1860년 이이 나오스케를 에도성 사쿠라다문 밖에서 습격하여 참살하는 사쿠라다문밖의 변이 발생, 막부의 권위는 오히려 더더욱 추락하고, 각 번의 무사들의 증오는 더욱 커지게 되었다.

한편 사쓰마, 조슈, 도사 등의 웅번들은 흑선내항 이전부터 내부 개혁에 성공, 세수 확대와 부국 강병을 이룩하면서 막부에 대항할 군사력을 갖추었으며, 각 번의 요직을 젊은 하급 사무라이들이 차지하는 일이 많았다. 점차 이들은 일본 전국에 있던 존왕양이지사들의 산실이 된다.

사쿠라다문 사건 이후 막부의 중심에 있던 로주(老中) 안도 노부마사쿠제 히로치카와 함께 지나친 강경책이 피를 불렀다고 보고 조정과의 화해를 도모한다. 반 막부세력의 정신적지주인 조정과 정권을 나눠 함께 정치를 수행하고자 하는 이 시도를 공무합체운동(公武合體運動)이라고 한다. 이것을 위해 고메이 천황의 이복 여동생인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을 장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부인으로 맞이하는 정략결혼을 추진하지만 존왕양이파의 큰 비난을 받고 안도 노부마사는 에도성 밖에서 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책임론을 제기받아 몰락하게 된다. 막부의 권위가 연일 실추되는 시점에서 사쓰마 번의 시마즈 히사미쓰1862년 4월 군대를 이끌고 상경하여 과격한 존왕파들의 준동을 막고 양자를 중재하고자 나선다. 이 과정에서 교토 데라다야(寺田屋)에 머물던 과격파 지사를 참살하는 데라다야 사건을 일으키고 칙사를 대동, 막부에 압력을 가한다. 이에 막부도 사쓰마의 의견을 받아들여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후견에 임명하고 교토 수호직을 신절하여 아이즈 번마츠다이라 카타모리를 임명하게 된다.

그러나 조슈 번은 사쓰마의 정국 주도에 반발, 조정 측 인사들을 움직여 1862년 10월 통상조약을 파기하고 양이를 명하는 칙허를 막부에 전하고, 막부는 각 번에 양이령을 내린다. 조슈가 정국을 주도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사쓰마 번아이즈 번은 연합하여 1863년 8월 18일 쿠데타를 결행, 조정 내 양이파 쿠게 7명과 조슈 세력을 모조리 추방하고[15], 1864년 이케다야에서 쿠데타를 모의하던 조슈 유신지사들을 신센구미를 동원하여 참살, 마침내 이케다야 사건으로 자극받은 조슈 번은 군대를 이끌고 상경, 전쟁을 벌이나 사쓰마-아이즈 연합군에 의해 단 하루 만에 참패한다. 이것이 금문의 변이다. 결국 책임을 지고 조슈 번 가로 스후 마사노스케가 할복했으나 사쓰마의 사이고 다카모리다시 구니시 시나노 등 3명의 가로가 추가로 할복할 것을 요구해 이를 관철해낸다.

사쓰마와 막부군은 조슈로 진격, 마침 조슈의 양이에 반감을 가지고 있던 영국,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 4개국 함대가 시모노세키에 설치된 조슈 번의 해안포대들을 공격, 완파하고 지상군까지 상륙시키는 완승을 거두어 조슈 번은 보수파가 집권하게 되고 유신지사들을 감옥에 가두고 항복을 선언한다. 그러나 타카스기 신사쿠 이하 유신지사들이 기병대(奇兵隊)[16]를 동원하여 내전을 거쳐 다시 조슈 번의 정권을 잡았고, 막부가 잘되기를 바라지 않는 사쓰마는 조슈에 군사적/금전적 지원을 하고 있었다.[17]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로 1866년 1월 21일 삿쵸 동맹이 이루어진 후 막부는 제2차 조슈정벌을 통해 강경파가 다시 득세한 조슈 번을 재정벌하려고 하였으나 사쓰마는 참전을 거부, 진격한 막부군은 근대화한 조슈 번에 의해 참패를 거듭하고, 내적으로는 쌀값상승에 의한 잇키 등의 악재가 겹쳤다. 도쿠가와 이에모치마저 병으로 사망하여 막부군은 실패하고 퇴각, 이로써 막부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는 것이 천하에 드러나게 되었다.

후견인에서 장군으로 즉위한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이 점을 노려 프랑스군에서 고문단을 초빙하여 프랑스식으로 근대화를 개시하고, 전근대적인 행정체제를 개편하여 육군/해군/외교/회계/국무로 나누어 근대적인 중앙집권형 시스템을 도입했다. 더불어 1867년 마침내 사쓰마와 조슈가 무력으로 막부를 쓰러트릴 것을 결의하자, 정권을 덴노에게 반납하는 대정봉환을 실시,[18] 명분을 주지 않음과 동시에 현실행정에 경력이 전무한 조정 측이 견디지 못하고 막부 측에 행정대행을 맡기게 되고, 공무합체하에서 각 번들이 참여하는 의회의 수장 격을 맡으면서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막부는 멸망했을지언정 400만석이 넘는 대다이묘인 도쿠가와의 세력은 온전했다.

그러나 사쓰마는 게이오 3년 12월 9일(1868년 1월 3일) 신정부 수립일에 무력으로 쿠데타를 결행, 교토 황궁을 점거하고 왕정복고를 관철한다. 신정부는 당일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내대신 직위와 영지의 반납을 결의했다.

3. 1기 막부군 패주

관직과 영지를 반납할 것을 명받은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덴노측과의 충돌을 우려하여 오사카 성으로 퇴거한다. 요시노부는 결사항전을 주장하는 가신들을 진정시키고 다음 방책을 모색할 작정이었으며 신정부측도 그러한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생각해 얼마간의 여유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나, 막부와 전쟁을 할 생각을 굳힌 사쓰마번은 에도 시내에서 도발을 감행하고, 과격파의 사쓰마 토벌론이 격화되어 마침내 요시노부는 구와나 번, 아이즈 번, 막부군, 신선조를 동원하여 사쓰마 정벌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목적은 교토를 봉쇄하여 신정부를 압박하고 정치적 우위를 되찾기 위한 공산이 컸다.

막부 출병의 소식을 들은 사쓰마-조슈는 크게 동요하였으나 신정부는 이 전쟁을 사쓰마와 막부간의 사전(私戰)으로 보아 토벌령 선포를 거부했고, 동원령을 각 번에 내리도록 했지만 사쓰마와 조슈 이외에는 도사 번의 일부 병력만이 출병하여 병력면에서도 크게 열세였다. 막부는 프랑스식의 전습대를 비롯, 총동원 15,000명이 가능했지만 유신웅번측이 당장 동원할 수 있는 것은 고작 3,000명에 불과했다. 따라서 웅번 측은 비상시에 덴노를 데리고 교토에서 탈출할 계획까지 세워놓고 있었다.

3.1. 도바-후시미 전투

鳥羽・伏見の戦い
보신전쟁의 시발점이자 분수령.[19] 1868년 1월 3일 막부군은 2갈래로 나뉘어 각자 도바 가도(鳥羽街道), 후시미 가도(伏見街道)로 나뉘어 교토로 진입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바 가도로 진입한 막부군은 막부보병대(幕府步兵隊)[20]미마와리구미(見廻組)였으며, 막부보병대는 총과 대포로 무장했지만 미마와리구미는 전통적인 갑옷과 창검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사쓰마군은 도바 가도상에 포진하여 막부군과 대치하였는데 막부군은 자신들의 위세를 믿고 행군대형을 풀지도 않고 그대로 지나가려다 사쓰마 측과 대치하게 되고, 사쓰마군의 선제 공격이 발생. 초반 포격전에서 운 없게도 막부 측 대포가 맞아 폭발하면서 대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어서 쏟아지는 사쓰마군의 총격에 장전조차 안해놓고 있던 막부보병대는 반격을 가할 수가 없었다. 거기에 사령관이자 하타모토(旗本)인 타키가와 토모타카(滝川具挙)[21]가 탄 말이 총을 맞고 폭주, 타키가와 사령관은 등자에 발이 걸린 채로 말에 끌려가며 전장에서 이탈(...)당했다. 사령관이 도주하는 걸 눈앞에서 본 막부군은 패닉 상태에 빠져 대탈주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마와리구미가 돌격을 하여 보병대가 전투대형으로 전개할 시간을 벌어 주고, 막부보병대는 대탈주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반격을 감행했으나, 영국식 화력방어전술[22]을 사용하는 사쓰마군에게 결과적으로 패배, 그중에서도 신형 스나이더 후장식소총을 사용하는 사쓰마군 부대에게 화력으로 압도를 당했다.

막부군을 비롯한 휘하 구와나, 아이즈 연합군들의 번병들은 대부분이 전장식 미니에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프랑스 교관들에게 훈련 받은 최정예 부대인 '덴슈타이'들은 당시 에도에 주둔하고 있었기에 후장식 소총을 활용하는 신정부군에게 화력과 전술로 압도당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후시미 가도로 진입한 막부군은 신센구미와 합류하여 교토 외곽의 봉행소[23]로 진입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전근대적인 장비를 갖춘 신센구미와 막부군은 신정부군이 가도를 봉쇄하고 대포로 봉행소를 포격하자 봉쇄되어 교토 진입이 불가능한 처지에 놓인다. 신센구미는 봉행소의 담을 넘어 주특기인 창검을 이용한 돌격을 감행하지만, 사쓰마군의 소총사격에 밀려 다시 봉행소로 돌아오는 추태를 보였다. 사쓰마군의 봉쇄를 풀기 위해 다른 막부군도 여러차례 돌격을 감행했으며 특히 아이즈 군은 조슈 군과 철혈의 사투를 벌이지만 시가지의 엄폐물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조슈 군의 총격 앞에 실패하고 지휘부의 무능으로 지원병력이 도착하지 않자 마침내 봉행소는 전소, 거점을 상실한 막부군과 아이즈 군, 구와나 군은 탈출해 교토 외곽으로 후퇴한다.

두 전투 모두 지휘관의 무능이 우세한 막부군을 패배로 몰아넣었다. 도바 방면의 막부군을 지휘하던 타키가와 하리마노카미 토모타카는 마땅히 적병이 있음을 감안하고 전투대형으로 경계태세에 들어가야 했지만 아군의 위세만을 믿고 그대로 지나가려다 패주의 원인을 제공했다. 후시미 방면에서는 막부군이 거점을 굳혔으나 거센 반격을 당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하타모토이자 육군 봉행인 타케나카 시게카타(竹中重固, 1828 ~ 1891)가 이끌던 지원병력은 행방불명, 총사령관인 사키노 육군봉행을 비롯한 지휘부는 도바-후시미 전투 3일간 딱히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하지도 않았다. 이들의 무능으로 패전한 이 전투는 이후 정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막부가 목표인 사쓰마 번으로 향하지 않고 교토로 향한 것은 덴노와 조정에게 사쓰마 토벌의 선지를 무력시위를 통해 받아내어 대의명분까지 얻어내기 위한 행동으로 분석된다. 교토에 주둔한 삿초군은 소규모에 불과했기 때문에 사령관인 타키가와 토모타카도 크게 방심했다고 전해진다.

3.2. 요도-야마자키 전투

파일:nishikinomihata_02.jpg
니시키노미하타(그림)[24]
도바-후시미 전투 다음날인 1월 4일, 도바 방면의 막부군은 퇴각 후 급히 야전축성을 감행해 사쓰마군과 대치했지만, 어느 정도 안정된 후시미 방면에서 온 사쓰마군에게 측면을 찔려 재차 퇴각을 감행하게 된다. 한편 후시미 방면에서는 전날 어디로 사라졌다가 이제서야 나타난 지원병력이 합류, 호리 강 동안에 진지를 축성하여 사쓰마-조슈군과 대치 중이었다. 후시미 방면의 막부군은 이때를 반격의 호기로 판단, 우익의 우지 강을 건너 후방으로 돌아 공격하는 작전계획을 입안했는데, 하필이면 지원병력 사령관인 타케나카 시게카타가 작전상담을 위해 후방으로 가버리는 바람에 각 부대 간 연락이 불통되어 이에 따른 혼란으로 후시미 방면의 막부군도 후퇴하게 된다.

1월 5일 막부군은 요도 방면에서 집결, 삿초 군대와 교전을 계속하면서 요도 성으로 입성하여 농성할 계획이었지만, 요도 번에서 이를 거부해버리는 바람에 결국 요도 다리를 끊어버리고 남산(男山)과 기슭의 마을인 하시모토(橋本)에서 진을 친다. 그러나 이미 4일에 교토에 공격을 가했다는 이유로 막부 측은 조적(朝敵)으로 규정되고, 조정의 깃발인 니시키노미하타(錦旗)를 받아 유신군은 관군(官軍)(또는 신정부군)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5일에는 니시키노미하타가 요도의 제1선까지 진출하자 이걸 본 막부군은 사기가 크게 추락하였다고 한다. 6일에는 하시모토 마을로 진입한 신정부군을 신센구미가 매복하여 격퇴하기도 했지만, 쓰 번병이 배신하여 막부군에게 포격을 가하자 전의를 완전히 상실한 막부군은 오사카성으로 퇴각한다. 하지만 그때 이미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전함을 타고 에도성으로 떠나고 있었다.

결국 퇴각하던 아이즈 번병, 구와나 번병, 막부 육군의 잔당들은 육로를 돌파해서 에도로 퇴각했다. 또 이 교토 근방에서 이어진 전투의 패배와 삿초군이 관군이 된 것 때문에 원래 눈치만 보고 관망하던 서국의 여러 번들이 일제히 관군측에 붙어버리는 사태가 벌어졌으며, 관군은 각 번의 벙력들을 거느리고 기세를 몰아 막부의 중심지, 에도로 진격을 개시했다.

[clearfix]

3.3. 고슈가시오(甲州柏尾) 전투[25]

파일:external/pbs.twimg.com/B_Zv8FMUgAIT_C7.jpg
포위당한 곤도 이사미
에도로 후퇴한 신센구미에게 고후(甲府)분지에 위치한 고후성(甲府城)으로 입성하여 신정부군의 동진을 막으라는 임무가 주어졌다. 이에 국장인 곤도 이사미는 오쿠보 쓰요시(大久保剛)를 자칭하고, 부장인 히지카타 토시조는 나이토 하야토(内藤隼人)로 이름을 바꾸고, 신센구미를 갑양진무대(甲陽鎮撫隊)[26]로 개칭하고 신병 200과 소총 500자루를 지원받아 코부성 입성을 위해 고슈 가도를 따라 3월 1일 출발한다.

그러나 험한 날씨를 비롯해 갑양진무대가 시간을 낭비하는 사이 신정부군이 한발 빠르게 코부성을 점령하자 부대 내에서 동요가 일어나 병력이 점차 도주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히지카타 토시조는 구원병 요청을 위해 에도로 돌아가고, 곤도 이사미는 계속 진군하여 가쓰누마(勝沼)방면에 대포 2문과 병력을 전개한다. 곤도 이사미는 신정부 측에 사절을 보내 자신들은 치안유지를 위한 진무대에 지나지 않으며, 교전의 의도는 없다고 전하지만 신정부 측은 곧 이들의 정체가 신센구미이며, 오쿠보 쓰요시라는 진무대장의 정체가 곤도 이사미라는 것을 간파하고 즉각 공격을 개시한다. 신정부군이 전면에 토사-쿠와나 번병을 위치시켜 포격을 개시하고, 스와 번병은 숲을 통과해 좌익 배후를 치고, 다니 신베에(谷新兵衛)가 이끄는 토사번병 일부가 가시오 산을 돌아서 갑양진무대의 우익 배후를 치는 바람에 3월 6일 정오부터 2시간에 걸친 전투 끝에 갑양진무대는 참패, 에도로 도주하게 된다.

신선조를 갑양진무대로 개칭하고 파견한 데에는 막부의 온건파인 카츠 카이슈의 공작이라는 설이 있다. 과격파인 신선조가 에도성 무혈개성을 하려고 할 경우 어떤 반응을 보일지 몰랐기 때문에 가능한 한 멀리 보내놓으려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 에도성 무혈개성 당시 과격파들은 육군봉행 오토리 게이스케처럼 막부군 주력을 이끌고 북방으로 도주하여 항전하거나, 우에노에 모여 신정부군과 결전을 벌이기도 했으므로 타당한 조치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한편 이 전투에서 깨진 신센구미는 훗날 동북방으로 도주한 막부 잔당과 연합하여 최후까지 신정부에 항전하게 된다.

3.4. 에도성 무혈개성

파일:external/umscd.jp/9290_L.jpg
사이고 다카모리와 카츠 카이슈
비록 교토 진입에는 실패했고 서국의 번들이 모조리 관군에 붙어버렸지만 에도성은 3중해자를 가진 난공불락의 거성이었고, 아직 전습대 병력들과 막부 해군, 쿠와나 번과 아이즈 번을 비롯한 친막부 번들이 건재했으며, 이들 병력의 숫자와 훈련도는 사쓰마, 조슈, 도사 3번이 연합해도 압도한다고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만일 막부가 휘하 번들에 총동원령을 내리고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총반격에 나선다면 신정부 측으로는 패배는 몰라도 승리를 장담하기는 어려웠고, 내전이 크게 장기화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적은 따로 있었다. 우선 장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 자체가 역적으로서 추토령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에 상당히 의기소침해 있었다. 특히 온건정책을 지속하려던 요시노부의 뜻과는 달리 교토 진격은 과격파 중신들의 압력에 의한 점이 컸으므로 처음부터 전의도 높지 않았다. 더군다나 방관자 입장을 견지하던 여러 번들이 막부가 역적으로 규정되자 관군 측에 붙거나 은밀히 협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다양한 이유에 의거해 요시노부는 결국 에도성 무혈개성을 결심한다. 요시노부는 막말 3슈라 불리는 막부 육군총재였던 카츠 카이슈, 야마오카 텟슈(山岡鉄舟, 1836 ~ 1888)[27], 다카하시 테이슈(高橋泥舟, 1835 ~ 1903)[28] 를 내세워 신정부군과의 협상을 통해 항복하고, 요시노부 자신은 도쿠가와가 당주자리를 도쿠가와 요시요리(徳川慶頼, 1828 ~ 1876)의 아들이자 아츠히메가 키우고 있던 도쿠가와 요시타츠에게 넘기고 슨푸성(시즈오카)로 낙향하여 근신한다.

위 그림은 에도성 항복을 협상하는 자리를 형상화한 그림이며, 극화될 경우 극적효과를 높이기 위해 카츠와 사이고 두 사람이 독대한 것으로 연출되지만 실제로는 카츠는 야마오카 텟슈와 막부의 신하 오쿠보 이치오(大久保 一翁, 1818 ~ 1888)[29], 그리고 사이고는 부하 무라타 신파치와 기리노 도시아키를 대동하고 회담에 임했다.[30]

요시노부가 아직 막대한 전력을 보유했음에도 위험을 감수하고 쉽게 항복해버린 데에 다양한 학설이 있는데, 외세가 내전을 빌미로 개입하여 일본을 식민지화하려는 우려를 했다는 설, 역적이 된 것에 충격을 심하게 받았다는 설, 일본 내 각 번들이 양쪽으로 갈라져 장기간의 내전이 될 경우 나라가 피폐해져 버릴 것을 우려했다는 설 등이 있다. 그러나 그 의중이 어찌했건 병력이 충분하면서도 쉽게 항복해버린 데에 막부의 가신들은 크게 분노했고, 항복을 인정할 수 없다는 데에 여론이 모아져 각 가신들은 휘하 병력을 이끌고 에도를 탈출, 북상하여 신정부군과의 항전을 결의한다.

3.5. 우에노 전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UenoSenso.jpg
관영사 앞에서 혈전을 벌이는 쇼기타이들과 토사번의 적웅대 무사들
막부는 항복했지만 휘하 병력들이 막부의 명령에 순순히 따른 것은 아니었다. 그중에는 우에노 관영사(上野 寛永寺)에 칩거하고 신정부에 대한 반항적 태도를 공공연히 내세우는 무장집단, 창의대(쇼기타이)가 있었다.

창의대는 무혈개성에 반대하는 구 막신들과 히토쓰바시 가문의 가신인 시부사와 세이이치로(渋沢 成一郎, 1838 ~ 1912)[31]가 결성한 단체로서 혼다 도시사부로(本多 敏三郎)가 발표한 격문에 의거해 모인 사람들 중에서 시부사와 세이이치로가 두령으로 선출되는 방식을 취했다. 원래는 슨푸로 내려가 칩거하기 전에 우에노 관영사에 머무르던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호위하고 다시 복권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모여들었던 단체로써 본디 치안의 유지와 장군의 경호를 명분으로 하고 있었으며, 신선조 잔당들도 포함한 대규모 불만세력이었다. 이들이 에도 시내에서 신정부군을 습격하여 구타하고 죽이는 행동을 반복하고 있었다. 사쓰마군 사령관인 사이고 다카모리카츠 카이슈를 만나 이 문제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지만 배신자 취급받는 카츠의 말이 통할 리가 없었다.[32] 거기에 관군과 항전하려는 각지의 패잔병이 합류하여 총병력 3,000~4,000명에 이르는 대규모 세력이 되어있었다.

게다가 황족인 린노지노미야 쿠겐호신노(輪王寺宮公現法親王, 1847 ~ 1895)가 관영사로 들어가 창의대의 추대를 받아 대의명분을 얻는 도구가 되기까지 하자 그냥 두고 볼 수는 없는 지경이 되었다.

결국 신정부는 이들 창의대를 진압하기로 결정한다. 진압작전의 지휘는 당시 전술의 천재라 불리고 추후 병부대보로서 병권에 실권을 통해 일본군을 기획, 기틀을 마련하는 조슈 번의 오무라 마스지로(大村益次郎, 1825 ~ 1869)가 맡았다. 공격 예고일을 알리는 표찰을 세워 적의 탈주를 유도하고, 북쪽을 제외한 세 방향에서 포위해서 쳐들어가는 돌격전과 포격지원이었다. 작전회의에서 사츠마 번군의 배치를 본 사이고 타카모리는 "(우리 사츠마군을)모두 다 죽일 작정이요?"라고 물었고, 마스지로는 퉁명스럽게 "그렇소."라고 대답했다.

우에노 전쟁은 특히 정치적인 목적이 강한 전쟁이었는데 신정부는 이 우에노 전쟁을 신정부의 힘을 만방에 공표하는 이벤트로 삼을 목적이었고 즉시 에도 곳곳에 표찰을 세워 공격이 5월 15일 시작됨을 공표했다.

표찰을 세운 효과가 있어 공격 일자가 임박할수록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창의대 대원들은 점점 몰래 탈주를 개시했고 내부에서 항전파와 탈출파의 대립이 발생했고[33], 탈출파의 필두인 시부사와 세이이치로가 지지자를 이끌고 도주[34]하면서 부장이었던 아마노 하치로(天野 八郎)가 이끄는 병력만이 남아 공격 당일에는 절반 이하로 줄어있었다. 이에 대항한 신정부군은 사가 번의 신무기 암스트롱포와 4근산포의 포병화력을 이용하여 측면지원을 개시하고, 사이고 타카모리가 이끄는 사쓰마군은 쿠로몬구치(黑文口)를 통해 관영사로 진입을 개시했다. 큰 비가 내리는 가운데 쿠로몬구치에서는 무진전쟁 중에서도 손에 꼽을 대규모 칼싸움이 벌어졌으나 포병지원에서 밀린 창의대는 결국 관영사 건물이 전소하면서 와해되었고, 신정부군이 미리 열어놓은 포위망을 통해 뿔뿔히 흩어져 탈출한다. 신정부군 사상자 100명, 구막부군 전사자 260명.

창의대 일부는 북방으로 탈주하여 동북전쟁에서 저항하고, 에노모토 다케아키를 따라 하코다테 전쟁에도 참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에노 전쟁의 결과 신정부군은 에도 서부를 장악하고, 대내외적으로 막부 잔당도 신정부군 앞에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것을 각인시킴으로써 당초 예정했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3.6. 우츠노미야성 공방전

에도성은 개성하였으나 구 막부군 잔당세력은 도쿠가와가의 성지인 닛코 동조궁에 모여 거기서 신정부군과 싸울 생각으로 대량으로 에도를 탈주, 시모노노쿠니 닛코야마를 향하고 있었다. 한편 시모노노쿠니에서 발생한 농민반란(요나오시 잇키)을 진압하기 위해 토잔도총감부가 시모노노쿠니 우쓰노미야성에 진무대를 파견하였다. 이들은 신선조 잔당이 있는 곳을 알아내고 곤도 이사미를 체포, 처형시켰으며 계속해서 북상하여 우쓰노미야성에 진주하였다. 마침 농민반란이 진압된 4월 12일에는 막부육군총재 오토리 게이스케가 신선조, 전습대, 막부육군 등의 잔당 2,000여 명을 이끌고 출발, 2개파로 갈라져 진무군이 진주한 우쓰노미야성 공격을 개시했다. 진무군측은 막부잔당의 공격 소식을 듣고 코야마로 진출하였으나 병력에서 밀리는 진무군이 패배, 막부 잔당은 여세를 몰아 4월 19일 우쓰노미야성 공략전에 돌입하여 대규모의 백병전 끝에 우쓰노미야성 탈환에 성공한다. 그러나 일시 물러난 토잔도총감부 병력이 신정부군과 합류하여 오야마 이와오, 이치지 마사지가 통솔하는 신정부군과의 전투에서 막부 잔당이 밀리자 원래 목적지인 닛코 동조궁으로 탈출하였다.

4. 2기 동북전쟁 - 정토군 북상

도쿠가와 막부가 항복하고 소멸하면서, 동북의 제번들이 전쟁을 지속해야 할 이유가 없어졌다. 게다가 지속적인 흉작 때문에 재정이 궁핍하고 백성들의 염전사상이 점차 강화되고 있어, 각 번들은 가능하면 전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고자 했다. 따라서 동북의 여러 번들은 전쟁을 회피하고,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1868년 4월 11일에 리쿠젠(陸前) 시로이시(白石)에서 동북번들이 모인 회의가 개최된다. 일단 역적으로 규정된 친막부 측 번인 쇼나이 번과 아이즈 번의 구명을 해주자는 데에 의견이 모아지면서 조정에 탄원서를 보내지만, 탄원서를 접수한 오우진무총감부 참모인 세라 쇼조가 아이즈 침공작전을 철회할 수 없다고 강짜를 부려댔다. 이것은 평화적 해결을 거부하고 힘에 의거한 강압을 내세우는 것과 다름없었고, 불만을 가진 센다이 번의 번사들를 비롯한 무사들이 세라 암살사건을 일으키면서 평화적 해결은 물건너가게 된다.

전쟁이 명확해지고 또 신정부 측의 강짜에 큰 불만을 가진 제번들이 연합하면서 평화회담을 위한 열번회의는 군사상호원조동맹으로 변경되며, 이렇게 출범한 군사 동맹을 오우에쓰열번동맹(奥羽越列藩同盟)으로 부르게 된다. 한편 에도를 탈출한 오토리 게이스케가 이끄는 막부군 잔당, 뿔뿔이 흩어져 북상한 창의대와 신선조를 비롯한 각 부대의 잔당들이 아이즈 번에 합류, 막부 측 군사고문이었던 프랑스 장교단이 열번동맹의 군사고문으로 취임하는 등, 오우에쓰열번동맹은 신정부와의 일전을 대비할 준비를 갖춰놓고 있었다.

4.1. 아사히야마 공방전

4.2. 나가오카성 공방전

당시 일본에는 개틀링건이 총 3정 있었는데, 그 중 2정은 나가오카 번이 소유하고 있었다. 나가오카 번은 대정봉환 이후로도 도쿠가와 막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나, 이 때는 무장 중립론을 내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나가오카 번은 오지야에서 신정부군과의 담판에서 신정부군측에게 나가오카 번 침략 금지와 아이즈 번의 사면을 요구한 것이 거부당하면서 결국 신정부군에 맞서 오우에츠 열번 동맹에 가담하게 된다.

이후 나가오카 번군은 번주 마키노 타다쿠니의 가로이자 군사총독인 가와이 쓰구노스케의 지휘하에 신정부군에 맞서기 시작한다. 가와이 쓰구노스케는 셋타야의 고후쿠지에 본진을 세우고 신정부군이 나가오카 번을 침략하기 위해 점령했던 에노키 고게를 탈환하였다. 이렇게 되자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대리로 군을 지휘하던 도키야마 나오하치의 신정부군은 반격을 실시하였으나, 도리어 신정부군은 나가오카 번군에 격퇴당하고 지휘관인 도키야마가 전사하기에 이른다. 신정부군은 작은 번인 나가오카 번의 맹렬한 공격에 피해를 입자 나가오카 번의 병력이 나가 있는 틈을 타서 나가오카 성을 점령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가와이 쓰구노스케의 기습으로 다시 빼앗겼고 신정부군은 일시 후퇴한다.

그러나 나가오카 번의 영광은 여기까지였다. 나가오카성 탈환전에서 가와이 쓰구노스케는 허벅지에 총상을 입었고, 신정부군은 다시 병력을 충원하여 5일 후 다시 공격하여 결국 나가오카 번은 함락당하고, 니가타 등 에치고 전 지역은 신정부군의 통제 하에 들어오게 된다. 가와이 쓰구노스케는 아이즈 번으로 망명하려고 하였으나 총상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나가오카 번은 개틀링 기관총을 비롯한 적절한 서양식 무기의 사용과 가와이 쓰구노스케의 노련한 지휘로 신정부군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였으나, 절대적으로 열세한 군사력과 국력의 한계를 넘지는 못했다. 이후 신정부군은 아이즈 번으로 북상하게 된다.

4.3. 아이즈 번 방어전

파일:external/sak2-2.tok2.com/aizu00A.jpg
포격을 받은 아이즈와카마쓰 성의 천수각(1868)
아이즈 번은 북쪽 지방의 추위를 경험해 본 적이 없는 따뜻한 남쪽나라 신정부군을 상대로 겨울이 올 때까지 기다려서 적이 스스로 물러나도록 하자는 지구전을 펼치기로 했다. 아이즈 번 연방이라고 불린 아이즈 번의 국경을 둘러싼 전술적 요지인 각 고개에 방어군을 분산시켜, 신정부군에 맞서 싸워 번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로 했다. 그러나 이 전략이 비극을 일으키게 된다. 전술적 방어기지에 병력을 분산시키는 바람에 신정부군이 전병력을 이끌고 한 곳을 집중공격하는 것을 막아내지 못한 것이다.

4.3.1. 시라카와구치 공방전

전략적 요충지인 시라카와 성을 1868년 6월 20일 신정부군이 함락, 이후 3개월간 성을 되찾기 위한 공성전이 펼쳐졌지만 실패했다.

4.3.2. 니혼마츠 전투

20명의 소년들이 참전, 대부분 전사. 니혼마츠 소년대로 불리며 아이즈 번에서는 영웅담의 주인공들이다.

4.3.3. 보나리 고개 전투

나가오카성 함락 이후 지체하던 신정부군은 지원병력이 합류하면서 오우에쓰 동맹군의 해체를 시도한다. 가장 강력한 아이즈 번을 제외한 다른 군소 번들의 영지로 파죽지세로 진격하면서 처음부터 굳건하지 않았던 열번동맹은 차례차례 해체, 무익한 저항을 하다 파멸하는 곳도 있었지만 바로 항복하고 신정부에 붙어버리는 번이 훨씬 많았다. 오우에쓰 동맹이 사실상 해체되자 신정부군은 최대의 적인 아이즈 번 공격을 결행한다.

이에 아이즈 번 번주 마츠다이라 카타모리는 아이즈로 통하는 험준한 통로인 보나리(母成) 고개에 대한 방어를 막부육군 전습대 대장인 오토리 게이스케에게 의뢰한다. 오오토리는 자신의 직속인 전습대 병력 400명과 그외 1,000여 명을 지원받고 보나리 고개에 3개의 방어진지를 설치한다. 평탄한 입구에 설치된 제1포대(第一臺場), 그리고 험준한 산에 길을 따라 설치된 제2, 제3포대를 통해 적의 진격을 차례로 방어하고, 첫째 진지가 함락되어도 다른 진지들이 방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오토리의 방어계획은 완전히 무너지게 된다. 적 진출을 경보해야할 제1포대는 너무나도 짙은 안개 때문에 적의 접근을 아주 늦게 눈치채게 되고, 숫자에서 밀린 제1포대는 곧 함락된다. 제2포대도 이치지 마사지가 이끄는 우회병력이 산을 돌파하여 돌진해오는 것에 더해, 신정부군의 강력한 포병화력 앞에 결전을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패배, 패잔병들이 도주하는 가운데 제3포대도 곧 함락되었다. 신정부군의 골칫거리였던 막부 전습대는 이 전투에서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고 보나리 고개 함락으로 인해 아이즈 방어선은 뻥 뚫리게 된다. 오토리는 결국 도주하여 에노모토 함대에 합류하게 되고, 전습대도 그와 함께 홋카이도로 떠나게 된다.

4.3.4. 아이즈 성 농성전과 항복

파일:external/cdn.snsimg.carview.co.jp/5ff9bec1f8.jpg
항복하는 마츠다이라 카타모리(가운데)와 나카무라 한지로(우)

많은 가신들의 식솔들이 자결을 선택하고(200여 명), 예비병력이었던 소년들로 구성된 백호대의 자결, 나카노 타케코를 위시한 여성들로 구성한 부대의 항전 등 수 많은 비극적 에피소드가 전해진다. 1868년 11월 6일 정오, 마츠다이라 카타모리는 예복을 갖춰입고 사쓰마 출신 군감 나카무라 한지로에게 직접 항복서를 전달했다. 아이즈 번이 항복을 하면서 사용되었던 붉은 카페트를 아이즈 사람들이 칼로 찢어 보관하면서 아이즈 번의 아픈 역사의 상징이 되었다.

5. 3기 하코다테 전쟁(箱館戦争)[35]

파일:external/www.ilbe.com/9b5961e84ed2480daa45010a0192a328.jpg
잇폰기 관문에서 마지막 돌격을 감행하는 히지카타 토시조(가운데)
히지카타 토시조와 그를 따르는 막신들 사이로 하얀 바지를 입은 프랑스군들도 보인다.
막부해군 총재인 카츠 카이슈는 무혈개성의 주역이었지만 부총재인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당시는 에노모토 가마지로)는 무혈개성에 항의하며 철저항전을 주장했다. 에노모토는 막부 해군함대를 선동하여 카츠의 통제에서 벗어난 다음 동북전쟁이 벌어지는 동안에도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합류하지 않고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대한 신정부의 취급이 부당할 경우 즉시 무력을 투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여 에도만에 정박하고 있었다.

마침내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슨푸 번 다이묘로 임명되어 신변의 보장을 받자 에노모토는 주군에 대한 의리를 다했다고 여기고 잔당 함대를 이끌고 에조, 현재의 홋카이도로 북상한다. 신정부 치하에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 뻔한 구 막부 가신들을 데리고 에조 개척을 하며 독립정권을 세운다는 것이 그의 구상이었다. 막부 해군은 삿초토비 유신 4번이 연합해도 당해낼 수 없는 명실공히 일본 최대의 서양식 전투함대였기 때문에 유신 측으로서도 에노모토의 행동을 막을 요량이 없었다.

에노모토는 북상 도중 센다이시에 들러 오토리 게이스케와 히지카타 토시조를 비롯한 막부 측 간부들과 전습대, 창의대, 신선조, 아이즈 번병, 나가오카 번병 등 잔당 3,000여 명을 태우고 홋카이도로 향한다. 에노모토는 에조 제압의 1차전으로 에조를 통제하는 마츠마에 번을 공격하여 제압하는 작전에 돌입한다.

5.1. 마츠마에 번 공격, 에조 공화국의 성립

에노모토 다케아키는 막부함대를 이끌고 홋카이도로 달아난다. 아이즈 전에서 패한 전습대를 비롯한 신선조와 창의대 잔존세력들이 에노모토 다케아키에 협력하고 마츠마에 번을 공격한다. 그리고 공격에 성공하여 마츠마에 번을 접수하고, 에조 공화국을 수립한다. 이 당시 패주한 마츠마에번군의 일부는 함정을 타고 에조에서 대철수를 진행하였는데 후에 신정부군과 함께 에조에 상륙해 막부군과 싸웠다.

하지만 에조지 점령이 다 끝나기도 전에 에노모토의 기함 카이요마루가 악천후 끝에 좌초되어 에노모토의 전략에 치명타를 입혔다. 카이요마루의 침몰로 인해 에노모토는 해상에서 우세는 커녕 오히려 열세로 몰렸고, 신정부군은 언제든 홋카이도에 압도적인 병력을 상륙시킬 수 있게 되었다. 눈치를 보던 유럽 열강이나 미국도 곧 정식으로 신정부를 일본 전체의 합당한 정부로 인정했으며, 특히 미국이 원래 막부가 구매할 예정이었던 철갑함 코테츠를 신정부군에 넘겨주면서 해상 전력 차이는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벌어졌다. 이에 에노모토군은 최후의 희망을 걸고 코테츠를 무력화하기 위한 작전을 수립한다.

5.2. 미야코만 해전

신정부군의 함대는 미야코 항구에 도달하지만, 지원 함대가 도착하기까지 정박하고 있었다. 이때 에조 공화국은 신정부군의 주력 군함인 코테츠를 포획, 또는 무력화하겠다는 대담한 계획을 세웠다. 기습 공격을 하기위해 신선조 사령관 히지카타 토시조의 주도로 세 척의 전함이 미야코로 보냈졌다. 그러나 열악한 날씨로 인해 에조측 전함에서 엔진 고장이 발생해 전함 세 척 중 한 척[36]만이 코테츠에 접근할 수 있었고, 방심하고 있던 코테츠에 소수의 병력이 도선할 수는 있었지만 신정부군의 막강한 신무기로[37] 에조군이 철수, 후퇴하여 전투는 허무하게 에조군의 패배로 끝이 났다. 작전에 참가한 에조측 전함이 하코다테로 귀환하는 데 성공하기는 했지만, 더 이상 신정부군의 대규모 상륙을 막을 방법은 없어졌다.

5.3. 에조 공화국의 멸망과 보신전쟁의 종결

야마다 아키요시가 이끄는 신정부군은 1869년 봄 홋카이도 남부 각지에 병력을 분산 상륙시킨 뒤 하코다테로 진격했다. 총 병력 1만이 넘는 신정부군에 비해 3천 명 수준의 에노모토군은 압도적 열세였고, 해안에서는 신정부 해군의 포격 지원에 시달려야 했다. 에노모토군은 히지카타 토시조가 후타마타구치에서 신정부군의 발목을 묶는 등 끈질기게 저항했지만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었고, 한 달 만에 모든 군함을 잃고 하코다테 시내까지 내주어 하코다테만 방어를 위한 해안 거점인 벤텐다이바(弁天台場)와 본거지인 고료카쿠 두 곳에 틀어박힐 수밖에 없었다.

신 정부군의 참모 구로다 기요타카다카마쓰 료운의 중개로 에노모토 다케아키에게 항복을 권고했다. 에노모토는 이에 응하지 않았지만, 회진되기에는 아까울 것으로 여긴 만국해율전서라는 책을 구로다 기요타카에게 전해 주었다. 이는 해사에 관한 국제법과 외교에 관한 책으로 에노모토 자신이 번역한 책이었다. 이를 본 구로다는 에노모토가 국제법에 정통하다는 것에 감명하였고, 그 후, 에노모토의 목숨을 구제해줄 것에 분주했다.

한편 벤텐 다이바는 신정부군의 함포 사격과 상륙 부대의 맹공에 잘 버티고 있었지만, 식량이 바닥나 5월 15일에 나가이 나오유키를 비롯한 무리들이 신정부군에게 항복했다.

5월 16일, 구로다는 만국해율전서의 답례로 편지와 함께 술통 5통, 참치 5마리를 고료카쿠에 보내었다. 에노모토는 이 호의를 배수하였고, 답례로 군사를 파견해 다음 날 아침 7시까지 휴전을 부탁했다. 신정부군은 그것을 인정하고 고료카쿠에 대한 총공격 개시의 일시를 통보했다. 휴전 동안에 에조 공화국 지도자들은 합의 후, 항복과 고료카쿠 개성이라는 결정을 내리게 된다.
연말시대극 스페셜 제4작 고료카쿠
구로다 기요타카에게 투항하는 에노모토 다케아키
5월 18일 에노모토를 비롯한 간부들은 계획에 따라 출두하여 고료카쿠를 개성했고 무장 해체도 완료한다. 이에 따라 하코다테 결전을 마지막으로 보신 전쟁은 종결된다.

6. 참전 군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보신 전쟁/군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이야깃거리

이기면 관군이요, 지면 역적이라.
( 勝てば官軍, 負ければ賊軍 )
- 일본 속담.
보신전쟁에서 일본이 입은 피해는 전 일본이 둘로 갈라져서 싸운 것에 비하면 적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전체 사상자는 만 명 안팎에 머무른 것으로 집계되어 오히려 세이난 전쟁 쪽이 훨씬 높을 정도이다. 교토 이서 서일본 지역은 보신전쟁에서 거의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교토와 에도 사이 중일본 지방의 피해 또한 제한적이었다. 반면 막부파[38]의 본거지였던 도호쿠 지방의 피해는 다이쇼 시대에 가서야 겨우 복구되는 수준이었다. 그나마 일본 입장에서 다행인 것은 이 정도로 치열했던 내전이 미국의 남북전쟁처럼 몇년씩 끌지 않고 1년 정도로 끝났다는 것 정도?[39]

막부 측 인사 대부분은 신정부에 정면으로 반역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력이나 재량을 인정받아 신정부에서 일했고, 그 중 일부는 높은 지위까지 오르게 된다. 막부해군 부총재이자 에조 공화국 총재였던 에노모토 다케아키는 외교계의 원로로써 중용되고, 막부육군 총재이자 최후까지 반항한 오토리 게이스케청일전쟁 당시 조선공사로 부임하기도 했다. 또 에조 공화국 인사들 중에는 일본 황족과 화족의 학교인 가쿠슈인의 원장으로 부임한 사람도 있었고, 대부분은 홋카이도 개척사, 즉 홋카이도의 불모지를 개척하는 일을 맡기도 했다. 이들을 특별히 옹호하고 일자리를 마련해 준 사람이 에조 공화국 토벌의 주역인 구로다 기요타카로, 그는 홋카이도 개척사의 수장으로도 있었고 막부 측 인사들의 대부 역할을 했다. 그가 죽었을 때에 장례위원장으로 에노모토 다케아키가 나섰을 정도. 물론 이건 높으신 분들 이야기고 미토 번의 좌막 세력이나 도호쿠 번들의 가로들의 숙청 등이 대거 이루어졌다.

막부 측 인사와는 달리 막부에 붙은 도호쿠의 여러 번들은 신정부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그 중에서도 반항의 주역이었던 아이즈 번은 영지를 몰수당한 채 아오모리로 쫓겨났는데, 이후 혹독한 환경 속에서 번사와 그 가족들 중 아사자가 속출하는 고난을 겪다가 소수의 인원만 겨우 귀환했다. 한편 사가와 간베에나 사이토 하지메 등 여러 번사들은 도쿄로 이주하여 경찰직을 얻었는데 이들은 훗날 서남전쟁에 참여하여 사쓰마에게 무진전쟁의 원한을 갚았다.

신정부군의 주역인 사쓰마와 조슈는 영국식으로 근대화를 했지만, 당시 유럽에서 최고의 육군국이 프랑스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막부의 장비들을 이어받아 표준으로 삼게 된다. 그러나 각 번들마다 따로따로 근대화를 했고 장비들도 상당해서, 1880년 이전까지의 일본군은 장비의 난맥이 상당히 심했다.[40]

일본 최대의 해군은 막부해군이었기 때문에 함선이나 제복 등은 막부해군의 그것을 이어받았다. 일본 해군의 전신이 막부해군으로 이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일본국기가 된 흰 바탕에 붉은 원이 칠해진 일장기는 원래 막부에서 쓰던 전쟁기였다. 한편 사쓰마 번측은 덴노의 상징인, 국화 깃발을 들고 전쟁에 참가했다고 한다. 막부는 이를 보고 극심한 디버프를 받았고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존황양이 사상의 근거지인 미토 번 출신이었기 때문에 명분 상 타격이 컸다.

보신전쟁에 참가한 백호대(白虎隊)의 자결 사건도 유명하다. 10대 소년들로 구성된 엘리트 소년병 조직이던 이들은 보신전쟁에 참가했다가 아이즈와카마츠성에서 연기가 피어오르자 성이 함락된 것으로 오인해 남은 19명이 전원 자결하였다. 백호대 사건은 유일하게 자결에 실패하여 살아남은 이누마 사다키치(飯沼貞吉)에 의해 전국에 알려졌다. 중앙정부 입장에서 한동안 반역자처럼 취급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재평가를 받았고 러일전쟁과 2차대전 당시에는 사무라이 정신과 무사도의 표본들 중 하나로 철저하게 미화되어 어린이용 교과서에까지 실렸으며 카미카제 대원들에게도 이 일화를 교육시켰다.[41] 이탈리아와 독일에도 알려져 무솔리니가 파시스트당의 상징인 솔개 기념상을 보내줄 정도. 현재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會津若松)시의 이모리 산(飯盛山)에는 이들의 묘역이 있고 지금도 참배자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본 우익들은 이들의 충성심을 애국심으로 포장하여 2007년 TV 드라마로 만들어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를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신전쟁은 전쟁이 끝난 후 구막부 측 번들에게 매우 가혹한 처분을 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야마구치현후쿠시마현 간의 뿌리 깊은 지역감정증오의 씨앗을 심었는데, 아이즈와카마츠 시민들은 위에서 이야기한 백호대 자결 사건을 숭배하는 우익들을 극혐 수준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들의 의견은 "우리 조상님들 대역죄인 취급할 땐 언제고, 이제 와서 영웅이다 뭐다 이 지랄인데." 라는 식. 이런 원한이 깊어진 건 단지 전쟁에 패해 권력을 잃고 패배자로 소외되었다는 정도가 아니라 신정부 측이 전후에 너무나 가혹하게 보복을 하였고 조직적 차별이 오래 지속되었기 때문이다.[42]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도호쿠 지역은 막부파의 주역이라는 이유만으로 반역향으로 찍혔고 나중에는 원자력 발전소 같은 핵시설이 잔뜩 몰렸으며[43], 지금도 이전 아이즈 번 영역이던 후쿠시마현 사람들은 조슈 번 영역이던 야마구치현 사람들과 서로 못 죽여서 안달난 수준으로 사이가 안 좋다.#[44]

특이하게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전투부대도 등장하는데 나카노 타케코(中野竹子, 1847 ~ 1869)가 지휘한 20여 명의 여군부대가 있었다. # 단지 최후의 저항으로 어쩔 수 없이 싸운 정도가 아니라 정규 부대의 일부로 편성되어 전투에 참가했다. 보나리 고개 전투에서 패배 후 아이즈 번의 와카마츠성에서 최후 결전이 예상되자 아이즈 번 번사의 가족 중 부녀자 20여 명이 모여 방어군에게 끈질기게 참전을 간청하여 돌격대의 일부로 참전한다. 나카노 타케코는 아이즈 번사의 딸로 원래 상당한 무술을 익혀 이들 낭자군(娘子軍)을 이끌고 와카마츠성 공방전 전투에서 상당한 분전을 하지만 관군의 우월한 무기인 총에 밀리다가 결국 총상을 입고 쓰러지자 여동생에게 도움을 부탁해 죽음을 맞는다. 시신을 모친과 동생이 거두어 퇴각했다. 결국 성이 관군에 함락되자 와카마츠성 안에 있던 가신들나 번사들의 가족 등 200여 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한편, 이 시기를 전후로 일어난 국제정세는 일본에게 있어 보신 전쟁 수준으로 끝난게 다행이었을 정도로 그야말로 행운의 연속이었다. 보신 전쟁을 전후로 서구열강이 아시아에 관심이 시들해진 동안 일본은 체제정비를 마칠 시간을 가지게 됐고, 그레이트 게임과 보불전쟁 등의 열강끼리의 전쟁이나 남북전쟁같은 내부갈등이 벌어졌던 서구 열강이 다시금 아시아로 눈을 돌리게 됐을 때엔 이미 근대화를 이룬 일본 제국이 형성되면서 '아시아에서 근대화를 이룬 국가'란 타이틀을 가지고 국제사회의 파트너 중 하나이자 아시아의 맹주가 되는 시기를 누리게 된다.

전쟁이 터지기 100년도 더 전에, 바다 건너 조선의 한 유학자가 이 전쟁, 심지어는 신정부군의 승리까지도 예언해낸 바 있다. 자세한 이야기는 이익 참고.

8. 매체물에서의 보신전쟁

  • 토탈 워: 쇼군2 확장팩으로 이 전쟁을 다룬 토탈 워 사가: 사무라이의 몰락이 나왔다.
    파일:external/bulk2.destructoid.com/216789-samurai.jpg
    이 확장판은 일본 개화기 당시의 각종 유닛이 추가되었으며 캠페인은 1860년대 후반부터 1870년 초반부까지를 다루고있다. 역사적 전투로 보신 전쟁의 주요 전투가 등장하는데 사이고 다카모리가 주인공 격으로 등장한다. 대체로 매우 열세인 신정부군으로 숫적으로 매우 우세한 막부파 군대를 격파해야하는 게 특징이다.
  • 후지사와 슈헤이의 원작에서 가상의 번 우나사카 번(海坂藩)(실제로는 도호쿠의 쇼나이 번(庄内藩). 오늘날의 야마가타쯔루오카 시)가 무대인 야마다 요지 감독의 일본 영화 황혼의 사무라이에서 주인공은 결투에서 살아남아 두 딸들과 연인의 품으로 돌아오지만, 이후 무진 전쟁에 출전해서 구막부군의 편에서 싸우다가 신정부군의 총에 맞아 전사한다.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의 주인공 히무라 켄신이 무진전쟁 초반의 도바-후시미 전투까지 유격검사로 참전하였다고 나온다. 라이벌 캐릭터인 사이토 하지메 역시 이름과 모티브를 따온 실존인물과 마찬가지로 신센구미의 일원으로서 이 전쟁에 참전했다. 실사 영화판에서는 도입부로 나오는데 이 전투 시퀀스는 자체로도 혼란스러웠던 당시 분위기를 잘 담아낸 명장면이고, 켄신이 칼잡이 발도재로서의 삶에 종지부를 찍는 장면이자 적수들의 칼잡이 인생이 뒤집히는 장면이라 속편이 새로 개봉할때마다 계속 다시 나온다. 최종편인 더 비기닝에서는 엔딩 장면으로 나와서 수미상관을 이룬다.
  • 야에의 벚꽃에서는 주인공이 참전한 전쟁이다보니 무진전쟁에 대해 꽤나 자세하게 무기, 군복 고증이 되었다. 암스트롱 포부터 시작해서 4근산포까지 등장하였다. 그 외에 위에 언급된 나카노 타케코의 여성 부대나 백호대 및 사족들의 집단 자결도 충실히 묘사되었다.
  • 활격 도검난무 13화의 주 내용이 잇폰기 관문을 수비하는 히지카타 토시조에게 합류해 신정부군을 패전시키는게 목적인 시간 소행군의 저지. 시간 소행군의 저지 이후 역사대로 히지카타 토시조는 난전 중에 총탄이 복부를 관통하여 낙마한다.
  • 1988년에 방영한 연말시대극 스페셜 고료카쿠는 무진전쟁중 하코다테 전쟁을 다루고 있다.


[1] 영국과 네덜란드가 신정부군을 지원했다.[2] 프랑스가 구막부군을 지원했다.[3] 도사 번은 친 도쿠가와 성향의 번주 야마우치 요도가 "(이 전쟁은) 삿쵸와 아이즈, 쿠와나의 사적인 전쟁"이라며 출병을 금지했지만, 도막성향의 상급 무사 이타가키 다이스케가 삿토 맹약을 근거로 독단적으로 출병했다. 전쟁이 전개되면서 요도는 입장을 번복했다.[4] 사가 번 또는 히젠 번은 사태를 관망하다가 에도성 무혈개성 이후 신정부 군에 가담했다. 위 네 번을 모아 삿초도히라고 한다.[5] 아키(히로시마) 번 등 에도 서쪽의 많은 번들이 신정부에 가담하거나 암묵적 지지를 보냈으며, 쿠보타(아키타) 번처럼 도호쿠에 있으면서도 오우에쓰 열번동맹을 적대하고 신정부를 지지한 번도 있었다.[6] 이하 세 번은 도바 후시미 전투를 전후로 신정부 군에 합류했다.[7] †표는 전사, ‡표는 처형, +표는 병사.[8] 대정봉환으로 에도 막부는 해체되었으니 이 시기에는 구막부라고 표현해야 한다.[9] 도막(倒幕)파의 반대 세력으로, 좌막(佐幕)파라고 부른다.[10] 보신 전쟁 이후 살아남은 극히 일부의 구 막부 세력이(주로 막부 아래에 있던 하급 사무라이들) 막부 체제의 부활을 위해 활동했다고는 하나 구심점도 없고 변변 찮은 힘으로는 비대해진 메이지 정부에 그다지 타격을 주진 못했다.[11] 정확히는 칙허를 받으려 했으나 덴노 쪽에서 완강하게 거부하는 것을 무시하고 강행했다.[12] 일본을 세계의 중심으로 보고 덴노를 수호하며 외적을 배척해야 한다는 경향을 가진 학문.[13] 다만 막부는 쇼인을 그와 친분있던 양이지사 우메다 운빈의 발언을 모으기 위해 체포했는데, 쇼인이 갑자기 막부 고위 간부 마나베 아키카쓰 암살 계획을 누설해서 처형당했다.[14] 사쓰마 번 소속 무사 1명이 가담했다.[15] 사실 8월 18일의 정변을 일으킨 진짜 흑막은 당시 천황인 고메이 천황이었다. 양이론자였지만 덴노 자신은 좌막론자. 애당초 마츠다이라 가타모리나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전폭적으로 지지했었다. 하지만 쿠게들은 자신들과 같은 양이론자라는 것만 보고 좌막론자인 것은 보지 못했다. 그래서 덴노가 직접 영국, 미국과 전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에 반발한 천황은 같은 좌막론자인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을 시켜 8월 18일 정변을 일으킨 것.[16] 말타는 기(騎)병이 아니라, 당시 일본의 정서를 혁파하고 농민들, 상인들까지 입대를 가능케 한 혁신적인 군대였다. 이들은 무진전쟁 이후 일본군의 기반이 된다.[17] 대정봉환 문서에서 써 있듯이 처음에는 공무합체를 지지하며 막부를 지원했으나 에도막부 중심 공무합체파의 탄압을 받고 조슈가 무너지면 막부의 다음 타겟이 본인들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라이벌인 조슈를 지원했다.[18] 이와 동시에 막부는 자동적으로 소멸. 이후 막부 측을 호칭할 때에는 구 막부라고 부르게 된다.[19] 이 전투가 엄청난 스노우 볼을 굴리게 되면서 사실상 승패는 정해졌다.[20] 네덜란드 군사교범에 의거하여 1862년 개혁된 군대였다. 보병,포병으로 구성되었고 미니에식 전장식소총을 장비하여 근대적 군대로 탈바꿈하였다. 막부육군 참고.[21] 당시 그는 관직은 하리마노카미(播磨守)이었다. 생몰은 ? ~ 1881이다.[22] 18~19세기 내내 영국은 제자리에서 초고속 장전사격을 반복하는 물량&화력 방어전법으로 유명했으며, 워털루 전투 당시 프랑스군이 영국의 화망에 걸려들어 궤멸하는 등 위력이 대단했다. 그에 비해 프랑스군은 종대로 사격을 가하고 돌격하는 전법을 주로 사용해서 양측의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프랑스 장교들의 훈련을 받은 막부 측 프랑스식 전습대(佛式傳習隊)는 일사불란한 프랑스식 돌격전법을 아주 잘 사용해서 신정부 측도 혀를 내둘렀다고 한다.[23] 시내의 치안과 재판을 책임지는 관청[24] 해당 깃발은 가마쿠라 시대 이후의 깃발이다.[25] 전투가 벌어진 가쓰누마 지역의 이름을 따서 고슈 가쓰누마 전투라고도 부른다[26] 진무(鎮撫)란 시위진압을 의미하는 단어로, 당시 난무하던 에자나이카(좋지않은가)라는 대규모 군중 소요사태가 각지에서 빈발하고 있었으므로 이걸 진압한다는 구실로 편제해서 내보낸 것이었다.[27] 메이지 유신 이후 사이고 다카모리이와쿠라 토모미, 기도 다카요시의 부탁으로 황실 시종을 10년간 역임(1872 ~ 1882)하게 되며 메이지 덴노에게 총애를 받아서 승승장구하게 된다.[28] 메이지 유신 이후 골동품 감정사로 이름을 남기게 된다.[29] 어려가지 공로로 자작에 취임하게 된다.[30] 아이러니한 것은 막부 측의 세 인사는 모두 평안히 천수를 누렸으나, 사이고와 그 부하들은 모두 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 죽었다.[31] 시부사와 에이이치와는 사촌지간이며 메이지 유신 이후 기업인으로서 정치인으로서 이름을 남기게 된다.[32] 카츠 카이슈는 창의대 지휘역이었던 야마오카 텟슈를 파견했지만 배신자라는 고성만 듣고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33] 시부사와 세이이치로는 요시노부가 에도를 떠난 만큼 그 호위를 명분으로 하는 창의대도 에도를 떠나 닛코 동조궁 방면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부장인 아마노 하치로는 철저항전을 주장하면서 분열이 발생했다.[34] 이 사람은 나중에 진무대(振武隊)를 결성하여 신정부군과 재차 대립하지만 패하고 결국 에노모토 함대에 합류하여 에조 공화국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소창의대를 만들어 두령에 취임했지만 하코다테 전쟁에 패하면서 항복한다.[35] 하코다테시의 옛 지명. '箱(상)'에서 '函(함)'이라는 한자로 바뀌었다. 참고로 はこ(하코)는 상자라는 일본어이다.[36] 그것도 원래는 주공이 아닌 조공 예정이었다.[37] 개틀링 기관총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설이 있다.[38] 특히 신정부군에게 죽기 직전까지 얻어맞은 아이즈 번과 나가오카 번.[39] 미국의 남북전쟁과 일본의 보신전쟁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벌어져서 남북전쟁은 1861~1865년 일본의 보신전쟁은 1868~1869년까지 이어졌다.[40] 허나 이것도 어디까지나 난맥을 어느정도 정리했다지 실상 일본군은 없어지는 그 날까지도 장비의 완전한 통일을 이루지는 못했다. 이는 뿌리깊은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때문인데 육해군이 서로 다른 나라라고 할 정도로 분쟁을 겪다보니 장비도 따로국밥이었던 것이다.[41] 이세연, 《메이지시기 백호대 전사자를 둘러싼 기억의 재구성》[42]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후쿠시마를 비롯한 도호쿠 지방은 쇼와 시대 말기까지 사실상 깡촌 취급을 받았다.[43] 이후 이 핵시설들은 먼 훗날 감당조차 안될 국가적 재앙을 일으켰다.[44] 실제로 야마구치현 하기시에서 아이즈와카마츠시와 자매결연을 맺으려는 등 화해의 제스쳐를 보내려 했으나 "우리는 그날의 원한을 잊지 않았다." 라는 말과 함께 사실상 대접도 못 받고 쫓겨났다.